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A%B9%80%EC%84%B8%EA%B6%8C
최신순
조회순
김세권·박지호·문수복 교수,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유공 장관표창 수상
우리 대학 물리학과 김세권 교수,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지호 교수, 전산학부 문수복 교수가 지난 달 22일 국립과천과학관에서 개최된 '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유공 장관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기념식은 21일 제57회 과학의 날과 22일 제69회 정보통신의 날을 맞아 과학기술·정보통신 진흥 및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유공자를 포상하고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김세권 물리학과 교수는 스핀 기반 초고속 초저전력 정보 처리 기술 발전을 세계적으로 선도하여, 차세대 정보 처리 분야에서 한국의 세계적인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표창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해당 연구 성과를 통해 달성된 양자 스핀 기술은 한국이 차세대 비메모리 분야 선도 기술을 확보하고, 기존 메모리 분야에 치우친 국내 산업 환경을 다변화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 교수는 국제 자성 분야 최고 권위 학회인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gnetism (ICM), Intermag, Magnetism and Magnetic Materials (MMM) 등에서 초청 강연을 지속적으로 해오며 국제학술 리더쉽을 발휘하고 있다. 박지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나노의학 및 약물/유전자 전달 분야 전문가로서, 최근에 폐질환 치료를 위해서 폐로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폐계면활성제입자 기반 흡입 약물전달 기술을 개발하여 과학기술분야 우수한 연구성과 창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표창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현재 박 교수는 개발한 흡입 약물전달 기술을 실제 폐질환 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관련 분야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에서 초청 강연을 통하여 개발하고 있는 혁신적인 약물전달 기술을 널리 전파하고 실제 활용 방법을 의사 및 제품개발자들과 논의하고 있다. 문수복 전산학부 교수는 특히 연구자의 불합리한 평가 시스템 개선, 연구 윤리 제고, 연구자의 경제적 처우 개선 등에 앞장서 왔다. 또한, 학문적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주도하고, 연구자들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데 기여했다. 문 교수의 노력 덕분에 한국의 연구 환경은 크게 개선되었으며, 연구자들의 권익과 학문적 자율성이 크게 증진되었다. 문 교수는 한국 연구 사회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2024.05.03
조회수 1502
준강자성체를 이용한 차세대 반도체 기술의 발전방향 제시
우리 대학 물리학과 이경진 교수, 김세권 교수 연구팀이 스핀 기반 차세대 반도체 기술(스핀트로닉스)의 최신 연구 동향 및 미래 발전 전략을 정리한 `*준강자성체 기반 스핀트로닉스' 리뷰 논문을 물리 및 재료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머터리얼스 (Nature Materials)' 2022년 1월호에 표지논문으로 게재했다고 6일 밝혔다. ※ 준강자성체: 반강자성체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자성 이온이 반대 방향으로 정렬되지만, 서로 자성의 크기가 달라서 물질 전체적으로는 자발적인 자성이 남아있는 물체 스핀트로닉스는 성장 한계에 다다른 기존 반도체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전자의 양자적 성질인 스핀을 이용해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 분야다. 이는 기존 정보처리 기술을 혁신적으로 발전시켜 초고속 초고집적 차세대 반도체 기술을 구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스핀트로닉스 장치의 핵심 구성 요소는 자성체이기 때문에, 스핀 기반의 초고속 초고집적 정보처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자성 물질을 규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지난 수십 년간 스핀트로닉스에서 주로 사용돼왔던 강자성체는 스핀 동역학 속도가 기존 정보 처리 기술의 수준과 유사한 기가헤르츠(GHz) 수준에 머물러 정보 처리 속도 향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강자성체가 생성하는 강력한 주위 자기장으로 인해 강자성체 기반 장치들이 서로 강하게 간섭해, 스핀 장치의 집적률을 증가시키는 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물리학과 이경진 교수와 김세권 교수는 지난 수년간의 연구를 통해 새로운 자성체인 준강자성체를 이용하면 강자성체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해 초고속 초고집적 스핀 기반 정보 처리 장치를 개발할 수 있음을 밝혀왔고, 이를 기반으로 이번 리뷰 논문을 게재했다. 과거 2017년 연구팀은 준강자성체의 스핀 동역학 속도가 기존 정보 처리 기술보다 약 천배 빠른 테라헤르츠(THz) 수준이라는 점을 주목하고, 이를 이용해 스핀 메모리로 활용되는 자구벽을 강자성체보다 월등히 빠른 속도로 구동할 수 있음을 보여 네이처 머터리얼스에 논문을 게재했다. 또한, 2018년 이경진 교수는 반강자성체를 이용하면 스핀 양자 정보의 장거리 전송이 가능함을 밝혀 네이처 머터리얼스에 보고했다. 수년간에 걸친 꾸준한 연구성과로 인해 준강자성체 기반의 초고속 초고집적 스핀트로닉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돼, 현재 세계적으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최신 연구 동향 정리와 더불어, 연구팀은 준강자성체 기반 스핀트로닉스의 미래 발전 방향도 제시했다. 준강자성체 기반의 초고속 자기광학 장치 개발, 준강자성체가 갖는 독특한 스핀파 성질을 이용한 파동/양자 정보처리 장치 개발, 그리고 준강자성체를 이용한 뇌 모사 컴퓨팅 개발 등이 기대된다. 또한, 새로 개발된 준강자성체는 기존의 자성체와 근본적으로 다른 흥미로운 물리현상을 보일 것으로 기대돼 준강자성체 기반의 근본 자성 연구에 대한 발전 방향도 제시했다. 이경진 교수는 "이번 리뷰논문은 그동안 강자성체에만 집중돼왔던 스핀트로닉스 연구를 준강자성체로 확장시키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ˮ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이번 연구는 이경진 교수, 김세권 교수, 그리고 미국 MIT Geoffrey Beach 교수, 일본 교토대학 Teruo Ono 교수, 네덜란드 Radboud 대학 Theo Rasing, 싱가포르국립대 양현수 교수의 공동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과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2022.01.06
조회수 6517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