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D%97%AC%EB%A6%AC%EC%BD%A5%ED%84%B0
최신순
조회순
이덕주 교수, 제32회 21세기 대상 기술부문 수상
<이덕주 교수 및 수상자> 우리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이덕주 교수가 4월 13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32회 21세기 대상 시상식’에서 기술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21세기 경영인클럽/신산업경영원(이수성 시상위원장)은 새로운 산업과 기술 등을 주도하며 국내 경제, 산업 발전에 기여한 인사를 대상으로 이 상을 수여한다. 이덕주 교수는 국가 회전익 사업인 한국형 기동형 헬기 수리온 개발과 LCH/LAH 경민수/경공격헬기 사업 등 헬리콥터 산업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았다. 이 교수는 우리 대학에서 박사 26명과 석사 27명을 배출했고, 제1회 아시아/호주 회전익 포럼 및 전시에서 대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미국헬리콥터학회(AHS) 부회장, 한국 드론 산업 진흥협회 부회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최근 교육부가 주관하는 K-MOOC(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를 통해 ‘헬리콥터 비행의 이해’의 주제로 강의를 했으며, 세계적 인터넷 강좌인 코세라(Coursera)에서의 강의, 전인교육학회 회장으로 활동하는 등 다양한 교육에도 힘을 쏟고 있다. 경영인대상으로는 제1회 현대 그룹 정세영 회장을 비롯해 올해는 이춘화 전 삼성 통신 반도체 사장이 선정됐고, 기술 포함 6개 부문 대상과 경영문화대상도 각 분야에서 오랜 기여도가 있는 전문가들에게 주어졌다.
2017.04.24
조회수 13202
이덕주 교수, 아시아-호주 회전익항공기 포럼 공로상 수상
〈이 덕 주 교수〉 우리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이덕주 교수가 지난 달 17일 인도에서 열린 제 4 회 아시아-호주 회전익항공기 포럼(ARF, Asian-Australian Rotorcraft Forum 2015)에서 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아시아-호주 회전익항공기 포럼에는 미국의 벨 헬리콥터(Bell helicopter)사와 유럽의 에어버스 헬리콥터(Airbus helicopter)사 등이 참여해 헬리콥터 포함 회전익항공기와 관련된 학문적, 기술적 연구를 교류한다. 이덕주 교수는 제1회 아시아-호주 회전익항공기 포럼 및 전시회의 대회장을 맡아 초대 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등 헬리콥터 관련 분야를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교수는 “이번 수상을 계기로 현재 진행되는 국내 항공 사업에 젊은 학자 및 연구자들의 많은 연구 결과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길 바란다”며 “나아가 항공분야에서도 새로운 세계 시장 창출이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1985년 미국 나사 에임스(NASA Ames) 연구센터의 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한 이 교수는 항공기 제트 엔진과 헬리콥터 공력음향학(Aeroacoustics) 연구 분야의 석학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미 헬리콥터 학회지 부 편집장과 한국형 군용헬기, 민수헬기 통합 태스크포스 팀장을 역임했다. 지난 5월에는 국내 최초로 미 헬리콥터 학회(American helicopter Society, AHS) 부회장으로 선출돼 아시아, 호주, 러시아 지역을 담당하고 있다.
2015.12.08
조회수 8260
이덕주 교수, 美 헬리콥터 학회 부회장 선출
이 덕 주 교수 우리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이덕주 교수가 국내 최초로 미국 헬리콥터 학회(American Helicopter Society, AHS) 부회장에 선출됐다. 이 교수는 올해 7월부터 2년간 부회장으로서 아시아, 호주, 러시아 지역을 담당한다. 미국 헬리콥터 학회는 1943년 창립한 이래 6800명의 회원이 등록된 동일 분야 최대 학회로, 전 세계 헬리콥터 기술 뿐 아니라 수직이착륙(VTOL) 비행기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사회는 미국 헬리콥터 제조사로 유명한 시콜스키(Sikorsky Aircraft Corporation)社 회장을 비롯해 회전익분야의 전문가 30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 교수는 1985년 미국 나사 에임스(NASA Ames) 연구센터 연구원으로 시작해 항공기 제트 엔진과 헬리콥터 공력음향학(Aero-Acoustics) 연구 분야의 세계적 석학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미 헬리콥터 학회지의 부 편집장과 제1회 아시아-호주 회전익기 포럼 및 전시 대회장과 한국형 군용헬기, 민수헬기 통합 테스크포스 팀장을 역임했다.
2015.05.12
조회수 7977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