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7회 카·포戰 우승기 전달식
우리 대학은 1일 대전 본원 창의학습관 1층 로비에서 신성철 총장, 박오옥 교학부총장을 포함한 주요 보직교수와 허구슬 카·포戰 기획단장(산업및시스템공학과) 등 학생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2018 제17회 KAIST-포스텍(POSTECH) 학생대제전(이하 카·포전(戰))’ 우승기 전달식을 가졌다.
일명 ‘사이언스 워(Science War)’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는 대한민국의 대표 과학도들의 정기교류전인 ‘2018 제17회 카·포전(戰)’은 지난 달 14일~15일 이틀간 포스텍에서 열렸다.
올 대회에서 KAIST는 해킹·인공지능(AI)·과학퀴즈·야구·축구·농구·e-Sports(League of Legends) 등 총 7개 종목 중 해킹을 비롯한 과학퀴즈·e-Sports·축구·야구 등 5개 종목에서 승리를 거둬 포스텍의 3연승을 저지하고 종합우승을 차지했다. 역대 전적은 KAIST가 이번 원정경기에서 우승함에 따라 9승 7패로 앞서게 됐다.
지난 2002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올해 17년째를 맞은‘카·포戰’은 신종플루로 대회가 취소됐던 2009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9월 대전과 포항을 번갈아 오가며 개최해오고 있다.
이 대회는 원정 대학의 명칭을 앞에 표기하는 원칙에 따라 ‘카·포전(戰)’ 또는 ‘포·카전(戰)’으로 불리는데 양교 학생들 간에 활발한 교류를 통한 친목도모와 개인의 소질과 능력을 발산하는 축제의 장으로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2018.10.01
조회수 5845
-
KAIST 외국인학생회, 26일 '2017 국제음식축제' 개최
우리대학 캠퍼스에 프랑스와 캐나다 등 세계 18개국의 식당이 단 하룻동안 차려진다. 우리대학 외국인 학생회(회장 산자르 케림벡 ․ 생명화학공학과 3학년)는 26일 오후 4시 창의학습관 앞 잔디밭에서 ‘2017 KAIST 국제음식축제’를 개최한다. 올해로 13회째를 맞는 이 행사는 우리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들이 각국의 음식을 소개하면서 한국인 학생들과 교류를 강화하기 위해 시작됐다.
이번 음식축제에는 우리대학을 비롯해 충남대학교와 과학기술연합대학원 대학교에 재학 중인 프랑스, 캐나다, 싱가포르, 라틴아메리카, 베트남, 중국, 인도네시아, 에티오피아 등 18개국 외국인 학생들이 만든 60여 종류의 음식을 맛보고 즐길 수 있다. 학생들은 판매부스에서 음식을 만드는 법을 직접 보여주고 판매도 하는데 운영본부에서 티켓을 구매한 후 해당 국가의 부스를 찾아가 음식을 주문하면 된다.
우리대학에서 교환학생으로 수학중인 전산학부 석사과정 프랑스 출신 발렌틴 포셀리니(Valentin Porcellini)씨는 "한국인 뿐 만 아니라 다른 외국인 학생들에게 크레페를 소개할 수 있어서 기쁘다"라고 행사에 참여한 소감을 전했다. 이재형 국제협력처장은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들이 학업으로 바쁜 가운데도 자국 음식을 소개하고 교류하기 위해 이번 축제를 준비했다”며 “외국인 학생들과 한국인 학생들이 하나 되어 서로가 즐기는 축제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행사를 주관하는 산자르 케림벡 우리대학 외국인 학생회장은 “이번 음식축제는 KAIST의 문화다양성을 가장 화려하고 다채롭게 보여주는 행사”라며 "음식을 통해 학생들의 문화교류가 더욱 증진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2017년 5월 현재 우리대학에는 86개국에서 온 학사과정 198명, 석․박사 과정 364명, 교환학생 148명 등 총 710명의 외국인 학생이 재학 중이다.
2017.05.26
조회수 9124
-
프랑스식 파이 맛보고 싶다면 KAIST 음식축제에 오세요
우리대학 외국인학생회(회장 와자핫 타히르 ‧ 기계공학부 3학년)는 27일(금) 오후 4시 본교 창의학습관 앞 잔디밭에서 ‘2016 KAIST 국제음식축제’를 연다.
