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A1%B0%EC%84%A0%EC%9D%BC%EB%B3%B4
최신순
조회순
QS 2017 아시아 대학평가 4위 올라
우리대학이 조선일보가 10월 17일 발표한 '조선일보-QS 2017 아시아 대학평가' 조사결과 국내대학 가운데 가장 순위가 높은 4위에 올랐다. 2016년에는 6위를 차지했는데 올해는 전년보다 2단계 상승한 4위를 차지한 것이다. 상위 20위에 속한 국내 6개 대학 가운데 작년보다 순위가 오른대학은 우리대학과 성균관대 등 단 두개 대학뿐이다. 아시아 대학 순위1위는 싱가포르 난양대가, 그리고 2위는 싱가포그국립대가 각각 차지했다. 관련기사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17/2017101700290.html
2017.10.17
조회수 5061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서 2위 도약 --- 한국대학이 거둔 성적 중 가장 높은 순위
우리 대학이 ‘2014 조선일보 ․ QS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지난해 6위에서 4단계 상승한 2위에 올랐다. 영국의 글로벌 대학평가 전문기관 QS(QuacQuarelli Symonds)와 조선일보는 이같은 내용의 ‘2014 조선일보 ․ QS 아시아 대학평가’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이는 2009년 이 평가를 처음 실시한 이후 한국 대학이 거둔 성적 가운데 가장 높은 순위다. KAIST는 평가 첫 해인 2009년 7위를 기록한 뒤, 2012년 7위, 2013년 6위를 차지해 꾸준히 10위권을 유지해 왔으나 올 해 대폭적인 순위 상승이 이뤄졌다. 특히 교원당 논문 수와 논문당 피 인용수의 점수가 대폭 상승해 순위상승을 이끌었다고 KAIST는 밝혔다. 강성모 총장은 “최근 몇 년간 젊은 교수들을 대폭 충원했는데 그 자극이 성과로 이어져 좋은 평가를 받았다”며 “KAIST는 앞으로도 세계 톱 10을 향해 끝임 없이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일보 ‧ QS 아시아 대학평가’는 아시아 고등교육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대학 평가로, 올해 6년째를 맞았으며 17개국 491개 대학을 대상으로 평가했다. 평가요소는 △학계평가 30% △교원당 논문 수 15% △논문당 피 인용수 15% △교원당 학생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국제화 10% 등 6개 분야로 구성됐다. 끝.
2014.05.12
조회수 11571
"매 맞는 구급대원" 없애려면
우리 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윤태성 교수가 조선일보 2013년 12월 23일(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매 맞는 구급대원" 없애려면 매체: 조선일보 저자: 윤태성 교수 일시: 2013년 12월 23일(월) 기사보기 : "매 맞는 구급대원" 없애려면
2013.12.23
조회수 8081
블랙 컨슈머 탓 말고 "스마트 클레이머" 키우자
우리 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윤태성 교수가 조선일보 2013년 10월 1일(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블랙 컨슈머 탓 말고 "스마트 클레이머" 키우자 신문: 조선일보 저자: 윤태성 교수 일시: 2013년 10월 1일(화) 기사보기 : 블랙 컨슈머 탓 말고 "스마트 클레이머" 키우자
2013.10.02
조회수 6870
윤태성 칼럼 디트로이트 파산에서 우리 지역 문제를 봐야
우리 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윤태성 교수가 조서일보 2013년 8월 1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디트로이트 파산에서 우리 지역 문제를 봐야 신문: 조선일보 저자: 윤태성 교수 일시: 2013년 8월 1일(목) 기사보기 : 디트로이트 파산에서 우리 지역 문제를 봐야
2013.08.01
조회수 6981
KAIST, 아시아 대학평가 순위 6위 [조선일보 & QS]
- 2009년 평가 시행 이후 최고 성적 - 우리 대학이 ‘2013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종합 6위를 기록했다. 이번 결과는 2009년 평가를 시작한 이후 최고의 성적으로, 학계평가와 교원당 학생 수 지표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지난해 7위에서 올해 6위로 1단계 상승했다.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는 아시아 고등교육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평가로 올해 5년째를 맞았으며 16개국 457개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평가요소는 △학계평가 30% △교원당 논문수 15% △논문당 피인용수 15% △졸업생 평판도10% △교원당 학생수 20% △국제화 10% 등 9개 분야로 구성됐다.끝.
