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A%B8%B0%EA%B3%84%EC%A0%9C%EC%96%B4+%EC%97%B0%EA%B5%AC%EC%8B%A4
최신순
조회순
오준호 교수, 2016년 호암상 수상
〈 오 준 호 교수 〉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가 2016년도 26회 호암상 공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호암재단은 5일 수상자를 확정해 발표했고, 시상식은 6월 1일 오후3시 호암아트홀에서 열린다. 오 교수는 이번 수상으로 상장과 메달(순금 50돈), 3억 원을 부상으로 받게 된다. 국내외 저명 학자·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38명)가 업적을 검토했고 해외석학(37명)으로 구성된 자문단이 평가하고 현장을실사했다. 심사위원회에는 댄 셰흐트만 교수 등 노벨상 수상자 2명, 스벤 리딘 교수 등 노벨위원 2명 등이 포함됐다. 오 교수는 순수 독자기술로 한국 최초의 이족보행 인간형 로봇인 휴보를 제작했고, 세계 최고 수준의 재난대응로봇 DRC 휴보로 DARPA 국제 로봇 대회에서 로봇 강국들을 제치고 우승했다. 또한 구글, MIT, 싱가포르 국립연구소 등 관련 분야 해외 선진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휴보Ⅱ의 상업적 판매 등을 통해 국내 로봇 공학의 발전과 산업화에도 크게 기여했다.
2016.04.07
조회수 7106
휴보아버지 오준호교수, 대통령표창 수상
우리학교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가 제4회 대한민국 로봇대상 및 로봇산업인의 밤 행사에서 최고의 영예인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정운찬 국무총리, 곽승준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장, 임채민 지경부 제1차관을 비롯한 로봇 산·학·연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09.12.3(목) 16:30부터 63시티 코스모스홀에서 개최된 이날 행사에서는 그 동안 로봇산업 경쟁력강화에 기여한 유공자 7명과 우수한 로봇제품 개발을 통해 로봇산업 발전에 기여한 6개 기업에 대해 포상을 실시했다. 로봇산업발전 유공자 부문에서 영예의 대통령 표창은 한국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인 휴보(HUBO)를 개발함으로써 우리나라를 제2위의 휴머노이드 로봇개발국으로 도약시킨 우리학교 오준호 교수가 수상했으며, 국무총리 표창은 유콘시스템(주) 배진근 전무, 지식경제부 장관표창은 우리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김명석 교수, 한국기계연구원 경진호 책임연구원, 한성대학교 조혜경 교수, 현대로템(주) 이정엽 책임연구원, 전자신문사 배일한 미래팀장 등 7명이 수상했다. 한편, 올해의 우수 로봇제품을 선정하는 지능형로봇기술대상 부문 대통령상은 ‘로봇전용 액츄에이터’을 개발한 ‘(주)로보티즈(대표 김병수)’가 수상하였는데, 이 제품의 Dynamixel은 감속기, 제어기, 구동기 및 Network 기능 등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모듈로 만든 새로운 개념의 로봇전용 스마트 액츄에이터이다. 국무총리상은 (주)도담시스템스(대표 문영남), 지경부 장관상은 호야로봇(주)(대표 이소열), (주)엔티리서치(대표 김경황)에서 각각 수상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운찬 국무총리는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로봇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한 로봇산업인들을 치하하며, “로봇이 미래 우리경제의 성장을 이끌어 갈 신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로봇산업인들이 미래를 대비한 연구개발과 인력양성에 매진”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로봇기술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부도 연구개발 예산을 확충하고, 규제를 과감히 개혁하여 기업의 투자여건을 개선” 할 것을 약속하기도 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 오준호 교수는 국내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인 휴보의 달리기 기능 등이 시연되어 큰 관심을 끌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달리기 공개 시연은 국내 최초로 세계에서 3번째이자 국가로는 일본에 이어 2번째로, 시속 3.6Km의 속력으로 두 발로 달림으로서 우리나라의 우수한 휴머노이드 로봇기술을 대내외에 과시했다. 이날 휴보는 뛰는 기능 이외에도 사람처럼 손목을 빙빙 돌리는 기능, 5개의 손가락에 센서가 들어있어 복잡한 형태의 물건을 떨어뜨리지 않고 쥐는 기능도 같이 선보였다. 개발책임자인 오준호 교수는 “앞으로 휴보가 더 빨리 달리고, 방향전환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09.12.04
조회수 11618
오준호 교수, 대전MBC "한빛대상" 수상
대전문화방송이 창사 43주년을 맞아 지역발전을 위해 공헌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한빛대상" 제3회 수상자로 한국 최초로 인간형 로봇 "휴보"를 개발한 우리학교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가 선정됐다. 대전MBC는 지난달 28일 한빛대상 심사위원회를 열어 ▲오준호 KAIST 교수(과학기술) ▲이광필 충남체육고 교장(문화예술체육) ▲안명자 서산 부춘동사무소 주사보(사회봉사) ▲권상준 티에스이 대표(지역경제발전) ▲이정순 여성장애인연대 고문(인간승리) ▲박세리 프로골퍼(특별상) 등을 분야별 수상자로 결정했다. 시상식은 지난 12일 오후 대전문화방송 공개홀에서 열렸고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상금 500만원이 수여됐다 대전문화방송 관계자는 "지역을 대표하는 공영방송사로서 사회 각 분야에서 봉사하고 공헌한 인물을 찾아 널리 알림으로써 지역의 시.청취자와 희망과 보람을 함께 나누는 세상을 만들자는 취지에서 한빛대상을 제정했다"고 말했다.
