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D%95%9C%EA%B2%A8%EB%A0%88%EC%8B%A0%EB%AC%B8
최신순
조회순
정문술 과학저널리즘대상 시상식
인터넷에 떠도는 ‘세월호’소문들이 과학적 근거가 없음을 보도한 한겨레신문이 ‘제4회 정문술 과학저널리즘상’ 대상을 수상했다. 방송부문상과 인터넷부문상은 각각 JTBC와 오마이뉴스가 수상했다. 시상식은 지난 11일 오전 서울 도곡캠퍼스에서 열렸다. 올해 4회째를 맞이한 ‘정문술 과학저널리즘대상’은 과학저널리즘 발전에 기여한 언론인․언론사에 수여하는 상이다. KAIST는 정문술 前 KAIST 이사장의 기부금 중 10억 원을 활용해 2011년부터 이 상을 수여해 오고 있다. 대상은 ‘잠수함 충돌? 손가락 골절시신 발견? 세월호 6가지 루머와 팩트 확인(송호균, 박기용, 최우리, 서영지, 이재욱)’을 보도한 한겨레신문이 수상했다. 한겨레신문은 대형사고 후 인터넷 등에서 떠도는 소문들이 과학적 증거가 없다는 것을 증명해 과학정신에 투철하고 기본을 지킨 보도였다는 점을 인정받았다. 방송부문상은 ‘증축으로 무게 늘어난 세월호…복원력 문제로 두 차례 검사(손용석)’를 보도한 JTBC가 수상했다. JTBC는 세월호 사고 원인이 증축에 의한 복원력 감소라는 점을 처음 보도했다. 인터넷부문상은 ‘[특집] 4월 16일 세월호, 죽은 자의 기록 산 자의 증언(이병한, 김도균, 고정미, 안홍기, 최용민, 봉주영, 김동환, 박소희, 김지혜)’을 보도한 오마이뉴스가 수상했다. 오마이뉴스는 웹과 모바일을 이용한 뉴스 제작으로 독자들이 서로 소통하면서 읽을 수 있는 방법을 처음 시도했다는 점을 인정받았다. 이번 대상 수상자에게는 2천만 원, 부문상 수상자에게는 각각 1백만 원의 상금이 수여됐다. 시상식 이후에는‘세월호 보도’를 주제로 제4회 과학저널리즘 리뷰 컨퍼런스(Science Journalism Review Conference)도 함께 열렸다. [사진설명] 11일 KAIST 도곡캠퍼스에서 열린 ‘제4회 정문술 과학저널리즘대상 시상식’에서 수상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끝.
2014.10.12
조회수 12000
에너지 빈곤층에 따뜻한 섬광을
KAIST 여예원(25·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과 1년차), 김지나(22·건설및환경공학과 및 경영과학과 4학년), 김주만(24·산업시스템공학과 및 경영과학과 4학년), 김재훈(24·에너지환경물지속가능대학원 2년차) 학생이 적정기술을 이용한 사회적 기업을 창업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가 한겨레신문 10월 12일(수) 자에 소개됐다. 이들이 만들려는 제품은 지붕이나 벽 등에 설치해 태양열을 모은 뒤 방 안으로 온풍을 넣어주는 장치로 카이스트랩(K-Lab)과 에스케이 행복나눔재단이 공동주최한 ‘제1회 적정기술 사회적 기업 페스티벌’의 사업계획서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으면서 시작됐다. 의기투합한 네 사람은 ‘번쩍이는 빛’과 ‘섬기는 빛’이라는 두가지 의미를 지닌 ‘섬광’이라는 회사 이름을 만들고 해외의 사회적기업을 탐방하면서, 적은 예산으로 커다란 행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아이디어를 마련해 앞으로 에너지 빈곤층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사회적기업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음은 한겨레신문 기사 : "에너지 빈곤층에 따뜻한 섬광을" 카이스트생 뭉쳤다
2011.10.17
조회수 12037
김진형칼럼 아이폰,아이패드 소란을 보며
우리학교 김진형 교수(전산학과)가 "아이폰,아이패드 소란을 보며"란 제목의 칼럼을 한겨레신문 2010년 2월 3일(수)자에 실었다. 제목 [시론] 아이폰,아이패드 소란을 보며 저자 김진형(전산학과) 교수 매체 한겨레신문 일시 2010/2/3(수) 칼럼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402443.html
2010.02.03
조회수 10596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