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문술 이사장 기부 8년만에 ‘정문술 빌딩’ 생애 첫 방문
- 2001년 300억기부로 탄생한 정문술빌딩
- 바이오및뇌공학과 최철희교수팀 관류측정 기술 한계를 극복한 ‘말초조직의 기능적 혈액관류측정기술’상품화
KAIST 정문술(71) 이사장이 자신의 기부금으로 건립된 ‘정문술 빌딩‘의 바이오및뇌공학과를 기부 8년만인 오는 19일 첫 공식 방문한다.
이 빌딩은 지난 2001년 鄭 이사장이 낸 기부금 300억 가운데 110억원을 들여 지하1층, 지상11층 규모로 2003년 8월에 완공됐다. 그러나 정 이사장은 이 빌딩의 기공식, 준공식 행사에 참석하지 않았다. 그동안 KAIST를 여러 차례 방문했으나 자신의 기부로 만들어진 이 빌딩엔 단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다.
“정문술빌딩에서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신기술이 나오기 전에는 들어가지 않겠다.”는 그의 신념 때문이었다.
최근 鄭 이사장의 기부에 의해 탄생한 바이오및뇌공학과가 정이사장의 기대에 부응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鄭 이사장은 이 학과를 방문해 최근 개발한 ‘말초조직의 기능적 혈액관류 측정기술‘ 등 2002년 학과 설립 후 약 7년간의 연구성과를 살펴보고, 교수,학생들과 간담회를 갖는다.
바이오및뇌공학과 최철희 교수팀이 개발한 ‘말초조직의 기능적 혈액관류 측정기술’은 혈관에 주입된 근적외선 조영제(인도시아닌그린)를 광학영상장비로 실시간 촬영해 얻은 동적영상으로부터 약물동역학 분석을 통해 관류율(%/min)을 계산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바로 이 기술의 임상 적용 연구를 수행해 동역학을 관류율로 계산하는 자동화분석 프로그램과 하지 영상이 가능한 근적외선 영상장비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자동화 프로그램을 통해 측정된 하지의 관류율은 ‘관류맵’으로 표시되며 조직의 평균관류율을 진단결과로 제시한다.
특히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하지허혈질환인 하지동맥경화 질환의 진단 여부를 검사한 결과 민감도 81%, 특이도 88%라는 높은 진단율을 얻었다.
개발된 기술은 기존의 혈관조영을 위한 CT나 MRI 영상장비처럼 높은 비용을 요구하지 않는 비교적 간단한 광학 영상 장비를 이용하기 때문에 침상에서 바로 진단이 가능할 뿐 아니라 손쉽고 저렴한 하지혈류 정기검진 방법으로도 매우 적합하다.
동맥경화와 당뇨병 등 관류 장애를 유발하는 심혈관계 질환은 사망원인의 상위를 차지하는 질병이다. 따라서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는 의료기기를 개발하여 원천기술을 확보한 연구팀의 성과는 관류측정 의료기기 시장에서 산업적으로 큰 파급효과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이 기술은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 특허가 진행되고 있으며, 해외시장에도 기술을 이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이 기술은 임상뿐 아니라 신약개발의 전임상 단계에서 약효를 검증할 수 있는 동물실험에도 응용 가능하여 혈류 개선 약물 개발 및 신생혈관 생성억제제 연구에도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술은 해부학적 혈관구조를 영상화하는 기존의 기술과는 달리 기능적 혈류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혈관구조의 변화를 초래하기 이전에 혈류의 이상이 오는 단계에서 조기진단이 가능해 고혈압 및 당뇨 환자의 하지혈류저하 조기진단 검진기술로 응용 가능하다.
또한 동물실험에도 응용할 수 있어 동물용 근적외선 영상 장비 제작을 통한 산업화, 자동화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한 신생혈관 생성, 혈관투과율, 관류율 등 여러 가지 혈관생리에 관련된 실험결과 등을 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향후 당뇨 및 고혈압 환자 등의 진단 가능성 여부를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혈관내피세포 기능 분석 영상장비를 개발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현재 (주)뷰웍스에 기술을 이전하고 하지관류측정용 근적외선 영상 시스템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임상시험에서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시제품을 더욱 보완한 영상 장비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생체광학영상 분야의 지속적인 개발을 위하여 KAIST와 (주)뷰웍스 공동으로 광학생체영상센터를 개설하여 산학협동 연구를 활성화하며 인력개발 및 고용창출에도 힘을 쏟을 예정이다.