2013.06.06
조회수 12065
윤태성 칼럼 평범한 벤처를 위한 경영 융합 플랫폼
윤태성 교수 우리 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윤태성 교수가 조선일보 2013년 3월 4일(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평범한 벤처를 위한 경영 융합 플랫폼 신문: 조선일보 저자: 윤태성 교수 일시: 2013년 3월 4일(월) 기사보기 : 평범한 벤처를 위한 경영 융합 플랫폼
2013.03.04
조회수 6849
개교 50년 미만 대학의 세계순위 '5위' [QS평가]
- KAIST, QS 개교 50주년 미만인 세계대학 평가에서 세계 순위 5위 - KAIST, 조선일보_QS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도쿄대 제치고 아시아 7위 o 우리 대학이 영국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한 개교 50주년 미만 세계 주요 대학들을 대상으로 하는 종합평가에서 5위를 기록했다. 1위는 설립된 지 49년 된 홍콩중문대가, 2위와 4위는 개교 21주년을 맞은 홍콩과기대와 싱가포르 난양공대가 차지했다. 1984년 문을 연 홍콩 시티대는 9위에 올랐다. 국내대학 중에는 1971년 설립돼 올해 41주년을 맞은 우리대학이 세계 신생대학 중 5위, 1986년 문을 열어 개교 26주년을 맞은 포스텍이 7위를 차지했다. 유럽권 대학 가운데서는 영국의 워릭대(1964년 개교)와 요크대(1963년 개교)가 각각 3위와 6위, 네덜란드의 마스트리히트대(1976년 개교)가 8위에 올랐다. 미국에서는 UC어바인(1965년 개교)이 10위에 올랐다. 개교 50주년 미만의 세계 대학 순위는 QS가 올해 처음으로 발표했다. 1962년도 이후 설립된 대학들을 대상으로 2011년도 세계대학평가 결과에 따라 50위권의 순위를 발표했으며 학계평가(40%), 졸업생평판도(10%), 교수당학생수(20%), 교수 1인당 피인용수(20%), 외국인교원수(5%), 외국인학생수(5%) 등의 평가요소로 구성 돼 있다. QS 평가총괄책임자 벤 소터(Sowter)는 설립 50주년 미만의 세계 대학 순위 발표에 대해 ""조선일보·QS 아시아대학평가"와 함께 이 랭킹을 발표하는 것은 많은 아시아 신생 대학들이 좋은 성적을 기록했기 때문이다"라며 "젊고 역동적인 아시아 대학의 우수성이 눈에 띄게 뚜렷해졌다"고 밝힌 것과 같이, KAIST도 우수한 아시아 대학 중 하나로 혁신 및 성과를 인정받았다. 또한, QS 세계대학평가는 평가 항목 중 학계평가(peer review)가 40%로 큰 비율을 차지하는 만큼 역사에 근거한 대학의 명성이 평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쳤던 반면, 이번 설립 50주년 미만의 세계 대학 순위는 역사가 비교적 짧은 대학들이 짧은 기간 동안 얼마나 좋은 성과를 이루었는지를 보여주었고, KAIST는 세계 5위의 기록을 달성하며 그 우수성을 다시한번 입증했다. http://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y-rankings/top-50-under-50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5/28/2012052801976.html O 2012년 아시아대학 평가 종합 7위 우리 대학은 아시아 지역 15개국 461개 대학이 참가한 ‘2012년 아시아대학 평가’에서 종합 7위를 차지하였다. 전년도에는 11위를 차지하였으나, 졸업생 평판도와 학계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4계단 상승하였다. 아시아대학 평가는 세계대학 평가 기준과 달리 학계평가(30%), 논문수 및 인용도(30%), 교수당 학생수(20%), 국제화 지표(외국인 교수, 외국인 학생, 교환학생 비율)(10%)로 구성되어 있는데, 2012년에는 각 부분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2012.05.30
조회수 15667
시정곤 교수, 조선언문실록 출간
- 실록으로 보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한글 사용기 세종대왕이 만든 새 문자는 <조선왕조실록>에 처음 ‘언문(諺文)’이라 기록되었다. 한문만이 정통이라 대접받던 시절, 언문의 실제 위상은 어떠했을까. 우리가 매일 쓰고 있는 우리말 한글은 6백여 년의 역사 속에서 어떤 일들을 겪으며 지금의 모습에 이르렀을까. 우리학교 인문사회과학과와 문화기술대학원 교수인 시정곤 교수는 정주리 교수(동서울대)와 함께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조선언문실록>이라는 책을 출간했다. 언문을 사용했던 임금, 언문 편지로 비밀을 주고받은 사대부, 애절한 사랑을 담아 언문 연서를 띄운 여인과 억울함을 풀어 쓴 언문 상소로 속내를 전한 백성들에 이르기까지 남녀노소, 계층을 막론하고 의사소통의 주된 도구였던 한글이 들려주는 사건과 사고, 재미난 이야기를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중심으로 실감나게 살펴본다. 조선 시대에 왕을 비롯하여 사대부와 왕실 여성, 그리고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한글을 사용했다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렇다면 조선 사람들은 구체적으로 어떤 장면에서 어떻게 한글을 사용했을까. 