올해로 12회 째를 맞이한 이번행사는 KAIST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들이 각국의 음식을 소개하면서 한국인 학생들과의 교류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KAIST를 비롯해 충남대학교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등 3개 대학의 외국인 학생 ‧ 교직원 및 일반시민 등 5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어서 대전지역 최대 규모의 외국인 축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음식축제에는 파키스탄, 탄자니아, 타지키스탄, 인도, 베트남, 중국, 독일, 프랑스 등 15개국 50여 종류의 음식이 선보인다. 각국의 학생들은 판매부스에서 음식 만드는 법을 직접 보여주고 현장 방문객을 대상으로 판매도 한다.
프랑스식 파이를 준비 중인 테오필레 데보체(Theophile Debauche ․ 전산학부 석사)씨는 "한국인 뿐 만 아니라 다른 외국인 학생들에게 타르트(프랑스식 파이)를 소개할 수 있어서 기쁘다����라고 행사에 참여한 소감을 전했다.
이와 함께 다양한 문화공연도 열린다. KAIST 외국인 학생들로 구성된 ‘아프리칸 프라이드’의 짐바브웨 전통 댄스 공연, KAIST 동아리 ‘소리모음'의 사물놀이 공연, KAIST 동아리 ‘루나틱’의 힙합 댄스 공연 , KAIST 동아리 ‘여섯줄' 의 기타 공연 등이 이어진다.
맹성현 KAIST 국제협력처장은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들이 바쁜 가운데도 서로를 알아가기 위해 이번 축제를 준비했다”며“외국인 학생들과 한국인 학생들이 하나 되어 서로가 즐기는 축제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하는 와자핫 타히르 KAIST 외국인 학생회장은 “이번 음식축제는 KAIST의 문화다양성을 가장 화려하고 다채롭게 보여주는 행사”라며 "음식을 통해 학생들의 문화교류가 더욱 증진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음식체험을 원하는 자는 당일 운영본부에서 티켓을 구매 후 원하는 국가의 부스를 찾아가 음식을 주문하면 된다.
한편, KAIST에는 5월 현재 학사과정 184명, 석․박사 과정 371명, 교환학생 142명 등 86개국 697명의 외국인 학생이 재학 중이다. 끝.
2016.05.26
조회수 7961
-
왕벚꽃길 나들이 오세요 … KAIST 벚꽃축제
우리대학은 오는 6(수)과 7(목)일 오후 8시 교내 어은동산 및 노천극장(W9)주변에서 ‘Happy KAIST 2016’행사의 일환으로 벚꽃 축제를 연다.
올해로 2회 째 열리는 벚꽃 축제는 교내 구성원들 간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대전 시민들에게 멋진 벚꽃 감상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어은동산 벚꽃길은 약 500미터의 언덕길을 따라 도로 양쪽에 왕벚나무 200여 그루가 줄 지어 있어 KAIST 구성원들이 즐겨 찾는 소중한 쉼터다.
‘벚꽃 : 빛과 환상’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축제에는 벚꽃길 주변을 따라 KAIST 산업디자인학과 동아리가 제작한 설치형 미디어 아트 작품도 설치된다.
미디어 아트 작품은 벚꽃나무 위에 설치된 2대의 프로젝터가 참가자들의 움직임에 따라 다채로운 꽃모양을 비추는데, 방문객들은 다른 곳에서 보지 못하는 색다른 벚꽃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KAIST는 또 오후 8시 벚꽃길 점등을 시작으로 방문객들에게 커피와 기념품을 제공하는 행사도 진행한다.
이와 함께 KAIST 학부 총학생회는 오는 8(금)과 9(토)일 본관 앞 잔디광장에서 인디음악축제인 'KAIST 아트 & 뮤직 페스티벌(KAMF)'도 연다.
올해로 5회 째를 맞이하는 이번 축제에는 이틀 동안 총 10개 공연팀이 공연을 펼친다.
4월 8일 19시 공연에는 솔루션스, 어쿠스틱 콜라보, 밴드 황정민, 딕펑스 등 4개 팀이, 4월 9일 16시 공연에는 밴드로맨스, 옥상달빛, 에이프릴세컨드, 짙은, 체리필터, 데이브레이크팀 등 6개 팀이 공연 할 예정이다.