2007.10.16
조회수 13834
가수 김장훈, KAIST에 발전기금 기부
- 휴보 출연한 공연 수익금 일부 과학발전 위해 쾌척 - 과학과 문화의 만남을 통한 과학문화 활성화 계기 가수 김장훈씨가 공연 수익금 중 5천만원을 KAIST 발전기금으로 기부했다. 김장훈씨는 지난 16일(화) KAIST를 방문, 교내 기계공학동 공동강의실에서 발전기금 전달식을 가졌다. 김장훈씨는 지난해 말 콘서트에 KAIST 휴보 센터의 인간형 로봇‘휴보’와‘알버트 휴보’를 출연, 함께 공연했다. 이번 발전기금 기부는 김장훈씨가 기술적인 어려움과 연구에 지장을 감수하고 공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준 KAIST 오준호 교수와 연구팀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성사되었다. 오준호 KAIST 교수는 “휴보가 다양한 시연을 했지만 가수와 함께 무대에서 음악에 맞추어 성공적으로 공연한 것은 처음이다. 공연 참여를 결정하기까지 안전성 문제 등이 우려되어 망설였으나 김장훈씨의 과학에 대한 관심과 열정에 감명받아 휴보를 무대에 올릴 수 있었다”며 “이는 로봇이 대중문화와 어떻게 교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첫 사례다. 과학과 문화의 만남으로 과학문화가 활성화되어 일반인들이 좀 더 과학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번 기부금 5천만원 중 2천만원은 KAIST 발전기금으로, 3천만원은 휴보를 통한 과학기술 홍보를 위해 사용될 계획이다.
2007.01.19
조회수 12115
오준호 교수, CNN 특집프로그램 패널리스트로 출연
기계공학과 오준호(吳俊鎬, 51) 교수가 CNN 인터네셔널 특집프로그램인 “인간과 기계의 미래정상회담(Future Summit: Of Man and Machine)”에 패널리스트로 출연했다. 이번 프로그램 주제는 “인간과 기계”로 CNN 종군앵커로 유명한 마이클 홈즈(Michael Holmes)의 진행으로 로봇분야 吳 교수를 비롯, 복제양 돌리를 만든 영국의 알란 콜맨(Allan Colman) 박사, 말라리아 퇴치가 가능한 새로운 생물 알태미시닌(Artemisinin)를 개발한 버클리대 재이 키슬링(Jay Keasling) 교수, 그리고 인류학자인 스위스 로잔대 다니엘라 써퀴(Daniela Cerqui) 교수, 로봇심리학자 조안 프란스키(Joanne Pransky) 여사가 패널로 참여했다. CNN은 10명의 각계 저명인사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통해 패널을 추천 받아 사전 인터뷰 등을 거쳐 吳 교수를 비롯한 5명의 패널을 선정했다. 吳 교수는 이 방송에서 “미래에는 움직임과 자율성을 갖는 로봇화가 우리 주변 거의 모든 것에 구현될 것이며, 로봇과 가전제품의 벽이 없어질 것이다”라고 예측했다. 특히 이 프로그램에는 吳 교수가 개발한 인간형 로봇인 휴보(HUBO)가 직접 출연, 세계최고 수준의 로봇이라는 소개와 함께 진행자와 오프닝을 진행했다. “Future Summit”은 CNN 인터네셔널에서 과학기술이 미래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 서로 다른 분야의 인사를 초빙하여 조명하는 특집 프로그램이다. 이번이 첫 방송인 이 프로그램은 7회에 걸쳐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200여개국(미국 제외)의 CNN케이블 방송망을 통해 방송된다. * 첨부: ① 오준호 교수 사진 1매, ② 휴보 사진 2매 ③ 한국 방송시간 <한국 방송시간> 6월 15일(목) 23:00 6월 16일(금) 06:00 6월 17일(토) 15:00, 23:00 6월 18일(일) 04:00, 15:00 6월 19일(월) 04:00 ---------------------------------------------------------------------------------------------------------- CNN은 CNN International(CNNi), CNN USA, CNN 스페인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CNN USA 는 주로 미국 내 뉴스를 다루고 미국에서만 방영되며, CNNi 는 국제뉴스전문 채널로서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 200여개국으로 방송된다. 한국에서 시청하는 CNN은 CNN international 이다.
