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B%A1%9C%EB%A0%8C%EC%8A%A4%EB%B2%84%ED%81%B4%EB%A6%AC
최신순
조회순
건설 및 환경공학과 출신 박사 잇따라 해외 대학교수로 임용
우리 학교 건설 및 환경공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박사 3명이 최근 해외 대학교수로 잇따라 임용돼 화제가 되고 있다. 주인공은 권태혁, 송기일, 그리고 외국인 졸업생인 리오 라모레나(Rheo B. Lamorena) 박사. 권 박사와 송 박사는 각각 미국 워싱턴주립대 토목환경공학과에 오는 9월, 노팅햄대 말레이시아 캠퍼스에 오는 8월 부임한다. 특히, 라모레나 박사는 필리핀인으로 KAIST에서 수학한 후 모국의 최고 명문대학인 필리핀대학에서 지난 6월부터 후학을 양성하게 되는 영예를 얻었다. 2009년 박사학위를 받은 권태혁 박사는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로렌스버클리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신에너지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천연가스하이드레이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의 격리저장, 미생물을 이용한 석유회수증진기법 분야를 연구해 왔다. 특히, 에너지 분야에 대한 연구를 통해 토목 및 지반공학의 범위를 확장했다는 업적을 인정받아 최종임용이 확정됐다. 송기일 박사는 2009년 박사학위를 받은 후 말레이시아 왕립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로 임용된 후 노팅햄대 말레이시아 캠퍼스로 내달 자리를 옮긴다. 송 박사는 지하공간 비파괴 물리탐사 연구와 수리역학적 거동에 대한 이론 및 수치해석 연구를 통해 세계적 저널에 연구논문을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올해 2월 박사학위를 받은 리오 라모레나(Rheo B. Lamorena) 박사는 유해물질 제어 및 환경복원 연구실에서 클러스레이트 하이드레이트를 이용한 온실가스의 천부해저퇴적층 저장기술개발 분야를 연구해 왔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동해 울릉분지 상에 존재하는 유기물과 토양광물이 온실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해 관련 학계의 큰 주목을 받았다. 건설 및 환경공학과 이행기 학과장은 “지난 2006년 이후, KAIST는 국제적으로 인지도가 향상됐다. QS 세계대학평가의 경우 2006년 198위에서 2011년 79위로 119계단 수직상승했다”며 “외국 대학에서 보여주는 KAIST출신 박사에 대한 선호도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라고 말했다.
2011.07.21
조회수 13976
이상엽교수, 미 에너지성 산하 바이오에너지연구소 과학자문위원 위촉
- 세계 선도 바이오 에너지연구소의 자문 및 협력연구 추진 우리학교 생명화학공학과 및 바이오융합연구소 이상엽(李相燁, 44세, LG화학 석좌교수) 특훈교수가 미국 에너지성(Department of Energy)산하 바이오에너지연구소(Joint Bioenergy Institute, JBEI)의 과학자문위원(Scientific Advisory Board Member)로 위촉됐다고 밝혔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인근 에머리빌에 위치한 JEBI는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를 중심으로 샌디아국립연구소, 버클리와 데이비스 소재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등이 협력하여 다양한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에너지 생산의 제반 기술을 연구하는 연구소다. 지난 6월 미국 에너지성 산하 연구소로 선정되어 최근 새로 문을 연 JBEI는 우선 5년간 1300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며, 바이오에너지 관련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JBEI의 CEO인 버클리대학 제이 키슬링(Jay Keasling) 교수는 항말라리아제인 아티미시닌을 대장균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세계적인 바이오엔지이어다. 대사공학, 시스템생물학, 바이오에너지 및 바이오리파이너리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성과를 내고 있는 李 교수는 JBEI의 연구 방향과 과학기술 개발 추진체계를 전반적으로 자문하게 되는 과학자문위원회(Scientific Advisory Board)에 캘리포니아 공대 프란시스 아놀드 교수, MIT의 찰스 쿠니교수, 노바티스 게놈연구소의 스코트 레슬리박사 등과 함께 초대 위원으로 위촉됐다. 첫 번째 과학자문위원회(SAB) 회의를 위해 곧 출국하는 李 교수는 “미 정부로부터 집중적으로 지원을 받아 세계를 선도하는 바이오에너지연구소의 과학자문위원으로서 환경문제, 식량문제 등에 제대로 대처하면서 인류와 지구가 지속할 수 있는 기술개발 방향으로 자문코자 한다”며, “우리나라도 이러한 집중 연구가 가능한 연구집단의 구축이 이뤄졌으면 좋겠다. JBEI 과학자문회의와 협력회의 등을 통해 우리나라와 바이오에너지 및 바이오리파이너리 관련 공동연구 등을 추진하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李 교수팀은 재생가능한 바이오매스로부터 숙신산 등의 핵심 화학물질들과 바이오부탄올 등의 화학 및 연료 물질 생산 관련 대사공학 연구를 수행 중이며, 이러한 바이오 기반 산업기술 성공의 핵심인 시스템생명공학 연구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다.
2008.08.04
조회수 14515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