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자흐스탄 교육부장관 KAIST 방문
아슬란 사린쥐포브(Aslan Sarinzhipov) 카자흐스탄 교육부장관과 그 일행이 6월 30일 KAIST를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세계 최대 규모의 과학 및 의학기술 출판사인 엘스비어(ELSEVIER) 지영석 회장이 카자흐스탄 교육부에 요청해 이루어졌다.
장관 일행은 강성모 총장 및 주요 보직자들과의 면담에서 KAIST의 우수한 교육제도와 탁월한 연구 성과에 대해 큰 관심을 보였다. 특히 KAIST 판교센터의 중소기업 창업지원 프로그램과 이를 통한 성과창출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강성모 총장은 “이번 장관님 방문으로 카자흐스탄 유학생들이 KAIST를 더 많이 찾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라고 말했다.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 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난 1991년 구소련의 해체와 함께 카자흐스탄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현재 우리 대학에는 22명의 유학생들이 수학하고 있다. 끝.
2015.06.30
조회수 9251
-
신경계 독성 물질의 독성 제거 및 감지에 대한 연구 동향 리뷰
- 2년여 동안의 집필, 600 여개의 참고문헌, "케미컬 리뷰즈" 온라인판 6월호 게재
우리학교 화학과 데이비드 처칠(David G. Churchill) 교수가 "신경계 독성 물질의 독성 제거 및 감지 기술에 대한 리뷰" 논문이 화학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케미컬 리뷰(Chemical Reviews)" 지 온라인판(6월 13일자)에 게재됐다.
신경계 독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유기포스폰산(organophosphonate)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중추신경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들에 대한 독성 제거 및 감지에 대한 요구가 계속 있다. 대표적인 신경계 독성 물질로는 VX, 사린(Sarin), 타분(Tabun), 소만(Soman) 가스 등이 있으며, 사린 가스는 1995년 도쿄 지하철 독가스 사건에 사용되기도 한 위험한 물질이다.
이번 리뷰 논문에서는 지난 수십년 동안 발표됐던 신경계 독성 물질의 독성 제거 및 감지 기술에 관한 논문 및 특허에 관해 요약 정리했다. 실제 독성 물질을 이용한 연구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독성이 약한 구조적 유사체 및 유기포스폰산 살충제를 이용한 연구 결과도 본 리뷰에서 다루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 신경계 독성 물질 및 유사체에 대한 소개 및 신경계 작용 기작 ▲ 다양한 화학 반응(가수분해, 산화반응, 친핵체반응, 표면화학)을 이용한 신경계 독성 물질의 분해 및 독성 제거 ▲ 다양한 분석 방법(분광학적 기술,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 전기화학)을 이용한 감지 기술 등을 포함하고 있다.
처칠 교수는 “이번 리뷰는 신경계 독성 물질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 분야 및 전략을 세우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며, 이를 통해 더욱 폭넓은 분자 수준에서의 신경계 독성 물질의 이해에 전환점이 될 것” 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 논문은 처칠 교수와 김기봉, Tsay Olga 박사과정 학생 및 미국 켄터키 주립대학 데이비드 에트우드(David A. Atwood) 교수가 약 2년에 걸쳐 공동 집필했다.
2011.08.22
조회수 13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