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84%B8%EA%B3%84%EB%8C%80%ED%95%99%ED%8F%89%EA%B0%80
최신순
조회순
2017 QS 세계대학평가, 20위 內 6개 학문분야 진입
영국의 세계대학평가 기관인 QS가 8일 발표한 ‘2017 세계대학평가 학문분야별 순위’에 따르면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13위), 생명화학공학과(15위), 건설및환경공학과(15위), 기계항공공학부(15위), 전기및전자공학부(17위), 화학과(18위) 등 6개 학문분야가 세계 20위 이내로 진입했다. 세계 20위내 학문분야는 작년 4개 분야에서 올해 6개 분야(재료과학, 화학공학, 토목•구조공학, 기계•항공공학, 전기•전자 공학, 화학)로 늘어났다. 우리 대학은 신소재공학과(13위), 생명화학공학과(15위), 건설및환경공학과(15위), 기계항공공학부(15위), 전기및전자공학부(17위), 화학과(18위), 전산학부(33위) 등 7개 분야에서 국내 1위를 차지해 다시 한 번 국내 최고의 공과대학임을 입증했다. 이 외에도 물리•천문 분야 44위(국내 2위), 수리과학분야 47위(국내 2위)를 차지했다. QS는 올해 학문분야별 평가에서 46개 전공분야, Top100위(학문분야에 따라 Top 500위)까지의 랭킹을 발표했다. 평가지표는 ① 학계 평가 ② 졸업생 평판 ③ 논문 피인용수 ④ 연구성과지표(H-index) 등의 지표가 활용됐다.
2017.03.09
조회수 14806
2015 QS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화학공학 17위, 재료과학 19위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와 신소재공학과가 ‘QS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에서 20위 이내로 진입했다. 영국의 세계대학평가 기관인 QS가 29일 발표한 ‘2015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에 따르면 생명화학공학과와 신소재공학과가 각각 17위와 19위를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신소재공학과와 화학과가 각각 16위와 17위를 차지한 바 있다. 올해 학과별 순위에서 KAIST는 화학공학(17위), 신소재공학(19위), 건설및환경공학(22위), 전기및전자공학(22위), 기계•항공공학(26위), 전산학(39위) 등 6개 분야에서 국내 1위를 차지해 다시 한 번 국내 최고의 공과대학임을 입증했다. QS는 올해 학문분야별 평가에서 36개 전공분야를 대상으로 순위를 매겼다. ① 학계 평가 ② 졸업생 평판도 ③ 교수당 논문 피 인용수, ④ H-인데스 등의 지표가 활용됐다. 끝.
2015.04.29
조회수 17272
2014 THE 세계 대학 평가 공학기술 26위, 종합 52위--- 종합순위 4단계 상승
KAIST가 ‘2014~2015 THE 세계대학평가’에서 공학기술 분야 26위(국내 1위), 종합순위 52위를 기록했다. 영국의 대학평가기관인 THE(Times Higher Education)는 1일(현지시간) 자사 홈페이지에 이 같은 내용의 ‘2014~2015 세계대학순위’결과를 발표했다. 1위는 캘리포니아공대(미)가 차지했으며 2위 하버드대(미), 3위 옥스퍼드대(영), 4위 스탠퍼드대(미), 5위 케임브리지대(영)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국내대학 중에선 서울대가 50위, KAIST 52위, 포스텍 66위, 성균관대 148위로 4개 대학이 20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THE 세계대학평가는 ▲평판도 조사 ․ 교원 1명당 학생 수 등 교육여건 (30%) ▲평판도 조사 ․ 교수당 연구비 ․ 교수 학술 논문 수 등 연구 분야 (30%) ▲논문 당 피인용 수 (30%) ▲ 국제화 지표 (7.5%) ▲산학협력 실적 (2.5%) 등 총 5개 분야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평가지표 중 ‘연구 분야’,‘논문 당 피인용 수’및‘국제화 지표’가 각각 상승해 순위상승을 이끌었다고 KAIST는 밝혔다.이와 함께 공학기술 분야는 26위로 2년 연속 국내 1위를 지켰다. 한편, KAIST는 ‘2014 QS-조선일보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2위, ‘2014 QS 세계대학평가’에서 5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끝.
