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유 수유가 출산 후 산모의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과 규명에 성공
우리 대학 의과학대학원 김하일 교수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장학철 교수 공동연구팀이 모유 수유가 산모의 췌장에 존재하는 베타세포를 건강하게 만듦으로써 출산 후 당뇨병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KAIST 의과학대학원 졸업생 문준호 박사(서울대학교병원)와 김형석 박사(충남대학교 의과대학)가 공동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사이언스 중개의학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IF: 17.16)’ 4월 29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논문명 : Lactation improves pancreatic β cell mass and function through serotonin production)
임신성 당뇨병 및 출산 후 산모의 당뇨병 발병은 여성 평균 출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전체 산모의 10% 이상이 임신성 당뇨병에 걸리고, 그중 절반 이상은 출산 후 당뇨병으로 연결된다. 또한, 임신과 출산을 경험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당뇨병 발병률이 더 높다.
당뇨병은 통상 심혈관 및 뇌혈관, 신경, 망막 질환 등의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여성의 건강과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는 게 학계의 정설이다.
모유 수유는 그동안 산모와 아기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다양한 이로운 효과가 있고 특히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 기전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단점을 안고 있었다.
모유 수유 중인 산모의 뇌하수체는 모유의 생산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프로락틴을 활발히 분비한다. 프로락틴은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를 자극한다. 이때 합성되는 신경 전달 물질인 세로토닌은 베타세포의 증식을 유발해 베타세포의 양을 증가시키고 베타세포 내부의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산모의 베타세포를 보다 건강한 상태로 만든다. 따라서 모유 수유는 산모의 베타세포를 다양한 대사적 스트레스에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연구팀은 174명의 임신성 당뇨병 산모들을 출산 후 3년 이상 추적, 관찰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수유를 했던 산모들이 수유를 시행하지 않았던 산모에 비해 베타세포의 기능이 개선되고 혈당 수치가 20mg/dL 정도 낮아지는 현상을 확인했다.
공동연구팀을 이끈 KAIST 김하일 교수는“모유 수유에 의한 베타세포의 기능 향상이 임신과 출산을 경험한 여성의 당뇨병 발병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면서 “모유 수유가 지닌 효과는 장기간 지속돼 수유가 끝난 후에라도 장기적으로는 당뇨병 예방 효과를 가진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보건장학회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2020.05.04
조회수 7634
-
KAIST, 가족친화제도 인증기관 선정
우리 대학이 여성가족부가 주관하는 가족친화인증제도 인증기관에 선정됐다.
우리 대학은 탄력적 근무, 자녀의 출산, 양육 및 교육지원, 부양가족 지원, 근로자 지원 등을 모범적으로 수행한 공을 인정받아 2017년 11월 가족친화제도 최종 인증에 성공했고 지난 12월 27일 인증서를 수령했다. 이번 인증의 유효기간은 2020년 11월 30일까지이다.
우리 대학은 출산, 육아 뿐 아니라 다양한 복지 혜택을 전 구성원에게 제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최장 3년의 육아휴직과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배우자 출산휴가 등을 통해 보다 나은 출산 환경을 제공하고 3개의 위탁 및 공동 어린이집 운영을 통해 구성원의 육아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또한 이번 가족친화인증을 위해 가족돌봄휴직, 태아검진시간보장,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등 복지혜택을 마련해 모든 구성원이 만족할 수 있는 제도를 적극적으로 확대했다.
구성원들은 행정발전교육센터를 통한 생애주기별 교육을 수강할 수 있고 사택 지원, 교내 클리닉 이용을 통해 직계 가족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국내 최고의 교육 및 연구기관이라는 KAIST만의 특성을 살려 지자체와 협력해 교직원 자녀 과학캠프를 운영 중이고 KAIST 문화행사를 통해 양질의 문화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발전적이고 혁신적인 의견을 원활히 수렴하기 위해 고객만족센터, 이노베이션 데이, 인권윤리센터, 옴부즈퍼슨 제도를 통해 구성원과의 소통에 힘쓰고 있다.
신성철 총장은 “구성원 모두가 함께 상생, 발전하는 배려의 정신을 통해 국민과 국가에 감동을 주는 KAIST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2018.01.08
조회수 6140
-
이창양 칼럼 출산 기피 부담금
이창양 경영대학 교수가
조선일보 2010년 12월 16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출산 기피 부담금
신문: 조선일보
저자: 이창양 경영대학
일시: 2010년 12월 16일(목)
기사보기:출산 기피 부담금
2010.12.16
조회수 9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