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B%8C%80%ED%95%99%ED%8F%89%EA%B0%80
최신순
조회순
QS 2022-23 아시아대학평가 종합 8위 · 국내 1위
우리 대학이 최근 발표된 QS 2022-23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국내 1위, 아시아 8위를 차지했다. QS 2022-23 아시아 순위는 지난해 14위에서 여섯 계단 뛰어오르며 국내 대학 중 유일하게 톱 10에 포함됐다. 평가 대상에 오른 국내 대학 89개 중 87%의 순위가 그대로이거나 하락한 상황에서 돋보인 성과다. 11개의 평가지표 중 ▴학계 평판도 ▴졸업생 평판도 ▴국제 공동연구 협력 현황 ▴외국인 학생 비율 ▴파견 교환 학생 수 등 5개 지표의 점수가 전년 대비 상승했다. 특히, 각 대학의 최근 5년간 논문실적을 분석해 국제 공동연구 협력 현황을 평가하는 항목에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우리 대학은 현재 503개 협정을 바탕으로 전 세계 65개국 290개 기관 및 대학과 학생교환 및 연구 협력 등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다. 최근, 국제공동연구를 전략적으로 확대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시행해 MIT, UC 버클리, 스위스 로잔공대(EPFL) 등 해외 유수 대학들과 활발하게 협력하고 있다. QS 아시아 대학 1위는 중국의 베이징대가 차지했으며, 싱가포르 국립대·칭화대·홍콩대·난양공대가 뒤를 이었다. 국내 대학은 우리 대학에 이어 연세대(12위)·고려대(15위)·서울대(17위)·성균관대(18위)가 아시아 톱 2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이광형 총장은 "아시아 상위 10위권 순위 안에 한국 대학의 이름이 올라온 것이 3년만이다"라며, "학내 구성원은 물론 졸업생들까지 각자의 자리에서 노력해준 덕분에 우리 대학이 국내 최고의 대학이자 아시아에서도 손꼽히는 대학으로 이름을 올리게 되어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 총장은 "세계 상위 10위권에 드는 대학이 되는 것도 우리가 꿈을 꾸면 해낼 수 있는 일이라고 믿는다"라며, "우리 구성원들이 더 큰 꿈의 크기를 가지고 세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교육·연구·국제화 등 각 분야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달 발표된 2022-23 THE 학문 분야별 대학평가(Subject Rankings)에서도 공학 분야(7년 연속), 전산학(4년 연속), 물리 분야(2년 연속) 국내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상경 분야는 국내 3위, 인문학 분야는 국내 2위를 기록했다.
2022.11.15
조회수 1872
THE 2019 세계대학 영향력 순위 ‘산업·혁신 및 인프라’ 부문 세계 4위
〈THE 2019 세계대학 영향력 순위 발표 현장에서 축사하는 신성철 KAIST 총장 〉 영국의 글로벌 대학평가기관인 THE(Times Higher Education)가 3일 오후 발표한 ‘2019 세계대학 영향력 순위(University Impact Rankings)’에서 우리 대학이 ‘산업·혁신 및 인프라(Industry·Innovation & Infrastructure)’ 부문에서 세계 4위를 차지했다. KAIST는 특히 세계 4위를 차지한 SDG 9(산업·혁신 및 인프라) 부문의 세부 항목인 ‘특허·논문·산업체 연구비’ 분야에서 평가지표 점수 10점 만점 중 9.9점을 기록해 세계 최고의 지식창출 기관임을 재확인했다. UN이 2015년 채택한 17개 지속 성장 가능 목표(이하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지표로 대학의 사회적·글로벌 영향력을 평가하기 위해 새로이 도입된 이번 ‘세계대학 영향력 순위’는 KAIST에서 4일까지 열리고 있는 ‘2019 KAIST-THE 이노베이션 & 임팩트 서밋’에서 최초로 공개됐다. THE는 이번 순위발표에서 UN이 정한 17개 SDGs 가운데 11개만을 평가 항목으로 삼았다. 11개 평가 항목은 ▲건강과 복지 ▲교육의 질 ▲양질의 일자리 및 경제 성장 ▲산업·혁신 및 인프라 ▲불평등 완화 ▲지속 가능한 도시 및 지역 사회 ▲지속 가능한 소비 및 생산 ▲기후 변화 대응 ▲평화·정의 구현을 위한 확고한 제도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협력 등 이다. THE의 이번 평가에는 아시아·유럽·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오세아니아·아프리카 등 전 세계 6개 대륙, 75개국에서 551개 기관이 평가 대상으로 참여했다. KAIST는 작년 3월부터 ‘글로벌 가치창출 선도대학’이라는 ‘비전 2031’을 수립, 선포하고 교육·연구·기술사업화·국제화·미래전략 등 5개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KAIST는 특히 산업계 논문 인용 영향력, 특허 성공률 등 기술사업화 분야에서는 이전부터 두각을 나타내 데이터 및 뉴스 서비스 기업인 로이터가 선정하는‘아시아 최고 혁신대학’ 순위에서도 2016년부터 3년 연속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로이터는 ▲특허출원 수 ▲특허 성공률 ▲국제특허 ▲산업계 논문인용 영향력 등 10개 지표를 고려해 매년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행사 도우미 휴보와 함께 순위를 발표하는 던칸 로스(Duncan Ross) THE 데이터 담당자〉 이재형 KAIST 국제협력처장은 “다변화돼가고 있는 국제적 추세에 따라 대학의 역할도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대학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잣대도 함께 변화해야 한다”며 “THE가 올해 처음 시도한 세계대학 영향력 순위(Impact Rankings)는 평가 기준을 다양하게 확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THE는 일부 선진국 우수대학들의 성취도 평가에 그쳤던 기존의 대학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이번에는 각 대학의 지속 성장 가능 지수를 바탕으로 대학의 역량과 사명을 평가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처음으로 채택했다. 필 베티(Phil Baty) THE 편집장은 “인류의 보편적 문제·지구 환경문제·경제·사회 문제 등의 해결을 위한 연구(research), 지속 가능한 성장 목표를 위한 기관의 운영과 관리(stewardship), 국가 및 지역에 기여하는 대학의 사회공헌활동(outreach) 등을 큰 틀로 정해서 매년 순위평가를 이어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신성철 KAIST 총장도 “국가 발전의 성장 동력이 되는 지식창출에 헌신해 온 KAIST 또한 UN이 정한 17개 지속 성장 가능 목표를 새로운 지표로 삼아 글로벌 가치를 창출하는 선도대학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19.04.04
조회수 10716
QS, 2018 세계대학평가 순위 발표.. KAIST 40위 달성
영국의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7일 새벽 발표한 2018 세계대학평가 순위에서 우리 대학이 40위를 기록했다. 우리 대학은 2017년도 기록한 41위보다 한 단계 상승했으며 이는 서울대(36위)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이다. 특히 교원당 논문 피인용 수만 봤을 때 16위로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이번 세계대학평가에선 전반적으로 과학·기술 분야에 강한 대학들이 좋은 성적을 거뒀다. 상위 10개 대학 중 MIT(1위), 캘텍(4위), ETH취리히(7위), 임피리얼칼리지(8위) 등 4곳이 과학 분야 특화 대학이다. 마틴 인스(Martin Ince) QS 자문위원장은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과학 기술에 강한 대학이 평가 순위에서도 유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신기술 연구를 많이 하는 공과 대학이 연구의 질(質)을 나타내는 '교원당 논문 피(被)인용 수' 부문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박오옥 부총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과학 기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지만 사회가 갈수록 복잡해지기 때문에 한 분야를 연구해선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면서 "앞으론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하는 대학들이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8.06.07
조회수 6719
QS 2017 아시아 대학평가 4위 올라
우리대학이 조선일보가 10월 17일 발표한 '조선일보-QS 2017 아시아 대학평가' 조사결과 국내대학 가운데 가장 순위가 높은 4위에 올랐다. 2016년에는 6위를 차지했는데 올해는 전년보다 2단계 상승한 4위를 차지한 것이다. 상위 20위에 속한 국내 6개 대학 가운데 작년보다 순위가 오른대학은 우리대학과 성균관대 등 단 두개 대학뿐이다. 아시아 대학 순위1위는 싱가포르 난양대가, 그리고 2위는 싱가포그국립대가 각각 차지했다. 관련기사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17/2017101700290.html
2017.10.17
조회수 5157
신성철 총장, 글로벌 대학평가기관 THE의 Research Excellence Summit 기조연설
