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학술지 ACS Nano에 KAIST를 소개하다
나노과학 분야의 저명 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에 우리 대학의 설립 배경, 비전, 나노과학 분야 연구 성과 등을 상세히 소개하는 사설(Editorial)이 게재됐다.
에이씨에스 나노는 2007년 8월 첫 발간 이후 13.709의 피인용지수(Impact Factor, 2017년 기준)를 갖는 나노과학 분야 전문 학술지로 최근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가 부편집장에 선임되기도 했다.
이번 사설은 에이씨에스 나노의 편집장인 폴 와이즈(Paul S. Weiss) UCLA 교수로부터 우리 대학의 나노과학 연구 성과 소개 요청을 받아 진행된 것으로,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정우철, 이혁모 교수가 함께 참여해 국내 선도연구기관으로서의 우수성과 더불어 주목할만한 대표 나노과학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우리 대학은 지난 7년간 에이씨에스 나노 저널에 총 126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신소재공학과 46편, 생명화학공학과 23편, 전기및전자공학과 17편 등), 최근 3년 사이 4편의 표지 논문을 발표했다. (표지 논문 : ▲선택적인 수소 분리막을 이용한 고속 수소 검출 센서(2017, 김일두 교수) ▲브러쉬 형상의 Co4N 나노촉매를 이용한 고용량 리튬-공기 전지 (2018, 김일두 교수) ▲맥신 2차원 소재를 이용한 고선택성 가스센서(2018, 정희태 교수)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복합체를 이용한 고신축성 압력센서(2018, 스티브박 교수))
특히 신소재공학과는‘QS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에서 2017, 2018년도 세계 13위(국내 1위), 2019년도 세계 17위(국내 1위)로 국내 공학 분야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10위 진입을 목표로 32명의 교수진이 전문인력 양성과 R&D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또한, 나노과학 분야의 선도 연구를 위해 우리 대학은 2006년 KI연구소(KAIST Institute)를 설립했고, 현재 나노센츄리(Nanocentury), 바이오센츄리(BioCentury), 헬스 사이언스&테크놀로지(Health Science and Technology), AI연구소(Artificial Intelligence) 등 4개의 연구소가 나노융합 연구를 위한 대학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밖에도 1971년 개교 이후 박사 1만3029명 포함 총 6만3830명의 고급 과학기술 인력 배출, 아시아 최고 혁신대학 3년 연속 1위, 2018 로이터랭킹 세계 최고 혁신대학 세계 11위, QS 기술/공학(Engineering & Technology) 통합순위에서 세계 26위 등의 성과를 소개했다.
신소재공학과 이혁모 학과장은 “에이씨에스 나노 저널 메인에 KAIST 소개 사설을 발표할 수 있게 돼 영광이다”라고 말했다.
김일두 교수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교육 및 연구기관으로서 KAIST가 선도하는 나노과학 분야를 널리 알리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 그림 설명
그림1. KAIST 발표 표지논문들
2019.05.03
조회수 7268
-
KAIST發 산학협력 모델 확산되길 기대한다
대전일보는 우리학교가 국내 대학 중 처음으로 새로운 형태의 산학협력 시스템인 ‘기업회원제’를 도입해 가동에 들어갔다고 이례적으로 사설을 실었다.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산학협력에 달렸다는 시대적 흐름을 해외의 사례를 언급하면서, 이번 모델이 뿌리를 내려 산학협력의 활성화 전기로 작용될 것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제목: KAIST發 산학협력 모델 확산되길 기대한다
신문: 대전일보 칼럼 23면
일시: 2011년 3월 24일 목요일
[기사보기] KAIST發 산학협력 모델 확산되길 기대한다
2011.03.24
조회수 10283
-
김병호회장 300억 기부에 각종 사설칼럼 이어져
경기도 용인의 서전농원 김병호 대표가 300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KAIST에 기부한 이래로 주요 매체에서 각종 사설과 칼럼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김병호 회장은 지난 2009년 8월 12일 자신이 평생 모은 재산 300억원을 과학기술 발전에 써달라며 KAIST에 기부하면서 "버는 것은 기술, 쓰는 것은 예술"이라며 그의 인생철학을 밝혀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준 바 있다. 다음은 김병호 회장의 발전기금 기부를 의미있게 다룬 각종 사설과 칼럼들
동아일보 사설(2009/08/14)
- [사설] "가난의 대물림" 끊어줄 기부와 장학금
동아일보 사설(2009/08/14)
- [사설] 300억 재산 쾌척한 김대표 가족의 나눔정신
세계일보(2009/08/14)
- [설왕설래] "버는 것은 기술, 쓰는 것은 예술"
문화일보(석간) 사설(2009/08/13)
- [사설] "버는 건 기술, 쓰는 건 예술" - 김병호회장의 기부
아시아경제(석간) 칼럼(2009/08/13)
- [권대우의 경제레터] 버는 것은 기술, 쓰는 것은 예술
대전일보 사설(2009/08/13)
- 김 회장의 아름다운 KAIST 발전기금 기부
경제주간지 이코노믹 리뷰 칼럼(2009/08/19)
- 버는 것은 기술, 쓰는 것은 예술 (권대우 아시아경제신문 회장)
중앙일보 칼럼(2009/08/26)
- [시론] 아름다운 기부 "300억 클럽" (이광형 KAIST 교수)
2009.08.28
조회수 8473
-
이상엽 교수, LG화학 석좌교수로 위촉
KAIST 이상엽 교수(생명화학공학과)가 LG화학의 석좌교수로 위촉되었다. 이 교수는 유전병 진단 DNA칩 개발, 미생물 대사설계 기술 개발 등 생명화학공학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성과를 거둔 세계 최고의 석학으로, 대한민국 특허기술대상, 과학기술포장 등을 수상했으며, "2002 세계경제포럼"에서 아시아 차세대 리더 및 기술혁신 공로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KAIST와 LG화학은 이날 KAIST 홍릉캠퍼스 국제회의장에서 홍창선 KAIST 총장, 성재갑 LG화학 회장, 노기호 LG화학 사장 등 양측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상엽 교수의 석좌교수 협약식을 가졌다.
2004.04.22
조회수 17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