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84%B1%EA%B3%BC%ED%8F%89%EA%B0%80
최신순
조회순
김세권·박지호·문수복 교수,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유공 장관표창 수상
우리 대학 물리학과 김세권 교수,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지호 교수, 전산학부 문수복 교수가 지난 달 22일 국립과천과학관에서 개최된 '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유공 장관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기념식은 21일 제57회 과학의 날과 22일 제69회 정보통신의 날을 맞아 과학기술·정보통신 진흥 및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유공자를 포상하고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김세권 물리학과 교수는 스핀 기반 초고속 초저전력 정보 처리 기술 발전을 세계적으로 선도하여, 차세대 정보 처리 분야에서 한국의 세계적인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표창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해당 연구 성과를 통해 달성된 양자 스핀 기술은 한국이 차세대 비메모리 분야 선도 기술을 확보하고, 기존 메모리 분야에 치우친 국내 산업 환경을 다변화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 교수는 국제 자성 분야 최고 권위 학회인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gnetism (ICM), Intermag, Magnetism and Magnetic Materials (MMM) 등에서 초청 강연을 지속적으로 해오며 국제학술 리더쉽을 발휘하고 있다. 박지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나노의학 및 약물/유전자 전달 분야 전문가로서, 최근에 폐질환 치료를 위해서 폐로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폐계면활성제입자 기반 흡입 약물전달 기술을 개발하여 과학기술분야 우수한 연구성과 창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표창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현재 박 교수는 개발한 흡입 약물전달 기술을 실제 폐질환 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관련 분야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에서 초청 강연을 통하여 개발하고 있는 혁신적인 약물전달 기술을 널리 전파하고 실제 활용 방법을 의사 및 제품개발자들과 논의하고 있다. 문수복 전산학부 교수는 특히 연구자의 불합리한 평가 시스템 개선, 연구 윤리 제고, 연구자의 경제적 처우 개선 등에 앞장서 왔다. 또한, 학문적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주도하고, 연구자들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데 기여했다. 문 교수의 노력 덕분에 한국의 연구 환경은 크게 개선되었으며, 연구자들의 권익과 학문적 자율성이 크게 증진되었다. 문 교수는 한국 연구 사회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2024.05.03
조회수 3582
2023년 과학·정보통신의날 기념식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 이하 ‘방통위’) 주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이태식, 이하 ‘과총’) 한국정보방송통신대연합(회장 노준형, 이하 ‘ICT대연합’) 주관으로 4월 21일 오후 14시 30분에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2023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번 기념식은 제56회 과학의 날(4.21)과 제68회 정보통신의 날(4.22)을 맞아 과학기술·정보통신 진흥 유공자 등에 대한 정부포상을 통해 과학‧정보통신인의 자긍심‧명예심을 고양하고 대한민국 과학·디지털 미래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올해 행사는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디지털 모범국가 실현”을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보다 많은 국민들과 함께 하기 위해 올해에도 YTN사이언스와 네이버TV, 카카오TV 등을 통해 생중계됐다. 행사에는 한덕수 국무총리,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김효재 방통위 상임위원, 이태식 과총 회장, 노준형 ICT대연합 회장 등 과학기술‧정보통신 주요 인사들이 참석하였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 진흥 및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유공자와 함께 누리호 발사 성공 유공자 포함 총 수상자 273명* 중 현장 참석자 166명에게 시상을 진행하고 그 외 수상자는 온라인으로 참여하였다. * 훈장 : 48명, 포장 : 40명, 대통령표창 : 78명, 국무총리표창 : 100명, 정보통신 특별공로상 7명 과학기술진흥 부문에서는 훈장 26명, 포장 10명, 대통령 표창 21명, 국무총리 표창 26명 등 총 83명에게 정부포상이 수여됐다. 우리 대학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최원호 교수가 플라즈마 원천기술 확보 및 활용성 확대에 기여한 공로로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유공부문 과학기술훈장 웅비장을, 전산학부 전길남 명예교수가 20세기 대한민국 컴퓨터 개발 역사의 산 증인으로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터넷 연결에 성공한 나라가 되는데 기여한 공로로 정보통신 발전 부문 특별공로상을, 항공우주공학과 방효충 교수가 우주, 국방분야에서 위성 정밀 자세제어 기술을 개발하고 큐브위성을 개발·발사했으며, 드론 비행 제어 및 항법기술을 개발함으로써 관련분야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과학기술진흥 부문 과학기술훈장도약장을, 수리과학과 곽시종 교수가 대수기하학분야 다양체 구조에 관한 가설들을 해결해 국내 기초과학 연구분야 발전 및 최적화된 연구개발 지원체계 선진화에 기여한 공로로 과학기술진흥 부문 과학기술훈장진보장을 수여받았다. 또한 물리학과 이경진 교수가 과학기술진흥 부문 과학기술포장을, 전산학부 이재길 교수가 정보통신유공 부문 국무총리표창을 수여받았다.