2014.10.02
조회수 10206
QS 세계대학평가 공학기술 17위, 종합 51위...역대 최고순위
KAIST가 ‘2014 QS 세계대학평가’에서 공학기술 17위, 종합 51위로 역대 최고순위를 기록했다. 영국의 대학평가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는 16일(현지시간) 자사 홈페이지에 이 같은 내용의 ‘2014 QS 세계대학평가’결과를 발표했다. 1위는 미국 MIT가 차지했으며 공동2위 케임브리지대(영)와 임페리얼 칼리지(영), 4위 하버드대(미), 공동5위 옥스퍼드대(영)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영)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국내대학 중에선 서울대가 31위, KAIST 51위, 포스텍 86위, 연세대 106위, 고려대 116위, 성균관대 140위 등 6개 대학이 20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QS 세계대학평가는 ▲학계평가(40%)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수(20%) ▲교수 1인당 학생수(20%) ▲졸업생 평판도(10%) ▲외국인 학생비율(5%) ▲외국인 교수비율(5%) 등 6개 지표로 평가됐다. 평가지표 중 ‘학계평가’, ‘졸업생 평판도’,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수’등에서 대폭 상승하여 순위 상승을 이끌었다. 이와 함께 공학기술 분야는 세계대학평가가 시작된 2004년부터 굳건히 국내 1위를 지키면서 올해 역대 최고 순위인 17위로 평가됐다. 강성모 총장은 “교수와 학생 등 구성원 모두의 도전과 열정 덕분에 KAIST가 좋은 결과를 냈다”며 “앞으로도 KAIST가 해외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캠퍼스의 국제화 등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KAIST는 ‘2014 QS․조선일보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종합 2위, ‘2014 QS 학문분야별 평가’에서 재료과학 16위(국내 1위), 기계항공 21위(국내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끝.
2014.09.16
조회수 11205
신소재공학과 ‧ 화학과, QS 세계대학평가 20위 內 진입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와 화학과가 QS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에서 20위 이내로 진입했다. 영국의 세계대학평가 기관인 QS가 25일 발표한 ‘2014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와 화학과가 각각 16위와 17위를 차지했다. 지난해는 기계‧항공공학 분야와 화학공학 분야 각각 19위와 20위를 차지했었다. 이번 순위발표에서 KAIST는 신소재공학(16위), 기계‧항공공학(21위), 토목공학(32위), 컴퓨터공학‧정보시스템(36위), 생물과학(46위)등 5개 분야가 국내 1위를 차지해 국내 최고의 공과대학임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QS는 전 세계 대학을 대상으로 순위를 매기는 영국의 대학평가기관으로, 지난 2004년부터 세계대학평가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한‘ 학문 분야별 평가’에서는 30개 분야별로 대학순위를 매겼다. ①학계평가 ②졸업생 평판도 ③ 교수 당 논문 인용 수 ④ H 인데스 등의 지표가 활용됐다. 끝.
2014.02.27
조회수 20237
QS 세계대학평가 60위…역대 최고성적
KAIST가 ‘ QS 세계대학평가’에서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영국의 대학평가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가 10일 자사 홈페이지에 발표한‘2013 세계대학평가’에서 KAIST가 60위를 기록했다. KAIST는 지난 2006년 198위를 시작으로 꾸준히 상승해 지난해 63위를 기록했다. 1위는 미국 MIT가 차지했으며 2위 하버드대(미), 3위 캐임브리지대(영), 4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영), 5위 임페리얼 칼리지(영)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국내대학 중에선 서울대가 35위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으며, KAIST 60위, 포스텍 107위, 연세대 114위, 고려대 145위, 성균관대 162위 등 6개 대학이 20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QS 세계대학평가는 ▲학계평가(40%)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수(20%) ▲교수 1인당 학생 수(20%) ▲졸업생 평판도(10%) ▲외국인 학생비율(5%)▲외국인 교수비율(5%) 등 6개 지표로 평가됐다. 평가지표 중‘졸업생 평판도’와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수’가 각각 전년대비 10점 이상 상승해 순위를 이끌었다. 강성모 총장은 “교수와 학생 등 구성원 모두의 도전과 열정 덕분에 KAIST가 좋은 결과를 냈다”며“향후에도 구성원들이 교육과 연구에 더욱 매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 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KAIST는‘2013 QS․조선일보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종합 6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다.끝.
2013.09.10
조회수 10677
KAIST 기계공학과 세계 19위 올라
- 2013 QS 세계대학평가 순위에서 기계항공공학분야 19위 달성 - 2013 QS 세계대학평가 학문분야별 순위(Subject Rankings)에서 KAIST가 기계항공공학분야에서 19위를 차지해 전년도 대비(51-100위) 순위가 크게 상승했다. 올해 ‘QS 세계대학평가 학문분야별 순위’는 ▲ 학계평가 ▲ 졸업생 평판도 ▲ 논문당 피인용수 ▲ H-index citations의 네가지 지표를 이용해 전 세계 2858개 대학을 평가해 총 30개 학문분야별로 200위까지 순위를 매겼다. 졸업생 평판도 및 연구성과 지표의 점수가 전년도 대비 상승하였으며, 특히 새롭게 추가된 H-index Citations 지표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H-index는 연구자의 연구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연구의 질적 양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평가하며, 교수당 논문 수가 많고 논문의 평균적 인용빈도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받았다. 총 4개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는 분야별로 차이가 있는데, 기계분야 각 항목의 가중치는 각각 40%, 30%, 15%, 15%다. Rank Academic Employer Citations per paper H-index Citations Score 19(51-100) 68.1(78.9) 89.1(60.2) 84.6(83.1) 91.3 80.4(74.6)
2013.05.15
조회수 12755
2012 THE 세계대학평가서 역대 최고 68위 달성
우리 학교가 영국 대학평가기관인 THE(Times Higher Education)에서 실시한 "2012 THE 세계대학평가"에서 역대 최고 성적인 68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결과는 지난 2011년 94위에서 26계단이나 상승한 것이다. 한편, 우리 대학은 지난달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실시한 "2012 QS 세계대학평가"에서 역대 최고인 63위를 달성한 바 있다.
