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D%98%84%EB%8C%80%EB%AF%B8%EC%88%A0
최신순
조회순
기계공학과 김성용 교수, 현대미술작가와의 바다를 주제로 한 협업전 참여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김성용 교수가 김재남 작가와 `공기와 바람의 조각: 1,000일간의 기억과 기록'이라는 제목으로 협업한 현대미술 전시회가 전남 여수 GS 칼텍스 예울마루 7층 전시실에서 지난 9월 16일부터 이번 달 30일까지 진행 중이다. 이 전시를 통해 김재남 작가는 김성용 교수의 해양관측 가시화 결과를 현대미술에 접목한 다수의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홍익대 현대미술관과 금호미술관 등에서의 개인전을 비롯해 100여 회의 그룹전에 참여하는 등 국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김재남 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김 교수는 과학이 문화와 어떻게 접목되고 실체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했다. 또한, 김 교수는 해양 관측자료들이 분석되고 가시화된 결과들이 심미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에 논문 속의 그림으로만 남는 것이 아니라 미술 작품으로 재탄생하면 일반인들도 쉽게 자연의 현상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협업의 재료가 된 논문은 여수해만에서 장기 관측된 표층 해수의 유동에 포함된 태양-달-지구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생기는 조류의 계절에 따른 변동성을 가시화한 결과로, 김 교수는 이번 전시에서 이를 확대 및 축소해 자연의 변동성에 담긴 질서와 아름다움을 부각하고자 했다. 해당 논문은 해양학계 최고 저널인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Oceans에 2019년에 출간된 바 있다. 김성용 교수는 “이번 전시를 통해 자연현상을 관측하고 해석한 결과가 과학자들만의 관심사에 머물러 있지 않고, 일반 대중들에게도 과학을 더 쉽고 친근감 있게 소개할 기회가 되어 나아가서는 그 저변을 더 넓혀갈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논문 세부 정보: Won, S. I., S. Y. Kim, and K. O. Kim, 2019: Submesoscale surface tidal, vortical, and residual circulations in a semi-enclosed bay, J. Geophys. Res. Oceans, 124(7), 5105 - 5137, doi:10.1002/2018JC014892
2022.10.04
조회수 1563
공학과 미술의 만남(심현철 교수, 국립현대미술관 안정주/전소정 작가 컬래보레이션)
`인공지능(AI)의 눈으로 세상을 보면 어떨까?' 라는 질문의 답이 궁금한 사람은 올여름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2021 멀티버스관을 방문해보기 바란다. 우리 대학 전기및전자공학부 심현철 교수가 국립현대미술관에 안정주/전소정 작가의 기계속의 유령이라는 작품에 협업해 `AI in EE(Electrical Engineering)' 모델로 공학과 미술이 합쳐진 공간구성을 제시했다. 본 작품은 2021년 5월 14일부터 8월 1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전시관에 다원예술 2021 : 멀티버스 (MMCA Performing Arts 2021 : Multiverse)관에 전시된다.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2021: 멀티버스⟫ 세 번째 작품으로 <기계 속의 유령>은 미술관을 무대로 한 영상설치 작품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가진 드론이 유령과 같은 시선을 가진 퍼포머로 등장하며, 설치작품 사이를 비행하며 촬영한 이미지를 실시간 송출하여 유튜브를 통해서도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VjoDC4eDXA&t=2s) 이 기술은 2019, 2020년 AI 그랜드 챌린지에서 제어지능 부분에서 우승한 연구진의 실내비행기술을 활용한 것으로서 과기정통부 인공지능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진행 중이다.