2023.04.24
조회수 5627
온라인전기차, 모바일하버 성과평가 해명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2010. 5. 18(화) 발표한 해명자료 □ 언론사명 : 매일경제신문(경제), 한국경제신문(경제), 전자신문(IT/과학), 연합뉴스(IT/과학), 헤럴드생생뉴스(생활/문화) □ 보 도 일 : 2010. 5. 18(화) □ 제 목 : o 매일경제신문 :「온라인전기차·모바일하버 낙제점」 o 한국경제신문 :「KAIST ‘온라인전기차’ 낙제점」 o 전자신문:「KAIST ‘온라인전기차’ ‘모바일하버’ 사업 “상용화 가능성·타당성 낙제점”」 o 연합뉴스 :「KAIST ‘온라인 전기차’ 평가 낙제점」 o 헤럴드생생뉴스:「KAIST ‘온라인 전기차’ 평가 낙제점」 □ 보도내용 ◦ KAIST의 역점 사업인 ‘온라인 전기차’와 ‘모바일 하버’가 정부의 최종 사업성 평가에서 낙제점을 받았다는 내용 -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제출한 ‘온라인 전기차 및 모바일 하버 관련 원천기술 확보사업 성과평가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최종 평가점수에서 온라인 전기자동차 사업이 52.1점(100점 배점), 모바일하버 사업이 58.5점을 받았다고 보도 □ 사실 확인 및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입장 ◦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입장 -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공한 보고서는 STEPI가 제출한 최종 보고서가 아니며, 특히 공식적으로나 대외적으로 발표한 자료가 아님 -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발표 시점이나 발표자 등의 의도에 대해 심히 유감을 표함. 특히 KAIST 총장 선출 등 미묘한 현 시점에서 미완성된 보고서가 언론에 공개된 것은 연구자들의 자율적·독립적인 연구결과가 바람직하지 않게 이용되었다는 점에서 특히 유감임 - 본 연구의 극히 일부분을 전체 맥락 없이 주관적이며 선별적으로 확대 해석함으로써 연구진 전체의 균형된 연구 결과에 대해 연구자들의 고유한, 전문적인 연구 영역을 침해한 것으로 관계자들의 정중한 사과와 사후 이와 유사한 사례의 재발이 없기를 바람 ◦ 사실 확인 내용 - 온라인전기차의 경우 원천기술의 개발 성과는 인정되며 사업계획 당초의 기술개발 목표치를 달성 - 모바일하버의 경우 원천기술이라 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성과는 충분치 않으나 관련 세부 기술에 대해 현존하는 거의 모든 기술들을 조사 분석하여 그 중에서 모바일하버에 적합한 것을 선택해 나가는 방법으로 일부 가시적인 성과는 있었음 - 온라인전기차의 경우, 평가의 최종 결론은 무선전력전송의 원천기술 확보 차원의 중장기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응용가능한 분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므로 원천기술 중심의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자는 것임 - 본 사업평가의 평가지표는 기초연구+개발연구라는 사업의 특수한 성격을 고려하여 별도로 설계되었으며 따라서 본 평가결과의 절대점수는 과제의 우수/미흡을 판별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없음
2010.05.19
조회수 14977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