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82%BC%EC%84%B1%EC%A0%84%EA%B8%B0
최신순
조회순
최선진 학생, 제9회 삼성전기 1nside Edge 대상수상
최선진 학생(좌)과 김일두 교수(우) 우리 학교 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 최선진 학생(지도교수 김일두)이 ‘제9회 삼성전기 1nside edge 논문대상’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지난 11월 22일 수원 삼성전기 본사 내 미래홀에서 개최되는데 이날 최 군은 상금으로 1500만원을 받을 예정이다. 최선진 학생은 ‘날숨 속 아세톤 가스 감지를 통한 비침습적 방식의 실시간 당뇨진단 센서 어레이 개발(Exhaled breath sensor arrays for the non-invasive and real-time diagnosis of diabetes by detection of acetone)’ 논문을 제출해 연구의 독창성과 참신성을 인정받았다. "1nside Edge 논문대상"은 젊은 인재들의 자유로운 발상과 잠재된 기술력을 키우기 위해, 삼성전기가 운영하는 새로운 개념의 학술논문 대상으로 지난 2005년 시작됐다. 삼성전기의 "1nside Edge 논문대상" 은 핵심 전략 기술 및 미래 지향적인 제품 중심으로 우수 기술인력을 발굴하고, 역량있는 인재들의 연구활동을 후원함으로써 글로벌 환경 속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과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자 제정된 공모전이다.
2013.11.27
조회수 13384
KAIST, 삼성전기 삼성서울병원과 공동으로 세포벤치 연구센터 설립
- 삼성서울병원과 생체모사 세포 칩 공동연구 - 개인별 맞춤형 최적 항암제 발굴 및 임상적용 기술 개발 - 전자산업-의학 간 기술 융복합으로 의료 바이오 신 사업 창출 - 원천기술 조기 확보로 시장 선점, 암 환자들에게도 희소식 우리학교는 차세대 바이오(Bio) 분야에서 원천 기술과 우수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세포벤치(Bench)연구센터를 설립, 지난 17일 개소식을 가졌다. 정문술 빌딩에서 열린 이날 개소식에는 서남표 총장을 비롯해 삼성전기 기술총괄(CTO) 고병천 부사장, 삼성서울병원 임효근 진료부원장 등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KAIST-삼성전기-삼성서울병원 등 3개 기관이 협력하여 구성된 세포벤치연구센터는 우리학교 바이오 및 뇌공학과 조영호 교수가 센터장을 맡아, 생체모사 세포칩((Bio-inspired Cell Chip)을 이용한 개인별 맞춤형 항암제 발굴 및 임상적용 기술을 개발한다. 국내에서만 약 40 만 명에 달하고, 개인별로 큰 편차를 보이는 암에 대한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삼성전기의 첨단 소재 및 장비기술, KAIST의 바이오 소자 기술, 삼성서울병원의 임상 적용 기술 등을 결합, 의료 바이오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할 계획이다. 세포벤치 연구센터 조영호 센터장(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은 초기에는 한국인 사망원인 1위인 폐암용 항암제 세포 칩 개발을 목표로 하고, 이를 기반으로 5대 고형암으로 확대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KAIST 서남표 총장은 환영사에서 “전자산업 및 학계, 의료계의 최고 전문가들이 세포벤치연구센터에서 서로의 강점 기술을 융/복합하여, 혁신적인 맞춤형 항암 치료 기술을 발굴, 과학기술의 새로운 장을 개척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삼성전기 기술총괄 고병천 부사장은 “바이오 세포칩 기술 개발은 그 동안 IT분야에 주력해 온 삼성전기에게도 새로운 사업 분야로 진입하는 의미 있는 도전이다”며 “삼성전기, KAIST, 삼성서울병원 등 최고 인력들의 공동연구를 통해 세포칩 분야의 원천기술을 확보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질병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도 간편하고도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용어해설>> - 개인별 맞춤형 항암제: 환자의 유전적, 후천적 특성과 암의 종류 및 부위에 따라 항암제의 효능이 달라지므로, 개인별 항암제 치료의 특이성과 부작용을 고려한 최적의 항암제를 단기간에 선별하여 항암치료의 시기, 효과 및 신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약물치료 기술 - 생체모사 세포칩: 인간의 몸 속에서 세포가 분화 성장하는 환경과 과정을 인공적으로 모사하여 체외에서 세포를 성장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극미량의 약물에 대한 반응(BT) 등 관련 정보(IT)를 고속으로 감지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나노/마이크로가공기술(NT)로 제작된 극미세세포배양 및 분석 칩(Chip) - 세포벤치: 세포의 배양과 분석을 위한 세포칩과 이에 필요한 세포의 분리, 계수, 처리와 극미량배양액 및 약물의 고속 공급과 순환제어를 위한 전처리 과정과 세포의 추출, 파괴, 관찰을 위한 후처리 과정을 함께 결합한 바이오 벤치(Bench)