2006.06.16
조회수 12169
KAIST 휴보(HUBO) 세계인에 시연
- 미래 첨단 기술 선보이는 국제적 유명 전시회 공식 초청 - 전 세계에 우리나라 첨단 기술의 우수성 부각 기회 KAIST 기계공학과 오준호(吳俊鎬, 50) 교수팀의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HUBO)가 미래에 상품화될 첨단 기술을 선보이는 국제적인 유명 전시회인『와이어드 넥스트페스트(Wired NextFest) 2005』에 공식 초청을 받아 출품된다. 휴보는 오는 24(금)일부터 3일간 미국 시카고 네이비 피어(Navy Pier)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서 “디자인의 미래(the Future of Design)" 부문에 세계 첨단기술을 대표하는 프로젝트로 선정되었다. 주최 측에서는 휴보가 1일 4, 5회 정도(회당 30분) 시연을 할 수 있도록 별도의 무대와 스크린을 마련했다. 이번 시연은 퍼포먼스 프로그램, 체험 프로그램, 기술시연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진행되는데 ▲퍼포먼스 프로그램은 영어로 인사, 수화(受話), 테크노댄스, 태극권 등 10여개 프로그램 ▲체험 프로그램은 악수, 가위/바위/보, 손가락 게임, 휴보 동작 따라하기 등 10여개 프로그램 ▲기술시연 프로그램은 걷기(전, 후, 좌, 우, 방향 전환), 동작(손, 발, 상/하체 동작 등), 한발 균형 잡기, 물체인식 및 추적(Vision Tracking), 두발지지상태 자세안정화(DSP, Double Support Phase), 한발지지상태 자세안정화(SSP, Single Support Phase) 등 10여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吳 교수는 “이번 전시회는 휴보의 시연과 전시 및 체험 행사를 통해 전 세계에 우리나라 첨단 기술의 우수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고 했다. 한편, 와이어드 넥스트페스트는 미국의 유명 정보기술 미디어社인 와이어드와 제너럴일렉트로닉스社가 매년 개최하는 전시회로 25,000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하는 대규모 행사다. 이번 2005년 행사에는 세계 각국의 첨단기술을 대표하는 100개의 공식초청 프로젝트를 포함 500여개 이상의 제품이 전시된다. 지난해『와이어드 넥스트페스트 2004』에는 일본 혼다의 아시모(ASIMO)가 초청받아 시연한 바 있다.
2005.06.23
조회수 15647
인간형 로봇 휴보(HUBO) 공개 시연회(2/23 수)
새로 제작된 휴보 쌍둥이 동생도 함께 출연 KAIST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팀이 지난해 말 발표한 인간형 이족보행로봇 휴보(HUBO)를 일반인에게 공개하는 행사가 오는 23일(수) 오후2시, KAIST 태울관 미래홀에서 열린다. 대전시내 초, 중, 고등학생 300여명을 비롯 산업자원부, 중소기업청, 대전광역시 관계자 등을 초청해 열리는 이번 행사는 오준호 교수의 강연, 휴보의 퍼포먼스와 기술시연회, 게임 및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된다. 휴보(HUBO) 탄생배경 및 과정, 휴머노이드 로봇이란 무엇인가?라는 제목의 강연에서는 오준호 교수가 지난 3년여 동안 휴먼 로봇을 개발하면서 겪었던 각종 에피소드 등과 휴먼로봇의 미래에 대해 설명하게 된다. 퍼포먼스 시간에는 새롭게 제작된 휴보 쌍둥이 동생(이름 미정)이 함께 출연, 두 대의 휴보가 백 댄서들과 함께 랩 댄스, 각종 CF 패러디 동작과 태극권 시범 등을 선보인다. 이어지는 기술시연회에서는 앞걸음, 옆걸음, 뒷걸음과 비전 트랙킹 등을 시연한다. 행사 마지막에는 초중고생과 가위바위보, 한발 들고 누가 오래 서있나 등 시연회에 참석한 초중고생과 함께 시합을 벌이는 시간도 마련되어 있다.