강성모 KAIST 총장은 “KAIST 어은동산은 숨겨진 벚꽃 명소”라며 “가족 ‧ 친구와 함께 벚꽃길을 걸으면서 소중한 추억 만들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공연 관람은 무료이며 상세 정보는 페이스북(2016 KAMF)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끝.
2016.04.04
조회수 10984
-
외국인학생회, 2015 KAIST 국제음식축제 개최
우리 대학 외국인학생회가 22일(금) 오후 4시 본교 창의학습관 앞 잔디밭에서 ‘2015 KAIST 국제음식축제’를 개최한다.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국제음식축제’는 KAIST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들이 각국의 음식을 소개하면서 한국인 학생과의 교류를 강화하기 위해 시작됐다.
이번 행사는 특히 KAIST를 비롯해 충남대학교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등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 ․ 교직원과 일반시민 등 5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어서 대전지역 최대 규모의 외국인 축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행사는 강성모 KAIST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정상철 충남대 총장과 이은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총장의 축사로 시작된다.
1부 순서로 열리는 음식축제에는 케냐 등 아프리카 연합, 카자흐스탄, 인도, 터키 등 10개국 40여 종류의 음식이 선보인다. 각국의 학생들이 판매부스에서 음식 만드는 법을 직접 보여주고 현장 방문객을 대상으로 판매도 한다.
지난 2월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석과과정을 졸업한 케냐 출신 셔릴 완데리(Cheryl Wanderi)씨는 "한국인 뿐 만 아니라 다른 외국인 학생들에게도 생소한‘만다지(케냐 도넛빵)’를 소개할 수 있어서 기쁘다"며 행사에 참여한 소감을 전했다.
2부에서는 각 나라의 문화를 소개하는 공연이 펼쳐진다. △ 인도네시아 전통 춤‘사만 댄스’공연팀 △ 카자흐스탄 전통악기 연주팀 △ 아제르바이잔 K-POP 댄스 공연팀 등 총 8개 팀이 참여한다.
맹성현 KAIST 국제협력처장은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들이 바쁜 가운데도 서로를 알아가기 위해 이번 축제를 준비했다”며 “외국인 학생들과 한국인 학생들이 하나 되어 즐기는 축제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하는 에드릭 곽 KAIST 외국인학생회장은 “이번 음식축제는 KAIST의 문화다양성을 가장 화려하고 다채롭게 보여주는 행사”라며 "음식을 통해 학생들의 문화교류가 더욱 증진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2015년 4월 현재 KAIST에는 학사과정 239명, 석․박사 과정 428명 등 총 667의 정규과정의 외국인 학생이 재학 중인데, 이는 전체 재학생의 6.2%다. 끝.
2015.05.22
조회수 9694
-
EEWS 학생 아이디어 축제 시상식
우리대학 EEWS연구센터(센터장 이재규)는 2월 4일 본관 제1회의실에서 ‘EEWS 학생 아이디어 축제 2014’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번 대회는 KAIST 학생들에게 녹색기술과 녹색사업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창의적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대회는‘녹색기술․녹색사업’과 ‘녹색캠퍼스’부문으로 나눠 진행됐으며 총 9개팀이 참여했다.
‘녹색기술 ․ 녹색사업 부문’ 우수상과 장려상에는 각각 ▲신소재공학과 이규헌․EEWS대학원 최화섭 학생팀이 제안한 ‘효율적 해양 유출 기름 수거를 위한 다공성폴리머-자성나노입자 하이브리드 흡착제 합성’과 ▲생명화학공학과 김수지 학생이 제안한 ‘잉여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친환경 HDH system 기반 수질오염 개선 및 수자원 확보 방안'이 선정됐다.
‘녹색캠퍼스 부문’ 장려상에는 건설 및 환경공학과 김기섭 ․ 생명과학과 박수연 ․ 무학과 이종민 학생팀이 제안한 ‘DIY 옥상정원 캠페인’이 선정됐다.
강성모 총장은 “EEWS 연구성과 사업화는 사회발전에 크게 기여한다”라며 “EEWS와 관련된 기후변화와 에너지 고갈에 대비할 수 있는 녹색기술과 사업모델 개발을 KAIST가 선도해 가겠다“라고 말했다.