2021.06.01
조회수 56991
KAIST에 꽃핀 로봇 예술 … 인공의 뇌, 로봇은 진화 한다 전시회
진화론 : 인간에서 휴머노이드로 _ 손승현 作 자신과 닮은 또 하나의 신인류를 만들고자 하는 욕망은 과거의 역사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인간은 스스로 만든 연장물(Extension)을 통해 진화하며 결국 스스로 그들에게 길들이며 살아간다. 인간이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이 미래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를 고민해 보자는 작가의 설명이다. KAIST 교내 KI빌딩에서 21일부터 2015년 2월 8일까지 열리는 ‘인공의 뇌, 로봇은 진화 한다’ 전시회에 참가한 손승현(43) 작가의 ‘진화론 : 인간에서 휴머노이드로’가 담은 의미다. KAIST 예술 및 디자인위원회(위원장 김명석)가 과학과 예술의 융합을 통한 실험적 예술 전시회를 3년째 이어가고 있다. 이번 전시회는 2012년 기후 대기환경을 주제로 열린 <하늘을 보다>전과 2013년 생명의 다양성과 공생 네트워크를 주제로 열린 <생명은 아름답다>전에 이은 세 번째 기획전이다. 전시회는 ▲움직이다▲느끼다▲생각하다▲표현하다▲상상속의 실험 등 5개의 소주제로 나눠 전시된다. 백남준, 낸시랭, KAIST 김명석 교수 등 17명의 작가가 참여해 19점의 작품을 출품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컴퓨터 시각은 오류이지만 인간의 눈에는 얼굴 모습으로 보이는 ‘클라우드 페이스’(Cloud Face, 신승백 김용훈 作), KAIST 로봇 랩들의 재료와 모티브를 바탕으로 한 ‘통속의 뇌’(Brains in vat, 이부록․김명철 作)가 있다. 또 로봇의 일생을 다룬 ‘내 인생의 오월’(The May of My Life, 김명석 교수 Lab 作)은 인간과 로봇 간의 피드백을 통해 양 자 간의 새로운 관계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다. 김명석 KAIST 예술 및 디자인위원장은 “문화예술의 다양한 콘텐츠는 학생들에게 풍부한 상상력을 제공할 것” 이라며 “이번 전시회가 과학적 아이디어와 함께 예술적 감각도 일깨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전시회 개막식은 21일 오후 2시 KI 빌딩 로비에서 출품작가, 내부구성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인공의 뇌, 로봇은 진화한다’展은 KAIST와 대전시립미술관이 주최하며 국립현대미술관과 소마미술관이 후원했다.끝.
2014.11.21
조회수 10637
국립현대미술관-KAIST 공동 기획전 『과학정신과 한국현대미술』
- 장흥, 월성, 통영에 이어 올해 마지막 ‘찾아가는 미술관’ 사업 - 백남준, 오지호 등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과 김종구, 조덕현, 이상현, 양주혜, 지호준, 김정한 등 42명의 작품 78점 KAIST 교정에서 전시 - 11월 5일(수), 일반인 대상 찾아가는 미술관 투어프로그램 운영 국립현대미술관(관장 김윤수)은 오는 11월 5일부터 12월 5일까지 대전 KAIST 교정에서 ‘찾아가는 미술관’ 사업의 일환으로 『과학정신과 한국현대미술』展을 개최한다. 국립현대미술관과 과학기술대학 KAIST가 공동 기획한 본 전시는 현대미술이 시작된 이래 과학적 사고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독특한 시도로, 국립현대미술관 소장작가 및 참여 작가 43명의 작품 78점이 선보인다. ‘예술가에게 과학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본 전시에는 광학, 컴퓨터 공학, 우주, 로봇, 기계공학, 나노연구, 고고학 발굴, 기하학 등 다양한 방면의 내용을 예술로 표현한 작품들을 KAIST 교정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본 전시에는 백남준, 오지호, 이상남, 이승조 등 국립현대미술관 소장작가와 KAIST 출신 작가 5명, 그리고 김종구, 조덕현, 이상현, 양주혜, 지호준, 김정한 등 참여 작가 작품들이 전시된다. 본 전시를 공동 기획한 김정화 KAIST 교수(07년 아르코 커미셔너)는 “90년대 중반 이후 선보이기 시작한 예술과 과학을 주제로 한 전시들이 대부분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이후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주목했다”며, “반면, 이번 전시는 과학적 사고가 작품 세계를 바꾸어 놓은 작가들에게로 관점을 맞추었다”고 전시 기획 의도를 설명했다. 개막식은 11월 5일(수) 오후 3시 KAIST 대강당에서 열리며, 개막 당일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전시기획자와의 만남 및 전시 투어를 내용으로 한 찾아가는 미술관 투어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문의) (042)350-2902
2008.11.04
조회수 12520
KAIST 실험실 공개합니다.
