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83%81%EC%83%81%EB%A0%A5
최신순
조회순
KAIST의 발명적 사고와 재미있는 상상력을 DDP에서
우리 대학 서울디자인재단과의 협력전시인 `Inventive Minds and Ideas: Living In The Future' (국문명: 발명적 사고: 영감과 미래)를 통해 산업의 미래에 대한 다양한 상상력과 이색 아이디어들을 대중에게 12월 17일부터 26일까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흘간 무료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서울디자인재단과 KAIST가 공동 주최하는 이번 전시에서는 우리 대학 산업디자인학과의 9개 연구실과 7명 학부생의 미래지향적인 사고를 엿볼 수 있다. 해당 전시의 오프닝을 알리는 오프닝 토크(12월 17일, 15:00)에서는 우리 대학 남택진 교수, 홍화정 교수 그리고 박현준 교수가 생각하는 디자인과 산업의 미래에 대한 강연이 있을 예정이다. 오프닝 후 열흘간 공개될 전시에서는 일기를 쓰는 이색 공기청정기에서부터, 사용자에게 가상 피팅을 통해 옷을 탐색해주는 서비스, 사물을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스코프, 그리고 글을 쓰면 글의 내용에 따라 음악이 바뀌어 글을 쓰는 사람에게 영감을 주는 이색 시스템까지 다양한 산업의 미래를 보여줄 예정이다. 서울디자인재단과 KAIST의 협력 전시를 총괄 기획한 산업디자인학과 이창희 교수는“이번 전시는 실험적인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통해 미래 산업과 삶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동시에 대중들에게 발명적 사고에서 비롯한 다양한 영감을 제공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이번 전시를 공동 주최하는 서울디자인재단 이경돈 대표이사는 “이번 전시를 통해 미래로 한 걸음 다가가는 KAIST의 연구 성과물을 볼 수 있으며, 전문적이고 혁신성이 돋보이는 작품들을 보고 희망의 미래로 나아가는 영감을 얻어가시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산업디자인학과 이우훈 학과장은 "세상에 없는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발명적 사고와 그에 기반한 디자인이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불투명한 산업의 방향성에 대한 궁금증도 본 전시를 통해 해소될 전망이다. 오프닝톡: 12월 17일 3:00PM,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 디자인랩 3층 디자인홀 (D2, 구 UDP) 전시: 12월 17일~26일,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 뮤지엄 디자인둘레길 (1F~2F) 오프닝톡을 포함해 모든 시민들에게 무료로 공개
2022.12.15
조회수 1835
정재승교수 신간 '크로스' 출간
우리학교 바이오 및 뇌공학과의 정재승 교수가 최근 인문학자 진중권씨와의 공동저서인 "크로스"를 출판했다. (웅진지식하우스, 정가 13,800원, 2009년 12월 15일 출간, 342쪽) "무한상상력을 위한 생각의 합체"란 부제를 단 이 책은 종이컵에 문화를 담는 세상, 셀카로 외로움을 감추는 세상, 멍청한 검색이 상상력을 자극하는 세상, 사이버 세상의 세컨드 라이프가 더 섹시한 세상 등의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요즘 세상의 의미를 파헤치기 위하여 인문학과 과학의 시각을 하나로 모은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파울 클레에서부터 개그콘서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 현상에 깊이 있는 미학적 통찰을 지닌 동시에 전방위적인 글쓰기가 가능한 저자 진중권과 인간들이 만들어내는 사회현상에 대한 과학적 통찰을 나누고자 다방면의 글쓰기를 시도하고 있는 저자 정재승은 21세기를 관통하는 문화 키워드 21개를 미학과 자연과학이라는 두 학문이 서로 충돌하고 합체하는 과정 속에서 새롭게 조명해본다. 21세기 한국이라는 이제 막 진입한 시간과 공간을 흥미롭게 조망하고 이 시대를 이해하는 유익한 통찰력을 선보이고 있다. 더 나아가 사회학, 인류학, 건축학, 경제학 등 전혀 다른 관점에서 이 책에 실린 견해와 내용들을 해석하고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오늘날, 또 미래 대중의 일상을 구성하는 요소를 키워드로 삼아 이 사회의 현재와 앞날을 읽어내려는 시도를 담고 있는 이 책을 통해 상상력을 진화시키고 창조성을 불러 일으키는 21세기형 생각법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정재승(鄭在勝) 소개1972년 서울에서 태어나 창서 초등학교와 연북 중학교를 졸업했다. 1990년 경기 과학고를 일찍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 학부과정에 입학해 물리학을 전공했다. 