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웹사이트 A학점 받았다!
KAIST 웹사이트가 조선일보사 발행월간지 이코노미 플러스와 웹발전연구소가 공동조사한 "대학 웹사이트 품질평가"에서 A학점을 받았다. 양방향 소통의 채널로 중요성이 더해지는 웹사이트에 대한 이번 평가는 100대 기업분야, 정부부처분야, 지자체분야, 대학웹사이트 분야 등으로 분야별 평가를 시도했다. [이코노미플러스]와 문형남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교수팀(웹발전연구소)이 공동 실시한 이번 평가에서 KAIST는 총 197개 대학 중에서 한국해양대학교와 함께 총점 100점 만점에 87점으로 공동 2위를 차지했다.
[품질검사 5] 4년제대학 - 부경대, 한국해양대, KAIST "A", 포항공대 둥 주요명문대는 "낙제점"이란 제목으로 보도된 이번 기사에서 총 197개 4년제 대학 웹사이트의 웹접근성, 웹사용성 등의 품질을 평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주요랭킹은 전체 대학 중 5.1%인 10개 대학만이 "양호(A등급)"이었으며, 13.7%(27개)의 대학은 "미흡(B등급)"하다는 평가였다. 나머지 160개 대학은 모두 "매우 미흡(C등급)"에 속했다. 다음은 주요대학 순위(순위 - 합계 - 등급 순)
01위 부경대학교 - 91.5점 - 우수(S)
02위 KAIST, 한국해양대 - 87점 - 양호(A)
04위 충북대학교 - 86점 - 양호(A)
05위 서울기독대 - 83.5점 - 양호(A)
06위 공주대학교 - 82.5점 - 양호(A)
07위 서울대학교 - 80점 - 양호(A)
08위 대구교육대 - 80점 - 양호(A)
09위 한국예술종합학교 - 80점 - 양호(A)
10위 한림대학교 - 80점 - 양호(A)
11위 광주과기원 - 78,5점 - 미흡(B)
...
22위 성균관대학 - 73,5점 - 미흡(B)
...
31위 충남대학교 - 71점 - 미흡(B)
...
37위 연세대학교 - 70점 - 미흡(B)
...
75위 한양대학교 - 65,5점 - 매우 미흡(C)
77위 이화여자대 - 65,5점 - 매우 미흡(C)
...
90위 고려대학교 - 64점 - 매우 미흡(C)
...
125위 포항공대 - 61점 - 매우 미흡(C)
129위 부산대학교136위 - 60.5점 - 매우 미흡(C)
136위 숭실대학교 - 60점 - 매우 미흡(C)
...
154위 숙명여대 - 58점 - 매우 미흡(C)
162위 한동대학교 - 57.5점 - 매우 미흡(C)
195위 홍익대학교 - 50,5점 - 매우 미흡(C)
관련기사보기 (조선일보 발행 월간지 이코노미PLUS 2010년 2월호)이코노미플러스 & 웹발전연구소 공동조사 100대 기업•정부부처•지자체•대학 웹사이트 품질 평가
월간지 이코노미Plus 2010년 2월호 인터넷판 기사이미지
2010.03.04
조회수 17387
-
하이테크 대전 창업경진대회 금상 수상
- 제3회 하이테크 대전 창업경진대회 금상 수상- 복잡한 웹페이지 주소를 짧고 의미있는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 개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상훈, 채송화, 이동헌학생은 ‘웹페이지 주소 클리핑 시스템’을 개발하여 지난 21일 열린 제3회 하이테크 대전 창업경진대회에서 예비창업부문 1등, 금상을 수상하였다.
지금까지의 웹페이지 주소 단순화 서비스는 특수문자가 섞여 길고 복잡하였다. 인터넷 웹페이지 주소(URL)를 입력하면 의미 없는 랜덤한 단어와 숫자 등의 조합으로 새 주소를 생성해주는 방식이었다. 이 경우 단순화한 URL을 기억하기 힘들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 공유하거나 여러 번 사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웹페이지 주소 클리핑 시스템’은 복잡하고 의미 없는 긴 주소를 짧게 만들어 주는 이점이 있다. 주소 단순화 서비스를 개선, 사용자가 원하는 자신만의 주소로 바꿔주는 고유 주소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횟수가 많은 클리핑 주소에 대한 통계 및 랭킹 정보를 제공한다.