신성철 총장은 4일 오전 대만 타이중 밀레니엄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대학평가기관인 THE(타임스고등교육) 주관의 ‘리서치 엑설런스 서밋(Research Excellence Summit)’ 기조연설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특징짓는 초연결화, 초지능화, 융복합화의 3가지 메가트렌드를 설명하고 “향후 과학기술의 변화의 폭과 속도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며 인류사회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측하면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한 대학의 교육·연구·기술사업화 분야에서의 혁신적 방안을 제시해 세계 유수대학의 총장 및 대학 관계자들부터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신 총장은 우선 교육혁신의 경우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창의력과 협업능력·의사소통 능력을 겸비한 인재양성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 같은 인재양성을 위해서는 “기초과학․공학교육 및 인문사회교육 강화를 통한 전뇌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위해 학부 무학과 교육과정의 도입을 제안했다. 신 총장은 또 수업방식에도 근본적 변화가 필요하다며 “팀 기반학습·프로젝트 기반학습·플립(Flip) 학습방법 등을 통해 교수강의 중심교육에서 질문․토론 위주의 학생중심교육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돼야한다”고 강조했다. 신성철 총장은 특히 기능면에서 인간이 도저히 경쟁할 수 없는 로보사피엔스(인공지능 로봇)와 공생해야 할 다음세대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통찰력·지혜·감동·배려 등 ‘가치 중심의 교육’이 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편, 연구혁신을 위해서는 초학제간 융·복합 연구, 학문의 세대를 초월한 협업연구, 인류난제 및 거대과학 분야에서의 국제 공동연구 중요성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며 제시했다. 신 총장은 이와 함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분야인 인공지능 기반 융·복합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KAIST에서 진행 중인 ‘닥터 M 프로젝트’·‘휴보 프로젝트’·‘군집드론 조정 프로젝트’등 여러 융·복합 연구프로젝트 소개를 통해 타 대학 관계자들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았고 강연 후에는 국제 공동연구 제안까지 받았다. 신 총장은 이밖에 “기술사업화가 미래 대학의 새로운 사명이 되어 대학이 R&DB 의 허브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 뒤 KAIST의 사회적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교육, 교수와 학생들에 대한 창업지원 체제 및 창업 현황을 소개해 갈채를 받았다. 마지막으로 신 총장은 “지금 한국정부는 4차 산업혁명을 국가의 새로운 도전이자 기회로 인식하고 있다”며 “한국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4차 산업혁명의 성공을 위해서 한국 대학의 혁신적 변화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 한국의 대표적 대학인 KAIST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가기 위해 선도적 역할과 사명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하고서 기조연설을 마쳤다.
2017.07.06
조회수 9001
KAIST, THE 2017 아-태 대학순위 발표 국내 1위, 아-태지역 13위
글로벌 대학평가기관 THE(타임스고등교육)가 5일 새벽 발표한 '2017 아시아-태평양 대학순위'에서 우리대학이 국내 1위, 아시아-태평양지역 13위를 차지했다. 서울대와 포스텍이 각각 14위와 15위를 차지했으며 성균관대는 21위로 그 뒤를 이었다. THE의 아시아-태평양지역 대학 순위는 올해가 첫 발표로 중동을 제외한 아시아, 호주, 뉴질랜드 등 13개 국가 대학들을 대상으로 평가했다. 아래 링크는 THE의 각종 글로벌 대학평가 순위를 국내에서 독점 보도하고 있는 매일경제신문의 관련기사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449115
2017.07.05
조회수 7024
2017 THE 아시아대학평가 아시아 8위, 국내 1위
우리 대학이 영국의 글로벌 대학평가기관인 THE(Times Higher Education)가 발표한 ‘2017 THE 아시아대학 순위(THE Asia University Rankings)’에서 역대 최고 순위인 8위에 올랐다. 우리 대학은 교육여건, 연구실적, 논문 피인용 지수, 국제화, 산학협력 수입 등 모든 평가 분야에서 전년대비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교육여건과 연구실적 분야 점수가 상승세를 이끌었다. 특히, 산학협력 수입 항목에서는 2년 연속 100점 만점을 받았다. 이 결과 지난해 아시아 10위에서 두 계단 뛰어오른 아시아 8위, 국내 1위를 차지했다. THE는 2013년부터 아시아 대학평가 Top 100위의 랭킹을 발표하였으며, 2016년은 Top 200위, 2017년부터는 Top 300위의 랭킹을 발표했다. 평가지표는 ① 교육 여건 ② 연구실적 ③ 논문 피인용 지수 ④ 국제화 ⑤ 산학협력 수입 등의 지표가 활용됐다.