영화를 무척 좋아해서 대학 때는 영화 동아리 활동을 했고 학교 신문에 영화평을 정기적으로 기고하기도 했다.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카오스 이론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박사 과정에서는 카오스 이론과 복잡성의 과학을 신경과학에 접목해 물리학적인 관점에서 뇌의 사고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연구했다.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 및 응용물리학과 박사후 연구원(1999-2001), 고려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로 있으며,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겸직교수이기도 하다. 대학원생으로 있을 때 『과학동아』에 "시네마 사이언스" 라는 코너를 연재한 것이 인연이 되어 지금까지 대중적 과학 글쓰기를 하고 있다. "과학"의 눈으로 영화를 보면 영화보기의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통해 과학과 미래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기회를 가질 수 있으리라는 작은 희망을 갖고 있다. 2001년, 복잡한 사회현상의 뒷면에 감춰진 흥미로운 과학이야기를 담은 『과학콘서트』를 쓴 바 있다. 그의 저서는 재미있는 사건들을 통해 과학을 쉽고 친근하게 소개하여 과학을 외워야 할 머릿속 지식이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되도록 하고, 일상에서도 쉽게 과학에 대한 대화와 토론이 이루어지게끔 한다. 또한 국내 최초 라디오 과학 프로그램 「도전 무한 지식」을 진행하면서 쏟았던 열정을 담은 책 『정재승의 도전 무한지식』은 ‘매일 면도 하지 않으면 뇌졸중에 걸릴 확률이 높은 이유나 부패와 발효가 다른 점, 멍든 데 달걀을 문지르면 효과가 있을까?’ 와 같은 다채로운 질문들에 대해 재미있게 설명하였다. 일상 속에서 마주치기 쉬운 일들을 과학 원리에 입각하여 재미있게 해석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쉽게 과학적 교양을 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자타가 공인하는 "과학전도사"가 된 그는 현재도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질문들을 가지고, 과학과 우리 사이의 거리를 부단히 좁히려 노력하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 충돌과 합체의 퍼포먼스 1. 입맛으로 나, 우리, 그들을 구별하는 세상 : 스타벅스 2. 디지털 세상, 어떤 사람이 구루가 되는가 : 스티브 잡스 3. 검색을 잘하면 지능도 발달할까 : 구글 4. 미래를 예측한다는 위험한 욕망 : 마이너리티 리포트 5. 캔버스 위 예술가와 실험실의 과학자 사이 : 제프리 쇼 6. 소년공상만화가 감추고 있는 그 무엇 : 20세기 소년 7. 다음 세기에도 사랑받을 그녀들의 분홍 고양이 : 헬로 키티 8. 기술은 끊임없이 자아도취를 향한다 : 셀카 9. 왜 눈 위의 작은 선 하나가 그토록 중요한가 : 쌍꺼풀 수술 10. 아름다움도, 도덕도 스스로 창조하라 : 앤절리나 졸리 11. 악마도 매혹시킨 스타일 : 프라다 12. 마시는 물에도 산 것과 죽은 것을 구별하는 이유 : 생수 13. 나는 모든 것을 다 보고 싶다 : 몰래카메라 14. 웃음, 열등한 이들의 또다른 존재 증명 : 개그콘서트 15. 끼와 재능도 경영하는 시대 : 강호동 vs 유재석 16. 그곳에서는 정말 다른 인생이 가능할까 : 세컨드 라이프 17. 집단 최면의 시간 : 9시 뉴스 18. 작게 쪼갤수록 무한 확장하는 상상력 : 레고 19. 사이버의 민주주의를 실험하다 : 위키피디아 20. 예술의 경계가 무너지다 : 파울 클레21. 지식의 증명서? 혹은 사람의 가격? : 박사 에필로그 : 생활 세계의 현상학
2009.12.24
조회수 12636
정재승칼럼 예술적 상상력 vs 과학적 상상력
정재승(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한겨레 2009년11월14일자에 "예술적 상상력 vs 과학적 상상력"이란 제목의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예술적 상상력 vs 과학적 상상력 저자 -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매체 - 한겨레 일자 - 2009.11.14(토) 칼럼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387625.html
2009.11.14
조회수 9109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