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D%99%A9%ED%98%84%EB%91%90
최신순
조회순
황현두 박사, 멕시코 몬테레이 공대 영년직 교수 임용
<황 현 두 박사> 우리 대학 바이오및뇌공학과 출신 황현두 박사가 멕시코 몬테레이 공과대학(ITESM, Instituto Tecnológico y de Estudios Superiores de Monterrey) 영년직 교수로 부임했다. 학부, 석, 박사 과정을 우리 대학에서 취득한 황 박사는 유니스트와 미국 조지아 공대에 재직 후 우수한 연구업적과 가능성을 인정받아 만 29세의 나이로 몬테레이 공대 교수에 임명됐다. 황 박사는 이번 가을학기부터 생명의료공학과(Ingeniería Biomédica) 소속으로 강의를 시작하고, Sensors & Devices 연구그룹에서 나노·마이크로 기술 분야 연구를 동시에 진행할 예정이다. 1943년 설립된 몬테레이 공대는 멕시코 25개 도시에 33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전체 학생 수가 9만 명이 넘는 중남미 최대 규모의 대학이다. 대학원생의 47%가 해외 연구 경험이 있고, 매년 5천여 명의 외국인 학생과 교수를 모집한다. 황 박사는 첨단 나노·마이크로 기술을 기반으로 한 난치성 질환 진단, 세포 신호 전달 연구, 환경 모니터링 등을 위한 기술과 초고속 대용량 분석 플랫폼을 개발했다. 또한 미국, 독일 등 10개국 이상의 멤스 기술 관련 국제 공동 프로젝트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미국과 멕시코에서 바이오센서 기술 사업화를 진행하는 등 활발한 국제 연구개발 활동 중이다. 조광현 바이오및뇌공학과 학과장은 “바이오및뇌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까지 마친 1회 졸업생의 우수한 연구성과를 국제적으로 검증받은 사례다”며 “학제 간 첨단융합과학을 연구하는 바이오및뇌공학과 출신들이 세계 유수 대학으로 진출하는 사례가 계속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15.08.10
조회수 12675
바이오및뇌공학과 황현두 군, μTAS 2009 국제학회에서 젊은 연구자 포스터 우수상 수상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사과정 황현두(지도교수 박제균) 학생이 지난 11/1-5일 제주도에서 열린 ‘μTAS 2009 국제학회 (제13회 극소형 생물/화학분석시스템 국제학술회의, Th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niaturized Systems for Chemistry and Life Sciences)’에서 ‘광전자유체제어 기술로 수용액 상에 존재하는 생체분자의 확산계수를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Diffusion measurement of biomolecules using rapid generation of black hole in a molecular solution by optoelectrofluidics)’에 관한 논문으로 ‘젊은 연구자 포스터 우수상(Young Researcher Poster Award Winner)’을 수상했다. 황씨는 세계 유수의 대학과 연구기관으로부터 발표된 약 600 여 편의 Poster 논문 가운데 다단계 전문가 심사를 거쳐 선정된 3명의 수상자 중의 한명으로 결정됐다. 황씨는 지난해 San Diego에서 개최된 μTAS 2008 국제학회에서도 여행경비 일부를 보조 받는 ‘Student Travel Grant’를 받은 바 있었다. 바이오및뇌공학과에서 학부과정을 3년만에 조기 졸업 한 황씨는 1년 6개월만에 석사논문을 완성하고, 지난 2007년 9월 박사과정에 입학하여 그동안 2년여에 걸친 박사과정 기간 동안 Analytical Chemistry, Langmuir, Lab on a Chip, Applied Physics Letters 등 우수국제 저널에 제1저자의 논문 10편을 이미 출판한 바 있다. 이 중 광전자유체제어기술로 미세입자를 조절하는 새로운 결과는 2009년 1월호 Lab on a Chip 표지논문으로 선정된 바 있어 논문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적으로 입증한 바 있었다. 이밖에 황씨는 2007년도 한국바이오칩학회 우수논문발표상, 2008년 서암학술장학재단 제17기 국내 박사과정연구지원 이공계 부문 장학생으로 선정된 바 있다.
2009.11.12
조회수 23312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