이와함께 EEWS사업기획 역대 수상자를 대표하여 이대길 기계공학과 교수가 에너지저장 장치를, 장대준 해양시스템공학과 교수가 LGN 연료선박 기술에 대한 사업화 진척상황을 각각 설명했다. 끝.
2015.02.04
조회수 10366
-
亞 5개 연구중심대학, KAIST서 ‘E-올림픽’ 개최
중국 칭화대 등 아시아 상위 5개 연구중심대학이 참여하는 대규모 국제 학생축제가 KAIST에서 열린다.
KAIST(총장 강성모)는 7일(목)부터 9일(토)까지 3일 동안 KAIST에서 아시아 연구중심대학 학생축제인 '어스파이어 리그 E-올림픽(ASPIRE League E-Olympics)’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어스파이어 리그'는 KAIST(총장 강성모 ․ 한국), 홍콩과기대(총장 토니챈 ․ 홍콩), 난양공대(총장 버틸앤더슨 ․ 싱가포르), 동경공대(총장 미시마 요시나오 ․일본), 칭화대(총장 천지닝 ․ 중국)등 아시아 Top 5 연구중심대학이 참여하는 과학기술연구대학공동체로 대학 간 공동연구 활성화를 위해 지난 2009년 설립됐다.
올해로 6회째 열리는‘어스파이어 리그’는 지난해까지 학술 교류 이외에 실질적인 학생 교류 프로그램이 없어 아쉬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지난 7월 중국 칭화대에서 열린‘2014 어스파이어 리그 포럼’에서 KAIST가 제안한 학부생 문화 교류 프로그램인 ‘E-올림픽’ 추진을 논의하고 8월 개최를 확정했다.
대학별로 30여 명씩 총 150명이 참석하는 이번 행사는 첫 대회임을 감안해 ▲학술 ․ 스포츠 교류 ▲ KAIST 우수 연구실 방문 ▲KAIST 동아리 공연 ▲글로벌 창업 특강 등 문화교류와 인적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학술 ․ 스포츠 행사로는 E-스포츠(League of Legend), 과학퀴즈대회 등 과학기술 관련 경기와 드래곤 보트, 릴레이 레이스, 농구 등의 스포츠 경기가 펼쳐진다.
이어 ▲전기차 아마딜로를 개발 중인 이모빌리티(E-mobility) 연구소 ▲생체 이미지와 세포신호를 연구 중인 바이오 이미징 & 셀 시그널링 (Bio-Imaging and Cell Signaling) 연구소 ▲세상에서 가장 빨리 달리는 로봇을 연구하는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 Systems and Control) 연구소 ▲무인기 연구를 진행하는 씨프랜드(C-Friend) 연구소 등을 방문해 KAIST의 생생한 연구 현장을 보여줄 계획이다.
또 8일 저녁 장영신 학생회관에서 KAIST 댄스 동아리 일루션 등 5개 동아리가 참여하는 콘서트를 개최해 KAIST의 학생 문화를 보여주며 회원대학 간 친목을 도모하는 시간도 갖는다.
이밖에 ‘글로벌 네트워킹을 통한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글로벌 창업에서의 인적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특별강연도 열린다.
KAIST는 향후 아시아 연구중심대학과의 학부생 교류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글로벌 리더로서의 문화적 소양과 균형감을 익히고 글로벌 협력 문화를 경험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행사를 주관하는 유창동 KAIST 국제협력처장은 “이번 E-올림픽은 아시아 최고 과학 두뇌들과 폭넓은 인맥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라며 “아시아의 미래를 책임질 학생들이 경쟁보다는 협력을 통해‘새로운 아시아’를 함께 꿈꿔보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라고 말했다.
※ 용어설명 ASPIRE : Asian Science and Technology Pioneering Institutes of Research and Education의 약자로 ‘아시아 과학기술 연구대학 공동체’를 의미
2014.08.07
조회수 11843
-
‘딸기는 무인기를 타고’… KAIST다운 새로운 봄 축제
KAIST가 자유롭고 창의적인 캠퍼스 문화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봄 축제를 개최한다.
우리 대학은 4일 부터 교내 전역에서 ‘HAPPY KAIST 2014’ 행사의 일환으로 ‘벚꽃축제’와 ‘딸기축제’를 개최한다.
