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D%95%9C%EA%B5%AD%EA%B3%BC%ED%95%99%EB%AC%B8%EB%AA%85
최신순
조회순
한국 과학문명연구, 과학기술 한류를 선도한다
- KAIST 한국과학문명사연구소, <한국과학문명사> 영문판 10권 영국 캠브리지 대학 출판사와 출판 계약 성공 - 우리 학교 한국과학문명사연구소(소장 신동원 인문사회학과 교수)는 영국 캠브리지 대학의 니덤연구소와 손잡고 캠브리지 대학 출판사에서 <한국과학문명사> 영문 총서 10권을 출판하는 계약에 성공했다. 한국과학문명사연구소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2010년 12월에 출범했으며, 2020년까지 10년간 한글본 30권, 영문본 7권의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을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과학문명사 연구팀은 1단계 성과로 2013년 11월 현재 한글본 11권과 영문본 1권의 연구결과 보고서를 제출했으며, 영문본 10권에 대해 영국 캠브리지 대학 출판사와 출판 계약을 체결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당초 영문본 7권을 출간할 계획이었으나, 영문본 편집진의 노력과 캠브리지 대학 니덤 연구소의 협력으로 당초 목표보다 3권 많은 전 10권의 <한국과학문명사> (Science and Civilization in Korea) 시리즈를 캠브리지 대학 출판사와 출간하기로 했다. 세계 지식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이 출판사에서 비서구권 인문·과학 총서가 출판되는 것은 1954년부터 시작된 조지프 니덤(Joseph Needham)의 <중국의 과학과 문명>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에 이어 두 번째이며, 국내 학계에서도 처음으로 일구어낸 성과이다. 이는 그동안 중국·일본에 가려져 온 한국 과학문명의 역사가 중국이나 서구의 그것과 대등하게 평가받게 됐음을 뜻한다. 한국과학문명사연구소는 영문본 편집을 위해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의 윤홍기 교수를 영문에디터로 선임했으며, 영국 캠브리지 대학 니덤연구소 소장이자 <중국의 과학과 문명> 편집인인 크리스토퍼 컬른(Christopher Cullen) 교수와 호주 퀸즐랜드 대학의 동아시아 근현대 과학사 전문가 모리스 로(Morris Low) 교수를 코에디터로 초빙해 막강한 진용을 구축했다. 잠정 결정된 한국과학문명사 영문판 10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2. Technology, Everyday Life, and Korean Civilization 3. History and Cultural Studies of Geomancy in Korea 4. Patients, Doctors, and the State: History of Korean Medical and Pharmaceutical Culture 5. History of Astronomy in Korea 6. Mathematics and the History of Korean Civilization 7. The West and Korea in the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1600 –1950 8. Imperialism, Colonialism, Post-colonialism and Techno science in Korea 9.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under the Korean Authoritarian Regime 10. Dynamic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Korean Industrialization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영문판을 캠브리지 대학 출판사에서 출간하게 된 것은 한국과학문명의 성취가 세계에 발신할 수 있는 중요한 가치를 지님을 확인하고, 대중문화의 한류를 넘어서 한국 과학기술의 한류를 선도하는 성과라고 평가받는다. 또한 중국과 일본 중심의 편향되고 왜곡된 동아시아 과학문명사 이해를 바로 잡음과 동시에, 한국 현대과학기술 발전의 놀라운 성취를 개발도상국의 과학기술의 발전 모델로 제시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한국과학 문명 사례와 수많은 개도국의 과학문명을 결합하여 새로운 과학문명 연구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과학문명 연구의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관련 주요 언론 보도 -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610288.html - 연합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584618 - 중앙일보: http://joongang.joins.com/article/aid/2013/11/08/12672077.html?cloc=olink|article|default - 코리아타임즈: http://www.koreatimes.co.kr/www/news/culture/2013/11/386_145929.html -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7981 - 대덕넷: http://www.hellodd.com/news/article.html?no=44498