-오픈 카이스트(OPEN KAIST) 2008 개최 - 오는 6일(목)부터 이틀간, 총 17개 학과 참여 - 찾아가는 미술관-과학정신과 한국현대미술전 동시개최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갈 청소년들에게 과학기술 현장의 역동적인 연구 분위기와 KAIST학생들의 열정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산교육의 장이 마련됐다. KAIST(총장 서남표)는 일반인들에게 연구실을 공개하는 ‘OPEN KAIST 2008’ 행사를 오는 6일(목)과 7일(금) 양일간 개최한다. ‘OPEN KAIST’는 ‘SEE KAIST’와 더불어 KAIST의 대표적인 과학문화 대중화 행사 중 하나다. 2001년 제1회 행사를 시작으로 2004년 제3회 행사부터는 ‘SEE KAIST’와 격년제로 개최돼, 올해로 5회째를 맞이했다. 이번 행사에는 KAIST의 17개 학과가 참여하여 학과소개, 실험실 개방 및 실험시연, 과학을 주제로 한 다양한 이벤트, 동아리 소개 등 각종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서 공학 분야는 ▶입는 컴퓨터(유비쿼터스 패셔너블 컴퓨터) 데모 ▶미래형 디스플레이 ▶미래형 로봇 등 IT산업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다채로운 연구 결과들이 선보여질 예정이어서 벌써부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외에도 기계․항공과 관련하여 ▶햅틱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 분야 ▶연료전지 생성과정 ▶3차원 쾌속조형기술 ▶휴보의 새로운 버전 및 수술용 로봇 시연 ▶지능형 컴퓨터를 이용한 가상환경(iCAVE Room) 체험 ▶광학측정원리 ▶달착륙선 및 우주선 엔진의 작동 시연 등 신선하고 흥미로운 주제들을 다룰 계획이다.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생명과학과의 ‘생명과학의 신비’ ▶수리과학과의 ‘신비한 암호의 세계(암호론)’ ▶물리학과에서 소개하는 ‘극저온의 양자세계’ ▶화학과의 ‘나노와 바이오가 여는 세상’ 등의 프로그램이 준비됐다. 특히, 올해는 KAIST 문화기술(CT)대학원의 활약도 기대된다. CT대학원과 국립현대미술관이 공동으로 기획한 ‘찾아가는 미술관-과학정신과 한국현대미술전’이 그것이다. 총 43명의 현대미술작가가 참여하는 이 미술전에서 관람객들은 광학, 컴퓨터공학, 우주, 로봇, 기계공학, 나노연구, 고고학 발굴, 기하학 등 다양한 방면의 내용을 예술로 표현한 작품들을 KAIST 캠퍼스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이번 전시회는 관람객의 동선을 따라 작품을 전시하는 이색적인 전시 방식으로, 실험실을 이동하면서 관람객들은 과학과 예술이 어떤 지점에서 만나 융합하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게 된다. 미술전은 ‘OPEN KAIST’ 개막 하루 전인 5일(수)에 시작돼 오는 12월 5일(금)까지 한달간 개최된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박승오(朴昇吾,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공과대학장은 “일반인과 청소년에게 이틀 동안 개방되는 KAIST 가을축제, ‘OPEN KAIST’는 우리가 생활에서 쉽게 만날 수 없는 과학적 지식과 한국현대미술의 예술적 향기로, 결실의 계절 가을을 더욱 풍요롭게 가꾸어줄 것”이라고 행사의 의의를 소개했다.
2008.11.04
조회수 13875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