2009.10.19
조회수 22334
-
김병호회장 300억 기부에 각종 사설칼럼 이어져
경기도 용인의 서전농원 김병호 대표가 300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KAIST에 기부한 이래로 주요 매체에서 각종 사설과 칼럼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김병호 회장은 지난 2009년 8월 12일 자신이 평생 모은 재산 300억원을 과학기술 발전에 써달라며 KAIST에 기부하면서 "버는 것은 기술, 쓰는 것은 예술"이라며 그의 인생철학을 밝혀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준 바 있다. 다음은 김병호 회장의 발전기금 기부를 의미있게 다룬 각종 사설과 칼럼들
동아일보 사설(2009/08/14)
- [사설] "가난의 대물림" 끊어줄 기부와 장학금
동아일보 사설(2009/08/14)
- [사설] 300억 재산 쾌척한 김대표 가족의 나눔정신
세계일보(2009/08/14)
- [설왕설래] "버는 것은 기술, 쓰는 것은 예술"
문화일보(석간) 사설(2009/08/13)
- [사설] "버는 건 기술, 쓰는 건 예술" - 김병호회장의 기부
아시아경제(석간) 칼럼(2009/08/13)
- [권대우의 경제레터] 버는 것은 기술, 쓰는 것은 예술
대전일보 사설(2009/08/13)
- 김 회장의 아름다운 KAIST 발전기금 기부
경제주간지 이코노믹 리뷰 칼럼(2009/08/19)
- 버는 것은 기술, 쓰는 것은 예술 (권대우 아시아경제신문 회장)
중앙일보 칼럼(2009/08/26)
- [시론] 아름다운 기부 "300억 클럽" (이광형 KAIST 교수)
2009.08.28
조회수 11319
-
이광형칼럼 아름다운 기부 "300억 클럽"
이광형(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중앙일보 2009년 8월 26자에 <아름다운 기부 "300억 클럽">이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시론] 아름다운 기부 "300억 클럽"
저자 - 이광형 바이오 및 뇌공학과 미래산업 석좌교수
매체 - 중앙일보
일자 - 2009.08.26(수)
칼럼보기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743934
2009.08.26
조회수 9146
-
76원으로 일군 거액의 재산, KAIST에 기부
- 평생을 피땀으로 일군 300억 상당 부동산 KAIST 발전 기금으로 기부
- 최고의 과학기술인재 양성이 국가의 미래라는 신념으로 기부 결심
- 뇌졸중 털고 일어나 국민과 후학들에게 희망을 주고자 재산 기부 - 부안군 나누미 근농(根農)장학재단에도 10억원 기부, 기부의 삶 실천이 곧 예술
“KAIST가 내 꿈을 이뤄줄 것으로 믿는다. KAIST가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로 국민 모두가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들어 달라!”
이는 김병호(金炳鎬, 68, 서전농원 대표) 회장이 평생 피땀 흘려 모은 300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KAIST 발전기금으로 기부하면서 남긴 말이다.
김 회장은 “17살에 76원을 들고 상경하여 서울에서 안 해본 일이 없다. 정말 지독하게 일하고 무섭게 절약했다. 무더운 여름날 단돈 1원을 아끼려고 남들이 다 먹는 사카린 음료수조차 사먹지 못했다.”고 자신의 어려운 시절을 회고했다.
이토록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김 회장의 형제에 대한 우애와 교육에 대한 신념은 남달랐다. 7남매의 장남으로 동생들의 학업을 뒷바라지하느라 정작 본인은 공부할 기회를 잃었지만 한 번도 자신의 처지를 비관한 적은 없었다. 김 회장은 아버님께서 돌아가시자 상을 치르고 남은 부의금을 친척들 자제의 장학금으로 내놓았다. 그 길만이 아버님의 마지막 가시는 길을 뜻있게 하는 일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또한, 자신처럼 교육의 혜택에 목말라 할 후학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 고향인 부안군 ‘나누미 근농(根農)장학재단’에 10억원의 장학금을 쾌척하기도 했다.
“버는 것은 기술이요, 쓰는 것은 예술이다.” 김 회장이 평소 가장 좋아하는 말이다. 이는 자신을 위해서는 단 돈 1원도 허투루 쓰지 않지만 후학들을 위해서는 거금을 쾌척하는 김 회장의 돈에 대한 철학이 가장 잘 집약된 말이다.
이번 기부 결정에는 부인 김삼열 여사와 가족들의 격려가 큰 역할을 했다. 김 회장이 처음 기부 의사를 비쳤을 때 가족들은 김 회장의 뜻을 흔쾌히 받아들인 것은 물론이고 오히려 이를 자랑스러워했다. 그도 그럴 것이 평소에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말씀해왔고, 아들 김세윤(까페 뎀셀브즈 대표)씨도 이 뜻에 따라 매달 일정금액을 유니세프 등에 후원금으로 기부하는 등 기부를 당연한 의무라고 생각하고 있다.
우리대학 관계자는 “김 회장님이 살아오신 삶을 듣고 많은 것을 배우게 됐다. 그렇게 힘들게 모으신 재산을 아무 연고도 없는 KAIST에, 오로지 국가의 미래를 위한 순수한 일념으로 기부해 주신 것에 깊이 감동받았다. 김 회장님은 우리 사회 전체가 본받아야 할 진정한 어른이시다. KAIST 모든 구성원이 회장님의 깊은 뜻을 마음에 새겨 최선을 다해 노력으로 보답하겠다. 김회장님의 숭고한 정신이 KAIST에 영원히 남아 후학들이 이를 본받아 큰 열매를 맺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 발전기금 약정식은 12일(수) 오후 4시 30분, KAIST 대강당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2009.08.14
조회수 14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