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A%B0%95%EC%97%B0%EC%9E%90
최신순
조회순
ACS Nano 편집장 등 국제학술지 에디터 9명 KAIST에 온다
미국화학회 나노학술지 (ACS Nano) 편집장 등 국제 학술지 에디터 9명이 KAIST에 온다. 우리대학은 다음달 2일(화) 본교 KI빌딩 퓨전홀에서 신소재 분야 전문가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KAIST 국제 신소재 공학 워크숍’을 연다. ‘유망 신소재 분야의 빅 아이디어들’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워크숍에는 재료공학·화학·응용물리·화학공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 에디터와 국가과학자인 KAIST 유룡 교수가 강연자로 참여해 발표와 토론을 진행한다. [주요연사] 해외 전문가로는 국제 학술지의 편집장 3명과 부편집장(급) 5명이 참여한다.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나노학술지(ACS Nano)에서는 편집장 폴 웨이즈(Paul S. Weiss) UCLA 교수, 부편집장 알리 자베이(Ali Javey) UC Berkeley 교수, 부편집장 레지날드 페너(Reginald M. Penner) UC Irvine 교수 등 3명의 에디터가 참여한다. 나노분야 대표적 학술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에서는 부편집장 줄리아 그리어(Julia R. Greer) 칼텍(Caltech) 교수와 부편집장 유난 시아(Younan Xia) 조지아 공대 교수 등 2명이 참여한다. 이밖에 재료화학 학회지(Chemistry of Materials) 편집장 질리안 뷰리악((Jillian M. Buriak) 알버타대학교 교수, 신생저널인 미국 화학회 광학회지(ACS Photonics)의 편집장 해리 애트워터(Harry A. Atwater) 칼텍(Caltech) 교수, 동 킨(Dong Qin) 조지아 공대 교수도 함께 한다. 국내 전문가로는 미국 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의 부편집장이자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단장을 맡고 있는 서울대학교 현택환 교수와 대한민국 국가과학자이며 기초과학연구원‘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단장을 맡고 있는 KAIST 유룡 교수가 참여한다. 워크숍은 △ 차세대 광전자 디바이스 및 3차원 나노구조 소재 △ 의학 및 산업용 나노 소재 △ 센서 및 촉매 소재 분야 등 3개 세션으로 나눠 진행된다. 주요 주제는 △ 태양광 에너지 소재 △ 미래 전자기기 및 센서를 위한 소재 △ 실리콘 표면의 나노패턴 형성 △ 3차원 나노구조의 메타 소재 디자인 △의료기술 및 에너지 저장을 위한 나노 소재 △ 금속 콜로이드 나노결정 △ 3차원 다공성 탄소 소재 △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고감도 수소가스 감지 소재 △ 나노결정 합금 소재 연구 등이다. KAIST는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국내외 저명한 석학들과 정보교류를 강화하고 공동 연구를 실시해 세계 최고의 소재기술을 개발하는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번 워크숍을 총괄하는 김일두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이번 워크숍은 재료공학 분야 저명한 석학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국제학술 교류의 장”이라며 “전 세계 나노 신소재 분야의 미래 기술을 알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AIST 신소재공학과는 ‘2016 QS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에서 전 세계 대학 중 18위(국내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끝.
2016.07.28
조회수 16156
강성모 총장, 재미한인과학기술인협회 최고 공헌상 수상
강성모 총장이 재미한인과학기술인협회(KSEA)가 수여하는 ‘최고 공헌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7월 30일(현지시간) 오후 美 애틀란타에 위치한 하야트 리젠시 호텔에서 열리는‘한-미 과학기술자 학술대회(UKC-2015)'에서 진행된다. ‘최고 공헌상’은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의 발전을 위해 공헌한 외부인에게 주는 최고의 상으로, 협회 소속 포상위원회가 추천자들을 엄격히 심사해 그 수상자를 결정한다. 강 총장은 최근 수 년 동안 UKC 학술대회의 기조강연자로 나서 대회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고 지속적으로 대회를 후원해 왔던 공로를 인정받았다. 강 총장은 이번 학술대회의 기조강연자로 나서 ‘섬김의 마음으로 최고 추구(Pursuing excellence with a servant's heart)'를 주제로 강연한다. 그는 서번트 리더십이 학계와 산업계 구성원들로부터 공동의 헌신을 이끌어 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이야기 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과 미국의 정상급 과학기술인의 축제마당인‘한-미 과학기술자 학술대회(UKC 2015)’는 7월 29일부터 8월 1일까지 미국 애틀랜타에 위치한 하얏트 리젠시 호텔에서 열린다. 1999년 시작해 올해 17회 째를 맞이하는 이번 행사는 한국과 미국 과학기술인 1300여 명이 참여해 과학기술 정보를 교환하는 자리이다. 기초과학, 산업기술과 첨단기술 등 3개 그룹으로 나누어 심포지엄과 포럼이 열린다.끝.