2013.11.12
조회수 14427
KAIST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제3회 시민인문강좌 무료 개설
- 일반 시민 대상 25일부터 홈페이지에서 접수 - KAIST(총장 강성모)가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3회째 인문 및 교양 강좌 프로그램을 무료로 개설한다. KAIST 인문사회과학연구소가 주최하는 ‘시민인문강좌’는 4월 30일부터 6월 4일까지 매주 화요일 오후 3시부터 2시간 동안 KAIST 인문사회과학동 국제세미나실에서 총 6회에 걸쳐 개최된다. 인문학 분야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이라면 누구나 시민강좌에 참석할 수 있다. 참가 신청은 4월 25일에서 28일까지 인문사회과학과 홈페이지(http://hss.kaist.ac.kr)에서 접수 가능하며 수강료는 전액 무료다. ‘과학문명사의 발자취’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시민강좌에서 수강생은 세계과학문명의 탄생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과학이 인류문명 발전에 기여한 부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한국 과학문명 발달사를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의 위상을 다시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진다. 6개 강좌의 주제는 ▴서양 고대 과학문명의 시작 ▴갈릴레오·데카르트·뉴턴 등 대과학자가 일군 17세기 유럽의 과학혁명 ▴인체에 대한 탐구 영역을 근본적으로 바꾼 20세기 분자생물학의 혁명 ▴고대 동아시아 과학 문명과 한국 과학문명의 시작과 전개 ▴조선 후기 동서양 과학문명의 조우 ▴한국과학문명의 황금기: 세종시대의 과학적 성취와 실패 요인이다. 강사진은 과학문명사 분야의 국내 최고 권위자들로 구성되었다. 한국에서 과학사 연구를 개척한 “과학사의 전도사”로 불리는 송상용(한국과학기술한림원) 교수, 한국과학사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꾼 박성래(전 외대 부총장) 교수, 조선 후기 동서 교류사의 권위자인 임종태(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교수와 함께 서양과학사 연구에서 혁혁한 성과를 내고 있는 박민아(카이스트 과학정책대학원) 연구 교수, “한국의 과학과 문명”(총 37권 시리즈) 연구책임을 맡고 있는 한국과학문명사연구소장 신동원(카이스트 인문사회과학과) 교수가 강좌에 참여한다. 이번 강좌를 총괄하는 신동원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는 “현대 사회는 과학문명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전근대 시대에도 과학은 한 문명의 물질적, 정신적인 토대가 되었다. 이번 인문학 강좌에 많은 시민이 참여해 서양, 동양, 한국 과학문명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소중한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강좌에 대한 상세내용은 홈페이지(http://hss.kaist.ac.kr/)에서 확인하면 된다. 붙임: 2013년 시민인문강좌 안내 2013년 KAIST 제3회 시민인문강좌 <과학문명사의 발자취> ⚫기간: 2013년 4월 30일~6월 4일(총6회) ⚫시간: 화요일 오후 3시~5시 ⚫장소: 카이스트 인문사회과학동 국제세미나실(N4, 1431호) ⚫강의 시간표 일시 연사 분야 제목 4.30 신동원 과학사 (KAIST/인문사회과학과 부교수) 1강. 과학문명을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고대과학문명의 탐색 5.7 송상용 과학사․과학철학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강. 고대과학문명 5.14 박민아 서양과학사 (KAIST/과학기술정책대학원 연구교수) 3강. 뉴턴의 과학, 뉴턴의 신 5.21 박민아 서양과학사 (KAIST/과학기술정책대학원 연구교수) 4강. DNA 이중나선 발견의 뒷이야기 5.28 임종태 한국과학사 (서울대학교/과학사·과학철학 협동과정 부교수) 5강. 서양과학과의 첫 만남, 그 첫 인상 –300년 전 한국 과학의 단면들 6.4 박성래 한국과학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6강. 세종의 과학적 성취-조선 근대화의 좌절 문의: 카이스트 인문사회과학연구소 T. 350-4687, E-mail. baobab@kaist.ac.kr
2013.04.23
조회수 16629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