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위스 경제교육연구부장관, 9일 KAIST 방문
요한 슈나이더 암만(Johann N. Schneider-Ammann) 스위스 경제교육연구부장관과 과학기술 사절단 30여명이 과학기술분야 교류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9일 KAIST를 방문했다.
암만 장관은 2015년 연방대통령(7개 행정부 장관들이 윤번제로 선출)을 역임할 예정인 VIP급 인사다.
사절단은 패트릭 에비셔(Patrick Aebischer) 연방로잔공과대학교 총장, 랄프 아이클러(Ralph Eichler) 연방취리히공과대학교 총장, 쟝 도미니끄 바쌀리(Jean-Dominique Vassalli) 제네바 대학 총장 등 대학관계자와 마틴 베텔리(Martin Vetterli) 스위스 과학재단 SNSF 이사장 등 과학기술계 인사 30명으로 구성됐다.
한국과의 교육연구 협력방안 논의를 위해 방한 중인 암만 장관과 사절단은 짧은 기간 동안 세계적인 연구대학으로 성장한 KAIST 성공비결에 많은 관심을 보여 이번 방문이 이뤄졌다라고 KAIST측은 설명했다.
암만 장관은 KAIST에서 김대식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가 운영 중인 ‘뇌 역공학 및 영상연구실’과 ‘KI 연구소’를 방문해 생명과학과 IT분야의 연구현황을 둘러볼 예정이다.
암만 장관은 이어 KAIST와 연방로잔공과대학교 간 MOU 행사에도 참석할 예정인데, 양 대학은 생명과학 분야, 정보과학기술 분야, 공학 분야에서 연구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다.
한편, KAIST와 스위스 간 교류협력은 1995년 연방로잔공과대학교와‘과학기술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시작됐는데, 그 동안 양 대학은 학생교환과 연구협력을 추진해 왔다. 끝.
2013.07.09
조회수 11224
-
바이오분야 세계 정상급 전문가들, 한 자리에 모인다
- KAIST 이상엽 특훈교수, 앤드류 헤이건 WEF 화학산업 국장 등 -
- 5월 1~2일, 미국 플로리다주 올란도서에서 - - 산업바이오분야 발전전략 마련 위해 -
우리 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가 공동의장을 맡고 있는 ‘세계 산업바이오 자문회의’는 5월 1~2일 이틀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란도에서 미국 생명공학산업협회와 공동으로 ‘세계 산업바이오 워크숍과 연례 자문회의’를 개최한다.
‘세계 산업바이오 자문회의’는 지난 2010년 출범했는데 현재 KAIST 이상엽 특훈교수와 영국 BP사의 수석바이오과학자 존 피어스박사가 초대 공동의장을 맡고 있다. 올해 열리는 회의에서는 앤드류 헤이건 세계경제포럼 화학 산업국장이 회의를 진행한다.
첫째 날인 1일 열리는 워크숍에서는 세계적 화학회사들이 바이오연료와 바이오화학물질의 상용화를 위한 전략을 발표하며 세계 각국의 정부와 기업체 등에 제시할 정책 등에 관해 논의할 예정이다.
2일 연례총회에서는 세계경제포럼에서 올해 선정한 10대 미래기술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는데 그 중에서도 대사공학에 관해 세부적인 의견교환과 함께 산업바이오분야의 발전전략에 대해 토론할 예정이다. 연례총회에 국내에서는 박한오 바이오니아 사장, 승도영 GS칼텍스 연구소장, CJ제일제당 임상조 연구소장 등이 참석한다.
한편 ‘세계 산업바이오 자문회의’는 미국 듀퐁사, 네덜란드 DSM사, 덴마크 노보자임사, 독일 에보닉사, 영국 BP사, 일본 미쯔비시화학, 브라질 브라스켐사 등 세계 굴지의 화학회사와 미국 제노마티카사, 메타볼릭스사, 프랑스 메타볼릭익스플로러사 등의 세계적 벤처회사의 CEO와 임원들이 모여 만든 비영리 산업바이오관련 모임이다.
국내에서는 GS칼텍스, LG화학, 대상, CJ제일제당, 삼성종합기술원, 바이오니아 등이 이 모임의 회원사로 참가하고 있다.
이상엽 교수는 시스템대사공학 분야를 창시해 미생물의 대사회로를 시스템 수준에서 조작해 다양한 원유 유래 화학물질을 바이오기반으로 친 환경적으로 만드는 연구에서 세계적인 업적을 내고 있다. 현재 교육과학기술부 글로벌 프론티어 바이오매스 사업단과 지능형합성생물학사업단에서 관련 연구를 수행 중이다. 세계경제포럼, 국제 학회, 포럼 등에서 우리나라 녹색성장 관련 기술과 추진 전략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2012.04.30
조회수 15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