2015.07.30
조회수 9350
한국 핀테크 산업의 과제를 주제로 컨퍼런스 개최
‘핀테크’ 열풍으로 국내․외 금융산업이 격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핀테크 산업의 해외 진출 가능성을 살펴보는 자리가 마련된다. 우리 대학은 오는 21일(목) 오후 1시 서울 명동 은행회관 2층 컨퍼런스홀에서 권오규 前 경제부총리, 정지원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강성모 총장 등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세계 금융시장을 향한 한국 핀테크의 도전과 과제’를 주제로 핀테크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정보기술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금융기술을 말한다. 아직까지 핀테크의 실질적 정의가 모호하고 산업간 경계가 명확하지 않지만, 첨단 IT기술을 보유한 우리나라가 세계 금융산업의 선도자로 나설 수 있는 기회라는 평가다. 컨퍼런스는 국내 핀테크 기업이 세계 금융시장에서 어떻게 경쟁력을 갖출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진행된다. 먼저 기조강연자로 나선 김동석 KAIST 경영대학장은‘한국 핀테크의 도전과 과제’란 주제발표에서, 핀테크 산업이 지급결제 또는 인터넷 전문은행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산업간 경계를 허무는 창조적 파괴 산업이 될 것임을 강조 할 예정이다. 이어 금융계에서는 김종현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이‘국내 핀테크 생태계 구축을 위한 필요조건’을 주제로 발표한다. 우리 대학에서는 ▲권영선 기술경영학과 교수가‘한국경제와 핀테크의 역할’▲이윤준 전산학부 교수가‘ICT 분야에서 본 한국 핀테크’▲이병태 경영공학부 교수가‘한국에서 핀테크 현황과 가능성’▲김병천 경영공학부 교수가‘핀테크 산업 육성을 위한 도전과 과제’를 주제로 각각 발표한다. 이밖에 윤창현(前 금융연구원장)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가‘국내 금융산업의 위기와 핀테크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와 함께‘한국 핀테크 산업 육성 방안’을 주제로 열리는 토론회에는 미래창조과학부 송재성 인터넷 제도혁신과장, 금융위원회 김동환 전자금융과장, 삼성경제연구소 전진 박사, 8Persent 이효진 대표, 보험연구원 황인창 박사, 코스콤 이재규 미래사업단장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김병천 KAIST 금융공학연구센터장은 “앞으로 핀테크 산업은 고객이 찾아오도록 하는 방식에서 고객의 생활패턴을 파악해 적재적소에 필요한 상품과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발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컨퍼런스 상세 정보는 홈페이지(http://business.kaist.ac.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5.05.14
조회수 12581
이상엽 특훈교수, 제1회 반트 호프 강연자로 선정
우리 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가 네덜란드 델프트공과대학(Technical University of Delft)에서 주관하는 ‘제1회 야코부스 반트 호프 강연자(Jacobus van’t Hoff Lecturer)’로 선정돼 오는 13일 델프트공과대학 대강당에서 강연을 한다. 야코부스 반트 호프 박사(1852~1911)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용액 내 화학물질의 거동과 삼투압법칙 등을 발견한 공로로 1901년 제1회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델프트공대는 올해부터 반트 호프 박사의 업적을 기리며 생명화학공학분야에서 커다란 기여를 한 연구자에게 ‘반트 호프 강연자 상’을 수여하고 기념 강연회를 갖는다. 이 교수는 시스템대사공학을 창시하고 숙신산, 다이아민, 가솔린 등 미생물을 이용해 다양한 석유화학물질들을 친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하게 생산하는 ‘바이오리파이너리’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점을 인정받아 강연자로 초청됐다. 최근 미국화학회 마빈존슨상, 미국산업미생물생명공학회의 찰스톰상, 암젠 생명화학공학상 등 해외에서 유명한 상을 다수 수상한 이 교수는 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공학한림원, 미국공학한림원 외국회원, 세계경제포럼의 바이오텍 글로벌아젠다카운슬 의장으로 활동 중인 생명공학 분야 세계적인 리더다. 최근 세계최초로 가솔린을 만들 수 있는 미생물을 만들어 "네이처(Nature)"지 표지논문을 게재하기도 했다.
2013.11.12
조회수 12052
이상엽 특훈교수, 국제 산업미생물학회 개회 기조강연
- 2011년 암젠 기조강연자로 바이오기반 친환경 화학 산업에 관한 강연 - 우리 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가 오는 24일부터 28일까지 미국 뉴올리언즈에서 개최되는 ‘2011년 국제 산업미생물학회’의 암젠 개회 기조강연자로 초청받았다. 이 교수는 ‘미생물 시스템대사공학을 통한 바이오기반 화학물질 생산’을 주제로 강연한다. 이 학회에는 전세계 산업생명공학 분야 2천여명의 산학연 전문가들이 모인다. 이들은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로부터 화학물질, 연료, 고분자 등을 친환경적으로 만드는 방법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을 발표한다. 암젠 기조강연은 산업생명공학분야에서 전세계 최고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자를 초청해 연구 동향과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개회 강연이다. 이에 앞서 이 교수는 지난 7월 20~21일 개최된 미국 에너지성 산하 공동바이오에너지연구소(Joint BioEnergy Institute)의 과학자문회의에 참석해 "바이오연료의 생산을 위한 대사공학"을 주제로 강연을 하기도 했다. KAIST 이상엽 교수는 시스템대사공학 분야를 창시한 세계적 석학이다. 미생물의 대사회로를 시스템 수준에서 조작해 숙신산, 폴리에스터, 바이오연료, 아미노산 등 다양한 화학물질을 바이오기반 친환경적으로 만드는 연구에서 세계적인 업적을 내고 있다. 현재 교육과학기술부 시스템생물학 연구개발사업과 글로벌프론티어 바이오매스 사업단 사업 과제를 통해 바이오화학 산업에 필수적인 대사공학 원천기술들을 개발 중이다.
2011.07.22
조회수 13353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