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B%8F%99%EC%95%84%EC%82%AC%EC%9D%B4%EC%96%B8%EC%8A%A4
최신순
조회순
ISPI, 전략기술의 글로벌 경쟁 현황과 기술지정학적 대응 세미나 개최
각국의 기술 보호주의가 거세지고 국가 주도의 기술 전략이 우선되는 상황에서 한국 핵심 전략기술의 현주소와 미래 전망을 살펴보는 국제포럼이 우리 대학 혁신전략 연구소(ISPI) 주최로 개최된다.우리 대학 혁신전략정책연구소(소장 김원준 교수, ISPI: Innovation Strategy and Policy Institute, 이하 ISPI)는 24일 오전 9시 ’전략 기술의 글로벌 경쟁 현황과 기술지정학적 대응’을 주제로 ‘ISPI-GF 2022 국제포럼’을 온라인으로 연다.동아사이언스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후원하는 이번 포럼에서는 AI 반도체, 이차전지 등 핵심 전략기술의 글로벌 경쟁 상황을 파악하고 이들 전략기술을 중심으로 한 국가 기술전략의 방향을 논의한다.첫번째 세션에서는 김원준 KAIST ISPI 소장과 김진우 KAIST 교수가 ‘전략기술의 글로벌 경쟁 현황과 전략적 대응방향’을 주제로 ISPI에서 분석한 이차전지와 AI반도체의 글로벌 경쟁상황과 한국의 현황을 소개한다. 이번 소개에선 이들 기술들의 국가별 수준과 기업과 대학을 포함한 혁신 생태계 등을 집중 조명한다. 세션 토론에서는 김원준 소장이 좌장을 맡고 최우석 산업부 소재융합산업정책국장, 조상현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글로벌공급망 분석센터장), 조용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아태첨단기술전략연구센터 연구위원 이 토론자로 나서 전략기술에 대한 한국의 대응을 심도있게 논의한다. 두번째 세션에서는 기술경영학계의 거두인 조시 러너(Josh Lerner)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와 카즈유키 모토하시(Kazuyuki Motohashi) 도쿄대 교수, 그리고 이근 서울대 석좌교수(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가 전략기술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기술전략 방향을 논의한다. 조시 러너 하버드대 교수는 국가주도 기술전략의 장단점을 설명하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간섭이 벤처를 중심으로 한 혁신성장 등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밝힐 예정이다. 모토하시 교수는 일본 전략기술의 정책방향을 소개하면서 과학기술과 경제 안보의 연관성을 설명할 예정이다. 이근 교수는 미중 갈등이 한국 제조업에 던지는 시사점을 소개하고 한국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두번째 세션 토론회에서는 김원준 소장이 좌장을 맡고 발표에 나선 조시 러너 교수와 모토하시 카즈유키 교수, 이근 교수 등이 패널 토론을 맡는다.이번 포럼에서는 이광형 KAIST 총장이 개회사를 하며 이우일 한국과총 회장이 축사를 전한다. 포럼을 총괄한 김원준 ISPI 소장은 “전략기술은 앞으로 국가의 경제 안보 과학기술 산업외교 통상 등 전방위에 걸쳐 국가전략을 좌우하고 있다”며 “ 이에 따른 국가차원의 글로벌 기술전략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어 이번 포럼을 준비하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ISPI 국제포럼은 유튜브 ‘KAIST채널’과 유튜브 '동아사이언스 TV채널’, '한국 과총 유튜브’ 등을 통해 전세계 실시간 중계되며 동시 통역을 제공한다. 글로벌 기술패권시대에 전략기술과 기술혁신 전략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시청할 수 있다. 세미나 안내 바로가기 ☞ https://ispi.kaist.ac.kr/network/view/sc_type/net03/doc_id/60/
2022.02.22
조회수 3232
제1회 정문술 과학저널리즘 상 시상