2008.11.17
조회수 20015
기계공학과 김영식 박사 후 연구원, 제 3회 삼성전기 Inside Edge 논문 대상 금상 수상
기계공학과 김영식 박사 후 연구원(지도교수: 김승우 교수)이 제 3회 Inside Edge 삼성전기 논문대상에서 금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김영식 박사는 “3D tomographical measurements of thin films for high-speed visual inspection” 논문으로 생산기술분야에서 박막두께 및 형상측정의 우수성을 인정 받아 이 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삼성전기의 ‘Inside Edge 논문대상’은 젊은 인재들의 자유로운 발상과 잠재된 기술력을 발현시키기 위해, 삼성전기가 운영하는 새로운 개념의 학술논문 대상입니다. 시상식은 10월 31일(수요일) 오후 2시부터 삼성전기 본사 건물에서 있었습니다.
2007.11.07
조회수 19494
KAIST-삼성전기 산학 협약 체결
-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신 성장동력 확보 위한 산학 협력 - 전력전자, 패키징 연구센터 등 2개 연구센터 KAIST에 개소 - 연구원 재교육, 산업 현장 체험 통한 맞춤형 전문 인력 양성 KAIST(총장 서남표)와 삼성전기(대표이사 강호문)가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산학협력 활동에 나선다. 양 기관은 지난 4월 10일(화) KAIST 교내 제1회의실에서 관련 협약을 체결했으며, 전력전자 연구센터와 패키징(Packaging) 연구 센터도 이날 개소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기와 산학협력으로 운영되는 KAIST의 연구센터는 지난 2005년도에 문을 연 무선기술 연구센터를 포함, 모두 3개로 늘어나게 됐다. 전력전자 연구센터는 평판디스플레이 전원 분야의 고효율, 고전력 서버용 전원 장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센터에서는 연구원 재교육과 산업현장 체험을 통한 맞춤형 전문 인력도 양성한다.패키징 연구센터는 패키징 분야의 품질개선과 차세대 기술력 확보를 위한 전문기술인력을 육성한다. 패키징 기술은 집적화, 시스템화, 모듈화 되어가는 전자부품 산업의 핵심 분야이다. 서남표 KAIST 총장은 “모범적인 산학연구와 학생교육으로 상호 위상을 높이며, 보다 큰 연구 성과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한다”고 말했다.강호문 삼성전기 사장은 “이번 협약은 산, 학간의 성공적인 협력사례가 될 것”이라며 “삼성전기가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하는데 KAIST가 든든한 동반자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07.04.16
조회수 15522
"삼성전기 논문대상" 금상(여성구), 은상(김영식) 수상
삼성전기가 주최하는 "제2회 1nside edge 논문대상"에서 전기및전자공학전공 여성구씨(박사과정)가 금상, 기계공학전공 김영식씨(박사과정)가 은상을 차지했다. 여성구씨(지도교수 권영세 교수)는 "Fabrication of Microlens array Using PDMS Replica Molding and Oxidized Porous Silicon Bulk Micromachining’논문에서 생산기술 부문 실리콘 기반의 Micro Mold 제작 기술 및 미세 형상 기술 분야 연구 수행을 높이 평가 받았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김영식씨(지도교수 김승우 교수)는 "Dispersive white-light interferometry for in-line inspection of thin-film layers on patterned structures" 논문에서 광기술 분야의 불투명 금속 패턴위에 도포된 투명 박막의 두께 형상 측정 기술의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은상을 수상했다. 1nside Edge 논문대상은 삼성전기가 젊은 인재들의 자유로운 발상과 잠재된 기술력을 발현시키기 위해 운영하는 학술논문 대상이다.
2006.11.22
조회수 20792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