KAIST 구성원이 중심이 된 새로운 대학문화와 전통을 만들기 위한 취지로 기획된 이번 행사는 기획 단계부터 교원 ․ 직원 ․ 총학생회 등 구성원 모두가 참여했다.
먼저 ‘벚꽃 : 빛과 환상’을 주제로 열리는 ‘벚꽃축제’는 교내에서 벚꽃을 감상하기에 가장 좋은 카이마루 앞 기숙사길 주변에서 4일 오후 8시 점등을 시작으로 8일까지 진행된다.
벚꽃길 주변에는 산업디자인학과 석․박사그룹 동아리인 ‘디자인 특전사’가 ‘환상벚꽃’이라는 설치형 체험 작품과 ‘오늘은 우리 같이 걸어요’ 등 공중 영사 작품을 전시해 벚꽃길을 관람하는 사람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밤 시간을 즐길 수 있도록 벚꽃나무 아래에 조명을 설치하고 벚꽃길 인증샷 액자 만들기와 커피 케이터링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어 11일에는 교내 전역에서 KAIST만의 전통인 ‘딸기축제’가 열린다.
1995년 무렵 지역의 딸기 농가를 돕기 위해 시작된 ‘딸기축제’는 학과․동아리․연구실 구성원이 중앙도서관 앞 잔디밭 등에서 모여 앉아 딸기를 나눠 먹으면서 친목을 다지는 행사다.
올해 축제에는 특히 무인자동차와 무인기를 활용한 ‘딸기 배달 시연행사’가 열려 관심이 집중된다.
잔디밭에 있는 주문자가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딸기를 주문하면 주문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무인시스템에 전달된다. 이후 무인자동차는 무인항공기를 싣고 차량이 갈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곳까지 이동한다. 차량 접근이 어려운 잔디밭까지는 차량 위의 무인기가 딸기를 싣고 비행을 시작해 잔디밭에 있는 주문자에게 딸기를 배달하게 된다.
이번 시연행사를 주관한 심현철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높은 고층빌딩이나 차량접근이 어려운 곳에 어떻게 하면 쉽게 물건을 전달할 수 있을까를 고민했다“ 며 “이번에 시연할 ‘무인물류시스템’이 상용화된다면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물류산업에 혁신적인 변화가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이번 HAPPY KAIST 행사를 총괄한 박승빈 공과대학장은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즐기면서 아이디어를 내는 새로운 대학문화를 만드는 게 이번 행사의 핵심”이라며 “KAIST 구성원들의 아이디어가 활성화되고 토론하는 새로운 축제문화와 소통문화를 만들어가겠다” 라고 말했다.
'HAPPY KAIST 2014'는 구성원 모두를 행복하게 만들자는 취지의 행사로 연간 다섯 개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KAIST다운 새로운 대학문화와 전통을 만들기 위해 올해 처음 기획된 행사다. 끝.
2014.04.04
조회수 18159
-
문화기술대학원, 우주 소재 뮤지컬 ‘나로(NARO)’ 공연
- 11월 23일(토)-24(일) 국립과천과학관 어울림 홀
우리 대학 문화기술대학원(원장 이동만)은 11월 23일~24일 이틀 동안 국립과천과학관 어울림 홀에서 우주를 소재한 창작 뮤지컬 "나로(NARO)를 공연한다.
뮤지컬 "나로"는 KAIST 문화기술대학원이 운영하는 청소년문화기술체험센터에서 과학문화의 대중화를 목적으로 청소년들과 함께 제작한 융합 창작공연인데 2009년부터 매년 개최해오고 있다.
총 2막으로 구성된 뮤지컬 ‘나로’는 우주를 연구하는 천재 소년 ‘나로’ 일행이 전갈자리의 ‘해와 달이 된 오누이별’로 시간여행을 하면서 적색거성 안타레스의 대폭발을 통해 오누이별과 지구를 파괴하고 우주를 정복하려는 타이란 일당의 음모를 막아낸다는 내용이다.
우주, 미래, 희망을 주제로 하는 뮤지컬 ‘나로’는 무대장치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인터랙티브 영상과 레이저 아트, 직접 제작한 특수 장치 등을 사용해 무대의 첨단화를 시도했다.