이 대목을 제대로 알아야만 우리 역사에서 한글이 갖는 가치와 의미를 온전히 파악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이 책은 출발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은 한글 생활사를 위한 기초 작업의 성격을 갖는다. ‘조선언문실록’이라는 제목이 암시하는 것처럼 이 책은 <조선왕조실록>에서 한글과 관련된 이야기를 추려 내 엮은 것이다. 한글이 창제된 세종 25년(1443)부터 조선의 마지막 왕인 순종 때까지의 기록 중에서 한글과 관련된 내용을 뽑아내 구성하였다. 책의 제목을 ‘한글실록’이라 하지 않고 ‘언문실록’이라 붙인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 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록>을 살펴보면 사용하는 사람의 신분이나 계층에 따라 언문을 사용한 목적과 내용에 차이가 나는데, 사용자층은 크게 왕과 왕족, 사대부와 관리, 왕실 여성, 백성으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1장에서는 왕과 언문을, 2장에서는 사대부의 언문 사용을, 3장에서는 여성과 언문을, 4장에서는 백성과 언문 사용을 다루었다. 그리고 5장에서는 언문이 국문으로 되기까지의 과정에 있었던 다양한 언문 정책들을 살펴보았다. 저자들은 <우리말의 수수께끼>(2002), <한국어가 사라진다면>(2003), <역사가 새겨진 우리말 이야기>(2006),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2008) 등 우리말 교양서를 꾸준히 내오고 있는 국문학자이다. 한글은 우리에게 관찰 대상이 아니라 삶 그 자체이며, 한글이 우리 일상에서 부지런히 살아 숨 쉬고 있는 한 한글에 대한 이야기는 계속될 것이라 밝히는 두 저자는 앞으로도 한글 이야기를 시리즈로 꾸준히 펴낼 계획이다. 역사 속 한글의 모습에 대한 오해는 분명히 있다. 언문은 천대 받은 글이고, 사대부 및 왕실에서는 쓰지 않았으며, 여인들이 쓰는 문자였다고 알고 있는 경우가 아직 존재한다. 이 책은 창제 이후 우리글이 어떻게 쓰여 왔는지를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구체적인 장면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한글에 대한 오해를 풀고 우리말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을 이끌어 낸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당신을 닮은 좋은책 ― 문학의숲|고즈윈) 관련기사 : 조선일보 2011.03.22 (화) 한글은 때론 정치에, 때론 치정에 이용됐다 한국일보 2011.03.25 (금) 언문, 백성 억울함 풀어주고 부녀자 소일거리 만들어줬다
2011.03.29
조회수 10788
문송천칼럼 "춘마"에서 배우는 인생
문송천 경영대학 교수가 조선일보 2010년 11월 5(금)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춘마"에서 배우는 인생 신문: 조선일보 저자: 문송천 경영대학 교수 일시: 2010년 11월 5일(금) 기사보기: "춘마"에서 배우는 인생
2010.11.05
조회수 8993
이광형칼럼 미·중의 수퍼컴퓨터 전쟁을 보며
이광형 바이오 및 뇌 공학과 교수가 조선일보 2010년 11월 4(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미·중의 수퍼컴퓨터 전쟁을 보며 신문: 조선일보 저자: 이광형 바이오 및 뇌 공학과 교수 일시: 2010년 11월 4일(목) 기사보기: 미·중의 수퍼컴퓨터 전쟁을 보며
2010.11.04
조회수 7734
[조선일보 특집]글로벌 명문 KAIST
우리학교가 조선일보 대학특집 제1회 "글로벌 명문 KAIST"라는 주제로 2010년 7월 23일 특집섹션 8면에 걸쳐 크게 소개되었다. 조선일보는 국내를 넘어서 세계최고명문대학으로 발돋움하는 KAIST를 집중분석했다. 특히, 최근 각광받고 있는 스마트 페이퍼를 통해서도 기사를 볼 수 있으며 디지틀 조선일보 비즈니스앤TV(www.businesstv.co.kr)에는 7월 31일 밤 9시50분과 1일 오전 8시20분, 11시50분 비즈앤뉴스브리핑 "크로스미디어리포트"에 방영된다. 이는 신문, 스마트페이퍼, 인터넷, 케이블TV(비즈니스앤)에 모두 노출되는 크로스미디어를 지향하여 우리학교가 최고의 홍보효과를 누리는 좋은 사례가 되었다. 목차: [크로스미디어 리포트] "글로벌 명문" 카이스트를 가다 1. 영어 강의·이슬람 기도실… 배려에 반해 "친한파"<親韓派> 됐어요 2. "세계 톱10" 향해… 1만명의 연구실엔 해가 지지 않는다 3. "과학은 젊음이 경쟁력… 20대 석좌교수 채용" 4. 생활기록부는 평가 자료일 뿐… 면접 통해 "나의 역량" 보여라 5. 교수-학생 끈끈한 네트워킹… 글로벌 경영전문인 양성 6. "카이스트에선 밤 11시 "땡" 해야 여가생활 시작" 7. 국제센터·스포츠센터·KI빌딩… "공부할 맛 나는" 인프라 8. 유전자변형생물체연구실 "미생물 연구 24시… 우리 사전에 "늦잠"이란 없다" 9. "실패해도 되는" 프로젝트가 있다 10. 매년 "학과 평가"로 경쟁력 높은 곳 집중 지원 11. 무시험 전형 12. 교수·학생에게 책임의식 길러주는 "교육혁신"
2010.07.29
조회수 13547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3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