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LEADERSHIP etc!!

M3I3 Global Singularity Workshop 2020

작성자총장실 등록일2020.09.18 조회수387

개회사 장면
참석자 기념촬영

9월 18일(금), 신성철 총장은 우리 대학 응용공학동 영상강의실에서 ‘M3I3 Global Singularity Workshop’을 가졌다.

‘KAIST 신소재 혁명: M313 이니셔티브(이하 M3I3 Project)’의 일환으로 개최된 이날 워크숍에서 신성철 총장은 개회사를 통해 행사 준비를 위해 수고한 참여교수 및 국내·외 참가자들에게 감사했다.

이어, 신 총장은 “작년 KAIST는 세계 최고이자 최초이며 유일한 연구 성과 창출을 위한 연구혁신 이니셔티브인 ‘글로벌 특이점 연구사업’을 출범했다”고 소개하고 “이에 선정된 ‘M3I3 Project’는 신소재 분야의 글로벌 과학기술 혁신을 선도할 것” 이라고 기대를 나타냈다.

2019년 우리 대학의 ‘글로벌 특이점 연구사업’으로 선정된 ‘M3I3(Materials and Molecular Modeling, Imaging, Informatics and Integration) Project’는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가 총괄 책임을 맡고 있으며, 다중 스케일 모델링 및 영상화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새로운 소재와 물질의 구조-물성, 구조-합성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자동화된 신소재 합성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글로벌 특이점 연구사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선도 연구그룹 육성을 위해 2019년부터 실행되고 있는 연구혁신 지원 사업이며, 선정된 과제에는 단계별 평가를 거쳐 최대 10년까지 연간 최대 10억원의 연구비가 지원된다.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행사장 참석인원을 50인 이하로 제한하며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날 워크숍에는 신성철 총장을 비롯해 ‘M3I3 과제’의 총괄 책임 및 참여 교수와 연구원, 학생 등이 참석했다.

또한, 해외 연사로는 영국 Faraday Institution의 피터 리틀우드(Peter Littlewood) 의장(Executive Chair), 미국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의 신리(Xin Li) 교수,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의 세르게이 칼리닌(Sergei Kalinin) 펠로우(Corporate Fellow),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의 피터 부어히스(Peter Voorhees) 교수, Asylum Research의 CTO인 로저 프록쉐(Roger Proksch) 박사, 미국 리하이 대학교(Lehigh University)의 조슈아 아가르(Joshua Agar) 교수, Tesla의 앤드류 울베스태드(Andrew Ulvestad) 연구원 등 신소재 및 재료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산·학·연 리더급 연구자들이 온라인으로 참석했다.

콘텐츠담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