또 한국의 고유한 설화인‘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서사구조를 차용해 천문학적으로 탄탄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청소년들에게 우주에 대한 꿈과 희망을 주는 한국 우주창조론을 재조명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아울러 원작부터 기획, 제작, 공연, 홍보까지 뮤지컬 제작과정을 하나의 교육모델로 제시하고 있으며,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이 잘 융합되고 조화를 이루고 있어 교육적으로도 추천할 만하다.
우주뮤지컬 ‘나로’는 세계 최초로 문화기술(CT: Culture Technology) 개념을 정립한 KAIST 원광연 교수가 제작하고 구본철 교수가 대본과 작곡을 맡았다.
한편, 이번 공연은 국립과천과학관이 개관 5주년을 기념해 특별히 기획한 ‘과학 공연 축제‘의 일환으로 열린다. 끝.
2013.11.21
조회수 11507
-
KAIST 문화페스티벌 - 제2회 락클래식
- 창작과 연주, 과학이 어우러진 KAIST 과학도들의 색다른 음악축제
- 창의적 수업의 결실-공연기획에서 현악기 제작까지 학생들이 직접 담당
- 오는 10일(일) 오후 7시 30분 KAIST 노천극장에서 공연
KAIST 과학도들이 한자리에 모여 락과 클래식의 조화를 추구하는 크로스오버 음악(crossover music) 축제를 펼친다.
KAIST(총장 서남표)는 ‘KAIST 문화페스티벌?제2회 락클래식(rocKlassic)’ 을 오는 10일(일) 오후 7시 30분 노천극장에서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21세기 산업의 중요한 화두인 문화와 기술의 융합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시도로 볼 수 있다. 공연 기획부터 편곡, 연주를 학생들이 직접 담당하고 수업시간에 직접 제작한 현악기를 연주에 사용한다. 지난 2002년부터 KAIST에서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실내악, 현악기제작, 공연기획 및 경영관리와 같은 창의적인 수업의 결실이다.
‘아인슈타인스 바이올린(Einstein’s Violin)’이란 부제를 가진 이번 공연은 KAIST 출신 반도네온(bandoneón 네모난 측면과 주름상자로 되어있고 단추를 눌러 연주하는 악기) 연주자인 고상지(20) 양이 특별 출연하고, 교내 음악단체인 ‘애드립’, ‘KAIST 오케스트라’, 활발한 외부 연주활동을 펼치고 있는 ‘뮤지카(MUSIKA)’ 멤버 등 40여명이 참여하는 KAIST 최대의 음악 프로젝트다.
총감독을 맡은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김정진(金廷珍, 47) 교수는 "지역주민과 함께 하고자 3천석 규모의 교내 노천극장을 완전 개방한다. 물론 입장료는 없다“며, "KAIST 과학도들이 발산하는 음악적 열정과 끼를 보면서 놀라움을 금치 못할 것"이라 말했다.
■ 공연프로그램
<1부>
- The song of life - 애드립, KAIST 오케스트라
- 플라잉 - 애드립, KAIST 오케스트라
- 냉정과 열정사이 중 - 김철호, KAIST 오케스트라
- 청혼 - 여섯줄
- 내맘대로 - 여섯줄, 애드립
- I lay my love on you - 여섯줄
-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 랩소디 18번 변주 - 김철호, KAIST 오케스트라
- 체이서 - 애드립
- 워크 디스 웨이 - 애드립
- 소녀시대 - 애드립
- 스웹 어웨이 - 애드립, KAIST 오케스트라
<2부>
- 베토벤 바이러스 - 애드립, KAIST 오케스트라
- 심플 심포니 - KAIST 오케스트라
- 시네마천국 - KAIST 오케스트라
- 멘델스존 피아노 트리오 - 위대현(Piano), 송원태(Violin), 장홍제(Cello)
- 탱고 푸가타 - 고상지(반도네온) 외
- Vuelvo al sur - 이영산 외
- 라 쿰파르시타 - 고상지 외
- 리베르탱고 - 고상지 외
- 드라마틱 펑크 - 송원태, 애드립
-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인테르메초 - 고상지, KAIST 오케스트라
- 허리케인 2000 - 애드립, KAIST 오케스트라, 여섯줄
2006.09.07
조회수 14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