2005.02.23
조회수 15972
한국형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HUBO) 개발
기계공학과 오준호(吳俊鎬, 50) 교수팀은 지난 3년여의 연구기간에 걸쳐 국내 최초로 이족보행이 가능한 완전한 외양을 갖춘 2족 보행 로봇을 개발하고 그 사진을 공개했다. 연구책임자: 오준호 교수 연구진 : 김정엽(박사과정 4년), 박일우(박사과정 3년), 이정호(박사과정 3년), 김민수(박사과정 1년), 조백규(박사과정 1년) 새로이 선보인 휴머노이드로봇 휴보는 2003년도에 개발된 KHR-2의 성능을 업그레이드 한 모델로 몸 전체의 기계적 강성을 증가 시켜 보다 안정된 보행을 가능하게 하였고 상체 관절의 구동방식을 개선하여 더욱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하게 하였다. HUBO는 현재 0~32cm보폭으로 최대 시속 1.25km/h 전진보행한다. 좌/우 옆걸음, 뒤걸음, 좌/우 회전 걸음, 다양한 몸동작, 독립적인 5개의 손가락 운동, 독립적인 양 안구 운동, 손목의 힘/모멘트 센서를 통한 외력감지 등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자유걸음새, 외력에 따라 움직이는 팔동작, 외부 안내에 따라 자유롭게 걷는 걸음, 비젼을 통한 실시간 목표 추적, 음성 인식 및 합성을 통한 대화 등을 수행한다. 아직 달리기(주행)과 층계오르기 등의 걸음새는 구현 되지 않았으나 추후 연구를 실시할 예정이다. KHR 시리즈를 구현함에 있어 가능한 많은 구동자유도, 가능한 긴 작동시간, 콤팩트하고 미려한 외관(예: 백팩의 제거), 저렴한 개발비 및 최소의 유지비, 최단의 개발기간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동감속부, 힘/모멘트 센서, 관성센서, 서보 드라이버, 분산제어기, 실시간 제어 아키텍쳐 등 요소 기술을 자체 설계하여 구현함으로써 설계를 최적화 하도록 하였다. 또한 간결한 구조물설계를 통하여 기계적 강성을 얻었으며 기구학적 불확실성을 최소화 하였다. 연구개발과정을 표로 보면 아래와 같다. 기간 지원기관 예산 KHR-1 2002.1 - 2002.12 BK21, HWRS ERC 0.8억 KHR-2 2003.1 - 2003. 12 BK21, 기관고유사업 1.7억 KHR-3(HUBO) 2004.1 - 2004. 12 BK21, 산업자원부 5.5억 특징 KHR-1 21축, 중앙집중제어 방식, 머리와 손 부분이 없는 보행 기능위주의 구조 키 130cm, 무게:45Kg KHR-2 41축, 분산제어방식(CAN 통신) 실시간 window xp - RTX power 300w, 키:125cm, 무게 55kg, 비젼 기능 부분적 커버를 갖는 외양 보행속도: 25cm, 65회/분 = 0.95km/h 연속작동시간: 45분/1회충전 KHR-3(HUBO) KHR-2의 업그레이드된 기구 및 기능 - 음성합성 및 인식기능 - 몸체의 기계적 강성 증가 - 상체 관절의 구동 메카니즘 개선 - 완벽한 enclosure 형 와관 구현 - 32cm 보행+ 65회/분 = 1.25Km/h - 연속작동: 90분 /1회충전 향후계획: - 층계오르기 구현, - 보행속도 향상, - 달리기 구현 - 자유걸음새 구현, - 인간과 상호작용능력 개선 - 다양한 대중 performance 시연 한편, 휴보 개발의 기대 효과를 살펴보면, - 환상을 현실에서 구현할 수 있다는 비젼을 제시, - 국내의 기술력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함으로써 기술력을 대 내외에 과시하여 국민적 자긍심을 고취, - 관련 첨단기술(구동기, 감속기, 2차전지, 각종센서, 제어기, 시스템기술)의 국산화를 통한 기술 spin off 효과 - 관련기술 최 선진국인 일본과 가시적인 경쟁을 통한 국가 기술위상확립 등을 들 수 있다.
2004.12.27
조회수 18358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