- 대상에 동아일보-동아사이언스, 방송부문상에 KBS 우리 학교는 6일 오후 4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매화홀에서 서남표 총장과 한국과학창의재단 강혜련 이사장 및 수상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정문술 과학저널리즘 상’ 시상식을 갖는다. ‘정문술 과학저널리즘 상’은 정문술 전 미래산업 회장(전 KAIST 이사장)이 2001년 KAIST에 기부한 300억원 중 일부인 10억원을 기금으로, 과학기술의 발전에 기여한 언론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시행 첫해인 올해의 대상은 일본 원전사고를 집중 보도한 동아일보-동아사이언스(김상수, 김규태, 김창원, 이현경, 서영표, 이영혜, 원호섭 기자)의 기획시리즈 기사인 ‘원전 강국, 안전나사를 조이자’가 선정됐다. 대상작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의 시각을 잘 조명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원전 사고에 대한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에 있어 보완책 점검과 대책마련, 중국의 원전사고 대비 등을 전문적이면서도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다룬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부문상 수상은 KBS(이은정, 이이슬, 조지현 기자)의 ‘한국 원전은 안전한가?’가 선정됐다. 이웃나라 일본의 원전사고에 대한 실상을 통해 원전의 안전한 이용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한국 원전의 안전성을 전문적이면서도 알기 쉽게 설명한 점을 인정받았다. 수상자에게는 대상 2천만원, 부문상 1백만원이 부상으로 각각 수여된다. 시상식 후에는 과학에 대한 올바른 대중적 이해와 소통, 그리고 과학 저널리즘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는 ‘제1회 과학저널리즘 리뷰 컨퍼런스(Science Journalism Review Conference)’가 열리며, 올해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보도에 대한 뉴스 프레임 분석 연구결과’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2011.10.06
조회수 10074
계간 카이스트비전 2010년 봄호 발간!
계간 카이스트 비전 2010년 봄호가 발행됐다. 입학처 입학정책팀에서 발행하고, 홍보동아리 카이누리의 카이스트비전팀(편집장 강하나 학생)의 취재 및 기사작성 활동과 동아사이언스의 편집디자인 과정을 통해 제작되는 이 계간지에서는 커버스토리 "KAIST 교수, 캠퍼스 밖으로"란 주제로 카이스트 교수들의 활발한 대외활동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기획면에서는 "KAIST 연애생활보고서"란 제목으로 캠퍼스커플(CC), 떨어져사는 커플(DC, Distant Couple), 솔로편 등 3가지 형태의 학생 생활에 대해 들려주고 있다. 이 밖에도 포토스토리에서 포착한 "KAIST 캠퍼스 폴리스24시"가 흥미롭고, 새롭게 기획된 [지인아, 어디 가?] 편에서는 우리학교의 금융공학 분야에 대해 재미있게 소개하고 있다. 다음은 목차 Contents 04 석림의 종 | 우리의 멋, 자연 속의 여백 06 학교소식 08 커버스토리| KAIST 교수, 캠퍼스 밖으로 1 “사장님, 아니 작가님? 아, 아니 교수님, 당신은 누구신가요?” 2 “카이스티안이여, 한국에 실리콘밸리를 만듭시다” - 이승섭 기계공학과 교수 3 과학 아닌 것에서 과학을 발견하다 -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4 피아노 치는 국악인, “내 음악이 새롭나요?” - 변계원 인문사회과학과 교수 16 포토에세이 | KAIST 캠퍼스 폴리스 24시 20 진로가이드 | 지구의 가치를 높이는 기업, 두산중공업 1 한국형 원자력 르네상스를 이끈다 2 “반갑습니다, 선배님!” 두산중공업 김정태 상무를 만나다 24 문화와 인물 1 다시 돌아온 총학생회, 박승 신임 회장을 만나다 2 예술 속의 과학! 백신을 디자인하다 -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28 명강의 | “자, 숨 크게 들어 마시고~ 내뱉고” - 인성리더십3 ‘기초발성’ 강좌 30 지인아, 어디 가? | KAIST에 금융공학? 그거 기대되네~! 34 기획 | KAIST 연애 생활 보고서 1 CC편 2 DC편 3 Solo편 40 KAIST 블로그42 퀴즈43 편집후기 계간지 「KAIST비전」 2010 Spring 창간 1997년6월1일 발행일 2010년2월22일 발행인 서남표 편집주간 김도경 편집장 강하나 발행처 KAIST 입학정책팀 우) 305-701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335(구성동 373-1) Tel (042)350-2351 Fax (042)350-2420 편집디자인 동아사이언스 Tel (02)3148-0735 [카이스트비전 PDF파일로 보기] 2010_KAIST_Vision_spring(1~23page).pdf 2010_KAIST_Vision_spring(24~43page).pdf
2010.03.04
조회수 13496
계간 KAIST비전 2009 겨울호 발간!
