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산자원부 지정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센터 개소
<왼쪽부터 김경훈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로봇PD, 이희윤 KAIST 연구부총장, 오준호 KAIST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센터 소장, 김정환 산업통상자원부 시스템산업정책관, 박기한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 정윤철 KAIST KI원장>
최근 4차 산업 혁명 주요 기술의 하나로 로봇공학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 대학은 19일(목) 대전 본교 KI빌딩에서 산업통산자원부 시스템산업정책관, 로봇산업진흥원장, 로봇 PD 등 교내·외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센터(소장 오준호)’개소식을 가졌다.
산업통산자원부 지정 연구센터로 선정되어 5년간 150억 원의 지원을 받게 되는 연구센터는,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의 세계 선도기술을 개발하고 해당 분야 석박사급 전문연구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준호 교수는 “지난 10여 년간 휴보 로봇개발을 통하여 축적해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효율·고출력 전기구동 및 유압시스템 등 로봇 핵심부품 △조작성이 뛰어나고 신뢰성 높은 인간형 로봇 시스템 △작업환경 대응 물체 인식 지능구현기술 등 휴머노이드 로봇 원천기술을 개발해 기술자립화를 이룰 계획” 이라며 “이와 함께 모듈형·확장형 오픈 소프트웨어 개발 및 확산을 통해 우리나라의 로봇기술 공유 생태계 구축에도 적극 나설 예정” 이라고 밝혔다.
오준호 교수팀(Team KAIST)은 전 세계 6개국 24개 팀이 참가한 ‘2015년 미국 DARPA(미국방위고등연구계획국) 로보틱스 챌린지(DRC)’결선대회에서 최종 우승하여 우리나라 로봇 기술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린바 있다.
2017.01.20
조회수 8676
-
오준호 교수, 2016년 호암상 수상
〈 오 준 호 교수 〉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가 2016년도 26회 호암상 공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호암재단은 5일 수상자를 확정해 발표했고, 시상식은 6월 1일 오후3시 호암아트홀에서 열린다. 오 교수는 이번 수상으로 상장과 메달(순금 50돈), 3억 원을 부상으로 받게 된다.
국내외 저명 학자·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38명)가 업적을 검토했고 해외석학(37명)으로 구성된 자문단이 평가하고 현장을실사했다. 심사위원회에는 댄 셰흐트만 교수 등 노벨상 수상자 2명, 스벤 리딘 교수 등 노벨위원 2명 등이 포함됐다.
오 교수는 순수 독자기술로 한국 최초의 이족보행 인간형 로봇인 휴보를 제작했고, 세계 최고 수준의 재난대응로봇 DRC 휴보로 DARPA 국제 로봇 대회에서 로봇 강국들을 제치고 우승했다.
또한 구글, MIT, 싱가포르 국립연구소 등 관련 분야 해외 선진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휴보Ⅱ의 상업적 판매 등을 통해 국내 로봇 공학의 발전과 산업화에도 크게 기여했다.
2016.04.07
조회수 7114
-
휴보, ‘DARPA 로보틱스 챌린지’ 결선대회 우승
KAIST 휴보(Hubo)가 세계 최강의 재난로봇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팀(Team KAIST)이 6월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미국 캘리포니아주 포모나에서 열린 ‘DARPA 로보틱스 챌린지(DRC)' 결선대회에서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 미국, 일본, 독일 등 전 세계에서 온 24개 참가팀들은 ▲ 운전하기 ▲ 차에서 내리기 ▲ 문 열고 들어가기 ▲ 밸브 돌리기 ▲ 드릴로 구멍 뚫기 ▲돌발미션 ▲ 장애물 돌파하기 ▲ 계단 오르기 등 8개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대회는 60분 내에 8가지 미션을 가장 많이, 가장 빠르게 수행한 팀에게 우승이 돌아간다. 5일과 6일 한 번씩 기회가 주어지며, 더 좋은 점수를 최종 결과에 반영한다.
휴보는 5일 열린 1차 대회에서는 벽에 구멍 뚫기 미션에서 시간을 지체해 7점을 획득해 6위에 머물렀지만, 6일 대회에서는 모든 임무를 완벽히 수행해 8점, 44분 28초로 최종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대회 우승으로 휴보팀은 200만달러(약 22억원)의 상금을 수상했다.
오준호 교수는 “이번 대회는 완성된 로봇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완성까지 가는 단계를 보여주는 대회였다”며 “우승은 시작일 뿐이고 다음 목표는 지금보다 더 완벽한 로봇을 만드는 것이다”라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2015.06.07
조회수 13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