김상훈, 채송화 학생은 이 기술을 바탕으로 KAIST 기업가정신연구센터 양태용 교수와 김인수 연구원의 도움을 받아 ‘유알엘클립’ 창업을 준비 중이다. 현재 개인 클리핑 라이브러리, 기업 호스트네임 서비스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툴바, RSS 서비스 등을 개발 중이다. (RSS서비스 :RDF, Rich Site Summary의 약자. 뉴스나 블로그와 같이 컨텐츠 업데이트가 자주일어나는 웹사이트에서 업데트된 정보를 자동적으로 쉽게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유알엘클립(http://www.urlclip.net)은 차세대 포털로써 웹페이지 주소 클리핑 서비스를 기반으로 여러 가지 개인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본 서비스는 유용한 컨텐츠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기를 원하는 개인은 물론, 기업의 수요가 많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상훈 씨는 “지도교수이자 자문위원인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박선원 교수의 도움과 지원으로 개발기술을 사업화하려는 생각을 했다”며 “이 기술이 실생활에 적용될 경우 많은 사용자들이 좀 더 편리하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나래팀은 지난 4월 한국과학기술원 및 한밭대학교가 주최한 제2회 Pre-Star Venture 창업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으며 현재 본 기술에 대해 특허를 출원 중이다.
문의)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상훈 (HP: 010-4754-9947)KAIST 생명화학공학과 채송화 (HP: 010-7223-9947)홈페이지: http://www.urlclip.net이메일: urlclip@urlclip.net
2007.05.31
조회수 22944
-
웹 2.0 특강 블로그 개설
- 웹2.0 특강 컨텐츠 공유를 위한 블로그 개설 http://webtwo.kaist.ac.krKAIST(총장 서남표) 정보미디어 경영대학원은 봄학기에 개설된 웹2.0 특강 프로그램을 위해 블로그에 컨텐츠를 공유하고 웹2.0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였다.
웹2.0 특강은 학술적이고 이론적인 접근과 함께 현업에서 현재 진행 중인 다양한 프로젝트와 시장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교육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아직 학문적으로 이론이 정립되지 않았으나 시장의 수요가 매우 큰 web 및 mobile 분야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진행하는 방식이다. 특히 최근 대두되고 있는 web2.0 관련 기술, 동향, 문화, 정책 및 시장에 대해 강의하고 토론할 수 있는 전문가들을 우선적으로 초청하였다.
이 블로그에는 특강의 동영상 및 설명글이 포함되어 있다. 강의 중 하이라이트 동영상 및 교수님과 조교의 코멘트가 함께 제공된다. 웹2.0에 관심 있는 학생들과 교수들에게 양질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각 강의마다 의문점이나 기타 의견들을 코멘트로 달면 교수, 담당 조교 및 다른 참여자들이 함께 의견을 나눌 수 있다.
담당 교수: 김성희 교수님, 차동완 교수님, 류중희 교수님, 한재선 교수님담당 조교: 박진우, 정대진, 성경은특강 내용:1. Trends & Internet: Market and Technology ① Web2.0 overview (KTH 조산구 상무님) ② Collective Intelligence (Mar.gar.in PRAK 대표님) ③ UCC (KBSi 김장호 팀장님) ④ Blog (T&C 노정석 대표님) ⑤ Copyright and CCL (CCK 윤종수 판사님) ⑥ Long-tail (이노무브 장효곤 대표님) ⑦ Search2.0 (검색엔진마스트 전병국 대표님) 2. Web2.0 and Beyond ① Web2.0 & Convergence (경희대학교 이경전 교수님) ② Web2.0 & Business (더블트랙 박수만 대표님) ③ Social Computing (Opinity AP 한상기 대표님) ④ Web2.0 & Media (건국대학교 황용석 교수님) ⑤ Attention Economy (태우’s log 김태우 님) ⑥ Mobile Web2.0 (ETRI 전종홍 선임연구원님)
2007.05.16
조회수 31950
-
월간웹진 카이스트뉴스 7월호 서비스개시
2004.07.27
조회수 15649
-
웹진 카이스트뉴스 5월호 발행
http://www.kaistnews.com/
2004.05.25
조회수 13831
-
웹진 카이스트 뉴스 4월호!!!
www.kaistnews.com
2004.04.28
조회수 14865
-
뉴스웹진 3월호 발행
카이스트 뉴스웹진 3월호 발행
www.kaistnews.com
2004.03.15
조회수 15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