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D%8E%B8%EC%A7%91%EC%9E%90
최신순
조회순
김광조 교수, 정보보호 분야 국제저널 편집자로 선정
〈 김광조 교수 〉 우리 대학 김광조 교수(전산학부 정보보호대학원)가 정보보호 분야의 국제우수 저널인 IEEE Trans. on Dependable and Secure Computing지 편집자로 선정됐다. 이 저널은 신뢰성과 보안성을 갖춘 시스템과 네트워크에 관한 설계, 모델링 및 평가기법에 대한 기초 이론, 설계방법론, 매커니즘에 관한 최신 연구결과를 격월 단위로 발간하는데 Impact Factor가 2.926이고, H-Index가 56인 국제 우수저널로서 IEEE Computing Society가 주관하는 17개 저널 중 하나다. 김광조 교수는 1982년부터 정보보호와 암호에 관한 연구에 종사한 국내 1세대 암호학자로서 그동안 우수한 연구 실적과 국제적인 지명도를 인정받아 편집자로 선정됐다.
2019.02.28
조회수 3956
KAIST 이상엽 특훈교수, 국내 첫 AFM지 편집자문위원 선임
우리 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가 세계적 재료 및 응용 분야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AFM)’지 편집자문위원으로 선임됐다. AFM지는 신개념 재료 및 그 기능, 나노, 바이오, 그리고 산업분야 응용에 있어 획기적인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학술지로, 1992년 광학 및 전자를 위한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for Optics and Electronics)라는 학술지로 출범해 2001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 학술지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41명의 전문가들이 편집자문위원 활동을 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이상엽 특훈교수가 자문위원으로 선임됐다. 이 교수는 “AFM지는 우리나라 많은 연구자들이 투고하는 학술지로 그동안 표지논문 등 다수의 논문발표가 있었다”며 “앞으로 학술지의 편집 방향과 전략 수립에 참여하며, 특히 바이오재료분야와 바이오-나노 융합분야 등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연구 분야 논문들을 포함하기 위한 전략 수립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이미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 대사공학 분야 뿐 아니라, 금속나노입자 제조 신공정 개발 등 나노바이오재료 및 응용 분야에서 특허와 논문들을 다수 낸 바 있고, 바이오테크놀로지 편집장, 대사공학지 부편집인 등 20여 학술지의 편집업무를 맡고 있다.
2012.06.13
조회수 10584
생명화학공학과 박현규교수, 생명공학분야 국제학술지 생명공학저널(Biotechnology Journal)편집자로 위촉
생명화학공학과 박현규교수가 유럽 최대 규모의 출판사인 독일 와일리(Wiley-VCH)社에서 발간하는 국제 학술지인 생명공학저널(Biotechnology Journal) 편집자(Editorial Board Member)로 최근 선임됐다. 박 교수는 그간 DNA 칩(chip)과 핵산 분석 바이오센서(Biosensor) 등 DNA 생명공학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해 많은 탁월한 연구 성과를 내 왔다. 박 교수는 2012년까지 이 저널의 편집업무를 수행하며 논문의 게재여부를 결정하는 의견을 제시하게 된다. 생명공학저널(Biotechnology Journal)은 지난 2006년 1월에 창간됐으며 Systems & Synthetic Biology, Nanobiotechnology, Microarray Technology, Metabolic Engineering 등의 생명공학분야에서 매우 유망한 국제 생명공학 학술지이다.
2010.02.08
조회수 14034
이상엽 특훈교수, 미국 미생물학술원 신규 학술지 mBio 편집자로 위촉
-시스템생물학 분야 논문 심사 및 방향 설정 자문-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45, 생명과학기술대학 학장, 바이오융합연구소 공동소장, LG화학 석좌교수) 특훈교수가 미국 미생물학술원 (American Academy of Microbiology)이 미국 미생물 학회(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와 함께 미생물분야 최고의 학술지로 추진하는 mBio의 초대 편집자(board of editors)로 위촉됐다고 20일 밝혔다. 최고의 석학들로 구성된 학술원은 학술원 회보 등의 형태로 학술지를 발간하는데 대표적인 예가 미국과학학술원이 발간하는 PNAS(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지이다. 미국 미생물학술원은 미생물 분야의 오랜 숙원인 PNAS에 버금가는 학술지를 만들기로 하고 오랜 연구 끝에 mBio를 발간하기로 했다. 이교수는 그간 미생물의 대사공학 연구에 집중하여 바이오 기반의 화학 물질 생산 균주 개발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내 왔으며, 최근에는 시스템생물학을 접목한 시스템대사공학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 이교수는 미국미생물학술원의 석학회원(Fellow)이기도 하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mBio의 초대 편집위원회에 시스템생물학 분야의 편집자로 위촉되었다. mBio는 내년 5월에 첫호가 발간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http://mbio.asm.org/를 참고하면 된다.
2009.11.20
조회수 10106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