2017.03.16
조회수 7724
2017 QS 세계대학평가, 20위 內 6개 학문분야 진입
영국의 세계대학평가 기관인 QS가 8일 발표한 ‘2017 세계대학평가 학문분야별 순위’에 따르면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13위), 생명화학공학과(15위), 건설및환경공학과(15위), 기계항공공학부(15위), 전기및전자공학부(17위), 화학과(18위) 등 6개 학문분야가 세계 20위 이내로 진입했다. 세계 20위내 학문분야는 작년 4개 분야에서 올해 6개 분야(재료과학, 화학공학, 토목•구조공학, 기계•항공공학, 전기•전자 공학, 화학)로 늘어났다. 우리 대학은 신소재공학과(13위), 생명화학공학과(15위), 건설및환경공학과(15위), 기계항공공학부(15위), 전기및전자공학부(17위), 화학과(18위), 전산학부(33위) 등 7개 분야에서 국내 1위를 차지해 다시 한 번 국내 최고의 공과대학임을 입증했다. 이 외에도 물리•천문 분야 44위(국내 2위), 수리과학분야 47위(국내 2위)를 차지했다. QS는 올해 학문분야별 평가에서 46개 전공분야, Top100위(학문분야에 따라 Top 500위)까지의 랭킹을 발표했다. 평가지표는 ① 학계 평가 ② 졸업생 평판 ③ 논문 피인용수 ④ 연구성과지표(H-index) 등의 지표가 활용됐다.
2017.03.09
조회수 10759
2015 QS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화학공학 17위, 재료과학 19위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와 신소재공학과가 ‘QS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에서 20위 이내로 진입했다. 영국의 세계대학평가 기관인 QS가 29일 발표한 ‘2015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에 따르면 생명화학공학과와 신소재공학과가 각각 17위와 19위를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신소재공학과와 화학과가 각각 16위와 17위를 차지한 바 있다. 올해 학과별 순위에서 KAIST는 화학공학(17위), 신소재공학(19위), 건설및환경공학(22위), 전기및전자공학(22위), 기계•항공공학(26위), 전산학(39위) 등 6개 분야에서 국내 1위를 차지해 다시 한 번 국내 최고의 공과대학임을 입증했다. QS는 올해 학문분야별 평가에서 36개 전공분야를 대상으로 순위를 매겼다. ① 학계 평가 ② 졸업생 평판도 ③ 교수당 논문 피 인용수, ④ H-인데스 등의 지표가 활용됐다. 끝.
2015.04.29
조회수 15404
2014 THE 세계 대학 평가 공학기술 26위, 종합 52위--- 종합순위 4단계 상승
KAIST가 ‘2014~2015 THE 세계대학평가’에서 공학기술 분야 26위(국내 1위), 종합순위 52위를 기록했다. 영국의 대학평가기관인 THE(Times Higher Education)는 1일(현지시간) 자사 홈페이지에 이 같은 내용의 ‘2014~2015 세계대학순위’결과를 발표했다. 1위는 캘리포니아공대(미)가 차지했으며 2위 하버드대(미), 3위 옥스퍼드대(영), 4위 스탠퍼드대(미), 5위 케임브리지대(영)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국내대학 중에선 서울대가 50위, KAIST 52위, 포스텍 66위, 성균관대 148위로 4개 대학이 20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THE 세계대학평가는 ▲평판도 조사 ․ 교원 1명당 학생 수 등 교육여건 (30%) ▲평판도 조사 ․ 교수당 연구비 ․ 교수 학술 논문 수 등 연구 분야 (30%) ▲논문 당 피인용 수 (30%) ▲ 국제화 지표 (7.5%) ▲산학협력 실적 (2.5%) 등 총 5개 분야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평가지표 중 ‘연구 분야’,‘논문 당 피인용 수’및‘국제화 지표’가 각각 상승해 순위상승을 이끌었다고 KAIST는 밝혔다.이와 함께 공학기술 분야는 26위로 2년 연속 국내 1위를 지켰다. 한편, KAIST는 ‘2014 QS-조선일보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2위, ‘2014 QS 세계대학평가’에서 5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끝.
