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A4%91%EC%95%99%EC%9D%BC%EB%B3%B4
최신순
조회순
중앙일보 대학평가 5년 연속 1위 차지
2012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우리 학교가 총점 300점 만점 중 241점을 획득해 5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POSTECH, 연세대, 서울대, 성균관대, 고려대가 그 뒤를 이었다. 5년 연속 1위는 1994년 시작되어 전국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된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우리 학교가 처음이다. 우리 학교는 특히, 교육여건 및 재정, 교수 연구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 대학평가는 중앙일보가 창간 47주년을 맞아 전국 4년제 대학 102곳(지난해 100곳)을 대상으로 했다. 교육여건(90점), 국제화(50점), 교수연구(100점), 평판·사회진출도(60점) 등 4개 부문 점수를 합산(총 300점)해 종합성적을 매겼다. 중앙일보 대학평가팀은 지표산출에 대학교육협의회의 ‘대학정보 공시’, 한국연구재단의 ‘한국연구업적통합정보(KRI)" 등의 자료를 활용했으며, 외부 기관을 통해 얻은 자료는 대학에 보내 재검증 절차를 거쳤다. 기사링크 : 상위권 대학순위 ‘대변동’…서울대 누른 곳은?
2012.10.10
조회수 10129
서남표 총장 칼럼 과학기술 혁신 위한 ‘컨트롤 타워’ 필요하다
서남표 총장이 중앙일보 2010년 11월 13(토)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과학기술 혁신 위한 ‘컨트롤 타워’ 필요하다 신문: 중앙일보 저자: 서남표 총장 일시: 2010년 11월 13일(토) 기사보기: 과학기술 혁신 위한 ‘컨트롤 타워’ 필요하다
2010.11.13
조회수 7890
이홍규칼럼 인문학이란 마법을 생각해 볼 때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가 중앙일보 2010년 11월 3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인문학이란 마법을 생각해 볼 때 신문: 중앙일보 저자: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2010년 11월 3일(수) 기사보기: 인문학이란 마법을 생각해 볼 때
2010.11.03
조회수 8938
이홍규칼럼 지금은 찬사를 사양할 때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가 중앙일보 2010년 10월 13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지금은 찬사를 사양할 때 신문: 중앙일보 저자: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2010년 10월 13일(수) 기사보기: 지금은 찬사를 사양할 때
2010.10.13
조회수 7860
최준균칼럼 지식 미디어 산업 1등 국가로 가는 길
최준균 전기·전자공학과 교수가 중앙일보 2010년 9월 24일(금)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시론] 지식 미디어 산업 1등 국가로 가는 길 신문: 중앙일보 저자: 최준균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일시: 2010년 9월 24일(금) 기사보기: [시론] 지식 미디어 산업 1등 국가로 가는 길
2010.09.24
조회수 10152
이홍규칼럼 소통의 세 가지 길
이홍규 IT경영학과 교수가 중앙일보 2010년 7월 14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소통의 세 가지 길 신문: 중앙일보 저자: 이홍규 IT경영학과 교수 일시: 2010년 7월 14 (수) 기사보기: 소통의 세 가지 길
2010.07.14
조회수 8401
장순흥인터뷰 원전안전 설계 제때 허가가 관건
중앙일보 2010년 1월 15일자에 장순흥 KAIST 교학부총장의 원전관련 인터뷰기사가 게재됐다.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 발전이 성공하려면 "안전규제 허가의 덫"에 걸리지 않는다는 게 중요하다는 내용의 인터뷰다. 일시: 2010.1.15(금) 매체: 중앙일보 기자: 박방주 부장기자(과학전문기자) 제목: 장순흥 KAIST부총장 "원전 안전설계 제때 허가가 관건" 관련기사 보기 http://news.joins.com/article/aid/2010/01/15/3598444.html?cloc=olink|article|default
2010.01.15
조회수 8440
한상근칼럼 北의 이승기, 南의 이태규
우리학교 한상근 교수(수리과학과)가 중앙일보가 발행하는 일요주간지 중앙선데이 2009년 12월 27일자에 "北의 이승기, 南의 이태규"란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北의 이승기, 南의 이태규 매체: 중앙선데이 저자: 한상근 교수(수리과학과) 일시: 2009/12/27 일 칼럼보기: 北의 이승기, 南의 이태규"
2009.12.28
조회수 9043
건설및환경공학과 논문지수 세계최고
우리학교 건설 및 환경공학과의 1인당 논문 지수가 미국 최상위 5개 대학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주목을 끌고 있다. 지난 9월 25일자 중앙일보 대학평가 보도에 따르면, KAIST 건설및환경공학과의 교수대비 논문수는 3.2편으로 미국 최상위권 대학인 스탠퍼드 대학(2.9편)이나 조지아공대(2.3편)을 앞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국내대학 학과평가에서 15년동안 부동의 1위를 하였을 뿐만 아니라, 금년의 경우에는 2위와의 격차가 너무커서 아예 평가순위에서 제외하고 해외대학과 비교를 시도하였다고 중앙일보는 보도하고 있다. 관련기사 :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ctg=12&Total_ID=3793233
2009.09.28
조회수 9133
중앙일보 대학평가 2년연속 종합1위!