계간 카이스트 비전 2009년 겨울호가 발행됐다. 입학처 입학정책팀에서 발행하고, 홍보동아리 카이누리의 카이스트비전팀(편집장 백현재 학생)의 취재 및 기사작성 활동과 동아사이언스의 편집디자인 과정을 통해 제작되는 이 계간지에서는 특집 "KAIST가 들려주는 기부이야기"이란 제목으로 우리대학의 기부스토리를 자세히 담고 있으며, 기획면에서는 남녀재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해서 학업편, 생활편, 문화편 등으로 나누어 재미있게 소개하고 있다. 이 밖에도 [진로가이드]에서는 KAIST 출신 변리사를 출신으로 변리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 목차는 다음과 같다. Contents 04 석림의 종 | 성공을 꿈꾸는 엔지니어되기(김경수 기계공학과 교수) 06 학교소식 08 특집 | KAIST가 들려주는 기부 이야기 1 최고의 과학 인재 키워달라 2 기부는 소유의 끝이 아니라 절정 3 내 결론은 KAIST... 모든 걸 주고 싶다 4 경영학개론, 유쾌한 기부 가르치다 16 포토에세이 | 대변신으로 샤방샤방~! KAIST 교내 식당 둘러보기 18 진로가이드 | 나도 변리사 됄래! 그런데 변리사가 뭐야? 1 변리사, 아이디어 전쟁터의 검투사 2 "안녕하세요, 선배님?" KAIST 출신 변리사를 만나다 3 그들이 궁금하다! 변리사를 꿈꾸는 KAISTian 24 문화와 인물 1 굿모닝, 프로페서! - 前 러시아 대사, 이인호 교수를 만나다 2 배움을 나누는 사람들 - "배나사" 유성 교육장을 찾다 28 명강의 | KAIST의 작은 로스쿨을 가다 30 연구실 탐방 | 미디어 만드는 디자인 공장 KAIST 산업디자인학과 디자인미디어 연구실 34 기획 | KAIST 남녀탐구생활 1 학업편 2 생활편 3 문화편 40 KAIST 블로그 42 퀴즈 43 편집후기 계간 카이스트비전 2009 겨울호 보기 2009_KAIST_Vision_winter.pdf
2009.12.12
조회수 11653
KAIST 남녀탐구생활 파트3...문화편
동아일보사의 동아사이언스에서 발행하는 유력 인터넷매체 "더 사이언스"(THE SCIENCE)는 최근 "KAIST 남과 여" 특집을 메인기사로 다루고, 2009년 12월 8일자 THE SCIENCE 이메일뉴스레터의 메인기사로 비중있게 다뤘다. KAIST-동아사이언스 공동기획으로 진행된 이 기획시리즈는 1편 - [KAIST 공동기획] "너무나 다른 KAIST의 남과 여" - 남녀탐구생활 파트1 학업편2편 - [KAIST 공동기획] "너무나 다른 KAIST의 남과 여" - 남녀탐구생활 파트2 생활편 -에 이어서 다음과 같은 주제의 기사를 다뤘다. [KAIST공동기획] 그와 그녀의 24시 KAIST 남녀탐구생활 파트3 ... 문화편 http://news.dongascience.com/HTML/News/2009/12/04/20091204200000027825/200912042000000278250110000000.html
2009.12.10
조회수 11015
KAIST 남녀탐구생활 파트2...생활편
동아일보사의 동아사이언스에서 발행하는 유력 인터넷매체 "더 사이언스"(THE SCIENCE)는 최근 "KAIST 남과 여" 특집을 메인기사로 다루고, 2009년 12월 8일자 THE SCIENCE 이메일뉴스레터의 메인기사로 비중있게 다뤘다. KAIST-동아사이언스 공동기획으로 진행된 이 기획시리즈는 1편 - [KAIST 공동기획] "너무나 다른 KAIST의 남과 여" - 남녀탐구생활 파트1 학업편 -에 이어서 다음과 같은 주제의 기사를 다뤘다. [KAIST공동기획] 그와 그녀의 24시 KAIST 남녀탐구생활 파트2 ... 생활편 http://news.dongascience.com/HTML/News/2009/12/04/20091204200000027824/200912042000000278240110000000.html
2009.12.09
조회수 11310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