2014.10.02
조회수 8972
QS 세계대학평가 공학기술 17위, 종합 51위...역대 최고순위
KAIST가 ‘2014 QS 세계대학평가’에서 공학기술 17위, 종합 51위로 역대 최고순위를 기록했다. 영국의 대학평가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는 16일(현지시간) 자사 홈페이지에 이 같은 내용의 ‘2014 QS 세계대학평가’결과를 발표했다. 1위는 미국 MIT가 차지했으며 공동2위 케임브리지대(영)와 임페리얼 칼리지(영), 4위 하버드대(미), 공동5위 옥스퍼드대(영)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영)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국내대학 중에선 서울대가 31위, KAIST 51위, 포스텍 86위, 연세대 106위, 고려대 116위, 성균관대 140위 등 6개 대학이 20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QS 세계대학평가는 ▲학계평가(40%)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수(20%) ▲교수 1인당 학생수(20%) ▲졸업생 평판도(10%) ▲외국인 학생비율(5%) ▲외국인 교수비율(5%) 등 6개 지표로 평가됐다. 평가지표 중 ‘학계평가’, ‘졸업생 평판도’,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수’등에서 대폭 상승하여 순위 상승을 이끌었다. 이와 함께 공학기술 분야는 세계대학평가가 시작된 2004년부터 굳건히 국내 1위를 지키면서 올해 역대 최고 순위인 17위로 평가됐다. 강성모 총장은 “교수와 학생 등 구성원 모두의 도전과 열정 덕분에 KAIST가 좋은 결과를 냈다”며 “앞으로도 KAIST가 해외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캠퍼스의 국제화 등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KAIST는 ‘2014 QS․조선일보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종합 2위, ‘2014 QS 학문분야별 평가’에서 재료과학 16위(국내 1위), 기계항공 21위(국내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끝.
2014.09.16
조회수 9823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서 2위 도약 --- 한국대학이 거둔 성적 중 가장 높은 순위
우리 대학이 ‘2014 조선일보 ․ QS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지난해 6위에서 4단계 상승한 2위에 올랐다. 영국의 글로벌 대학평가 전문기관 QS(QuacQuarelli Symonds)와 조선일보는 이같은 내용의 ‘2014 조선일보 ․ QS 아시아 대학평가’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이는 2009년 이 평가를 처음 실시한 이후 한국 대학이 거둔 성적 가운데 가장 높은 순위다. KAIST는 평가 첫 해인 2009년 7위를 기록한 뒤, 2012년 7위, 2013년 6위를 차지해 꾸준히 10위권을 유지해 왔으나 올 해 대폭적인 순위 상승이 이뤄졌다. 특히 교원당 논문 수와 논문당 피 인용수의 점수가 대폭 상승해 순위상승을 이끌었다고 KAIST는 밝혔다. 강성모 총장은 “최근 몇 년간 젊은 교수들을 대폭 충원했는데 그 자극이 성과로 이어져 좋은 평가를 받았다”며 “KAIST는 앞으로도 세계 톱 10을 향해 끝임 없이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일보 ‧ QS 아시아 대학평가’는 아시아 고등교육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대학 평가로, 올해 6년째를 맞았으며 17개국 491개 대학을 대상으로 평가했다. 평가요소는 △학계평가 30% △교원당 논문 수 15% △논문당 피 인용수 15% △교원당 학생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국제화 10% 등 6개 분야로 구성됐다. 끝.
2014.05.12
조회수 11681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3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