우리학교가 중앙일보 대학평가팀에서 실시하는 2009 대학평가에서 종합1위를 차지했다. 2009년 9월 23일(수)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KAIST는 전국 4년제 대학 88개 일반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종합평가에서 작년에 이어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서울대는 2006년 이후 3년만에 2위에 올라섰으며, 포스텍(포항공대)는 작년 2위에서 3위로 내려앉았다. 또한 올해 평가에서는 대학의 특성에 따라 <인문사회중심>, <이공계중심>, <종합계열중심> 등의 세분화된 평가가 동시에 치뤄졌는데, 이공계중심 평가에서도 KAIST는 1위를 차지했다. 자세한 기사 http://news.joins.com/article/391/3789391.html?ctg=1201
2009.09.23
조회수 9178
KAIST, 휴먼테크 논문대상 휩쓸어..
전기 및 전자공학 전공은 최다 수상학과상 수상 KAIST(총장 로버트 러플린)가 지난 달 18일 열린 제 11회 휴먼테크 논문대상 시상식에서 개인상 부문의 금상, 은상, 동상 등을 휩쓸고, 전기및전자공학전공은 특별상 부문에서 대학부문 최다 수상학과상을 차지하는 영예를 안았다. 총 응모건수 810편 중 110편의 수상작이 선정된 가운데, 부문별로는 ▶금상 8편 ▶은상 26편 ▶동상 35편 ▶장려상 41편이 뽑혔다. 이 중 KAIST는 최고의 영예인 대학원 부문 금상 6편 중 4편을 비롯하여, 은상 15편 중 5편, 동상 22편 중 9편, 장려상 18편 중 10편이 수상작에 올랐다. 대학원 부문 수상작 총 61편 중 절반에 가까운 28편이 KAIST에서 나온 것이다. 학부부문에서도 동상 6편 중 2편, 장려상 6편 중 1편 등 KAIST는 총 31편이 수상작에 올랐다. 특히 KAIST 전자전산학과 전기및전자공학 전공은 이번 시상식에서 금상 3편, 은상 4편, 동상 3편 등을 수상하며 KAIST 전산학전공과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과 등을 제치고 최다 논문상을 수상, 최다 수상학과의 영예를 안았다. 또한 KAIST 전기및전자공학전공은 대학원 부문 최고상인 금상 6편의 절반인 3편을 차지하는 성과를 보여 더욱 주목 받고 있다. KAIST 전기및전자공학전공 박사과정 강동구(지도교수 나종범)씨는 가상 대장내시경에서 가시면적 최대화를 위한 새로운 경로 생성 알고리즘 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금상을 수상했고, 역시 박사과정 장성일(지도교수 윤준보), 전진완(지도교수 임굉수)씨도 각각 새로운 3차원 디퓨져 리소그래피를 이용한 고품질의 다용도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를 위한 엇물린 외팔보를 이용하는 정진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소자 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뛰어난 성과를 인정받아 금상을 수상했다. 이 밖에도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박상후(지도교수 양동열)씨 외 3인(임태우, 이성구, 이신욱)의 공동 논문 차세대 3차원 나노/마이크로 디바이스 제작을 위한 나노 스테레오리소그래피 공정개발에 관한 연구도 대학원부문 금상의 영예를 안았다. 올해로 11회째를 맞는 휴먼테크 논문대상은 국내 최대의 통신, 컴퓨터, 기계, 반도체 분야 논문상이다. 과학기술 발전의 주역이 될 과학도들의 연구의욕을 고취시키고 기술중시의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해 1994년 삼성전자에서 제정했으며, 중앙일보와 교육인적자원부에서 후원하고 있다.
2005.03.01
조회수 17915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