2012.10.04
조회수 7733
2012 QS 세계대학평가 63위 달성
- 1971년 설립 이래 역대 최고 성적 -- 공학 24위, 자연과학 48위, 생명과학 110위 - 우리 학교가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실시한 ‘2012 세계대학평가’에서 63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결과는 KAIST 설립 이래 역대 최고 성적으로 서 총장이 부임한 2006년 198위에서 135단계나 수직상승한 것이다. 학계평판(40%), 기업계평판(10%),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20%), 교수 대 학생 비율(20%), 외국인학생 비율(5%), 교수 비율(5%) 등에서 골고루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특히, 세계 학자들이 최고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대학 30곳을 추천하는 ‘학계평가’ 부문에서 85.1점을 받아 지난해보다 17단계 상승한 68위를 기록했다. 이번 평가에서 공과대학은 24위, 자연과학대학은 48위, 생명과학대학은 110위로 평가되는 등 KAIST가 이제는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으로 성장했음을 증명했다. 서남표 총장은 “교수와 학생 등 구성원들의 노력으로 KAIST는 이미 세계적인 대학 반열에 올라섰다”며 “더 나은 인류의 미래를 위해 연구, 교육, 학업에 정진해 온 구성원들이 자긍심과 더불어 책임감을 느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번 대학평가에서 1위는 미국 MIT가 차지했으며, 영국 케임브리지대, 미국 하버드대, 영국 ULC, 영국 옥스퍼드대가 그 뒤를 이었다. 국내 대학은 37위를 기록한 서울대에 이어 KAIST 63위, 포스텍 97위, 연세대 112위, 고려대 137위, 성균관대 179위 등 6개 대학이 20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KAIST는 2012 QS/조선일보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는 종합 7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년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다.
2012.09.11
조회수 9680
더타임스-QS대학평가 공학 · IT분야 세계21위
우리학교가 영국 "더 타임스(The Times)"와 대학평가기관 QS가 10월 8일 발표한 "2009년 세계대학평가"에서 공학·IT 분야 세계 21위라는 국내 최고의 성적을 거뒀다. 지난해 34위에서 13위나 올라갔다. 이로써 우리학교는 평가가 시작된 2004년부터 6년연속 공학-IT분야에서 세계 50위권에 속한 국내 유일의 대학이 됐다.(04년 37위, 05년42위, 06년 37위, 07년 48위, 08년 34위) 공학․IT분야에서 서울대는 27위를 기록해 KAIST(21위)와 서울대(27위)가 공과대학 분야에서 세계 명문대학임을 확인했다. 한편 포스텍은 작년143위에서 62단계를 뛴 81위를 기록했고, 연세대는 139위(작년 209위), 고려대는 155위(작년 202위)를 차지했다. 이로써 공학․IT분야 세계 200위권 대학에 KAIST, 서울대,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등 국내 5개 대학이 이름을 올렸다. 종합평가 순위에서 KAIST는 지난해 종합 95위에서 26단계를 올라선 69위를 차지했다. 서울대는 지난해 50위에서 3단계 올라선 47위를 기록했다. 포스텍은 종합 134위(작년 188위), 연세대 151위(작년 203위), 고려대는 211위(작년 236위)를 차지했다. 이로써 올해 세계 100위권 대학에는 국내 최정상 대학인 KAIST와 서울대 두 곳만이 작년과 마찬가지로 이름을 올렸다. 한편 나라별로 100대 대학에 포함된 숫자로는 미국이 32개 대학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영국이 18개, 호주 8개, 일본 6개, 네델란드, 독일, 스위스, 캐나다 등이 4개 대학, 홍콩은 3개 대학, 그리고 대한민국, 덴마크, 스웨덴, 싱가포르, 아일랜드, 중국, 프랑스 등에서 각각 2개 대학이 100위권에 포함됐다. 이 밖에 뉴질랜드, 대만, 벨기에 등 3개 국가에서 각각 1개 대학이 이름을 올렸다. 올해 세계대학 종합평가에서 KAIST는 종합 69위를 차지하며 지난해 95위에 비해 26계단을 올라섰는데, 이는 미국의 명문대학들인 조지아공대(86위), 퍼듀대(87위), 텍사스대학(76위) 등을 비롯해 세계적으로는 스웨덴 웁살라대학교(75위), 네델란드의 델프트공대(83위), 싱가포르의 난양공대(73위), 독일의 뮌헨대학교(98위) 등을 앞선 기록이다. 대학평가 홈페이지 http://www.topuniversities.com/
2009.10.08
조회수 13605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