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A%B8%B0%EC%88%A0%EA%B2%BD%EC%98%81
최신순
조회순
바이오혁신경영전문대학원, 전주시-전북대와 2022 세계 바이오 혁신 포럼 (WBIF) 개최
우리 대학 바이오혁신경영전문대학원이 6월 8일부터 10일까지 전주시, 전북대학교 지역혁신센터와 공동 주최하는‘2022 세계 바이오 혁신 포럼(World Bio Innovation Forum, 이하 WBIF)를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디지털 치료제, 반려동물 혁신 의약품, 비대면 진료 등 최근 주목받는 바이오 신시장의 국내·외 최신 동향과 정보를 교류하고자 추진됐다. 6월 8일부터 3일간 대표 주제별 2개의 세션을 운영하고 각 분야 전문가의 발표와 패널 토론을 진행한다. 포럼 1일차에는 디지털 치료제 대표 기업인 Limbix와 DTA, Welt, Life Semantics, Naver, 식약처가 운영사례와 치료 효과 등을 이야기한다. 디지털 치료제란 게임,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인공지능(AI) 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해 치매와 불면증, 우울증, ADHD 등의 질병을 예방, 치료, 관리하는 기술이다. 포럼 2일차에는 이광형 총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LABOKLIN과 Torigen, Vaxcell Bio, 대웅제약 등이 참여해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주제로 최신 개발 또는 개발 예정인 의약품 사례를 공유한다. 최근 반려동물 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도 치료법이 부족한 점에 중점을 두고 반려동물의 암, 관절염, 피부병 등에 대해 연구원, 전문가, 기업이 다양한 의견을 모을 예정이다. 포럼 3일차에는 Atrium Health와 VSee, 이지케어텍 등이 참여해 코로나19 이후 더욱 각광 받는 비대면 진료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비대면 진료를 통해 사회적 취약계층의 의료 서비스를 개선하는 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현장감 있는 토론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포럼을 주관한 채수찬 WBIF 대표 겸 우리 대학 기술경영학부 교수는 “2022 WBIF를 준비하며 전 세계의 바이오 네트워크를 활용해 최고의 전문가들을 섭외하고자 노력했다. 최신 정보와 전문적인 현장 경험을 전하며 그간 개최된 바이오 헬스 포럼들과의 차별화를 둘 것”이라고 밝혔다. 이광형 총장은 “WBIF가 세계를 선도하는 바이오 포럼이 되길 진심으로 기원한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자유롭게 논의하는 장이 되어 국내·외 바이오, 헬스 산업의 발전과 국민 건강 향상으로 이어지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2022 WBIF는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비대면(Zoom)으로 진행되며 WBIIF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될 예정이다. 관련 문의는 홈페이지(www.wbif.or.kr)와 이메일(wbif2021@gmail.com)을 통해 가능하다.
2022.06.03
조회수 3107
김원준 교수, 31대 기술경영경제학회장 선출
우리 대학 기술경영학부 김원준 교수가 제31대 기술경영경제학회장으로 지난 3월 취임했다.기술경영경제학회는 기술경영경제, 과학기술정책 분야를 이끌어가는 학술단체로 1992년에 창립되었다. 현재까지 2,500여 명의 정회원 및 학생 회원이 소속되어 있으며,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 제고에 큰 기여를 해왔다. 특히, 경영⋅경제⋅정책의 학문적 기반을 바탕으로 정부와 산업의 과학기술혁신 정책과 전략을 연구하고 제시하는 국내 최초의 융합학회로서, 한국 산업의 도약과 과학기술 기반 경제 성장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김 교수는 "학회 설립 30주년을 맞아 한국의 기술경영·과학기술정책에 기반한 성장과 지난 30년의 기여를 정리하고, 새로운 30년에 대한 비전과 전략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특히, 글로벌 위기와 경쟁의 새로운 패러다임 하에서 과학기술역량과 산업혁신을 도약시킬 기술경영과 과학기술의 정책적인 방향을 제시해 한국이 지정학적 한계를 극복하고, 기정학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라고 취임 소감을 밝혔다. 김원준 신임 회장은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부회장 및 미래세대위원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다. 과학기술정책 및 기술경영분야 국제학회인 Asia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Association 회장을 역임하며 이 분야 발전을 위한 국제적인 활동을 하고 있으며, KAIST 혁신전략정책연구소장으로 국내외 과학기술혁신 전략 및 정책 분야 학문적, 사회적 기여를 확대하고 있다.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 바이오혁신경영전문대학원장으로 인력양성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KAIST 국제개발협력센터장으로 KAIST 모델의 국제적 확산에 힘쓰고 있다.
2022.04.05
조회수 2713
노수홍 교수,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수상
우리 대학 기술경영학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노수홍 교수가 2021년 11월 11일 서울드래곤시티 백두홀에서 개최된 `2021 세계 기업가정신 주간 한국행사(GEW KOREA 2021)`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KOEF)과 글로벌기업가정신네트워크(GEN, Global Entrepreneurship network)가 주관하고 중소벤처기업부가 후원하는 이 행사는 금년도 기업가정신 추진 활동과 성과를 종합하고 한국 기업가정신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노수홍 교수는 기업가정신 생태계 구축과 문화 조성에 이바지한 공로가 큰 개인에게 수여하는 ‘2021 기업가정신 확산 및 진흥 유공’ 부문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또한, 「제8회 기업가정신 교육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도 비대면·온라인 기업가정신 교육 콘텐츠 및 운영사례 부문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수상 교육 콘텐츠는 '과학기술인을 위한 과학적 방식과 공학적 접근 기반의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과학기술인의 창업 도전과 과정에 있어 기업가정신에 대한 이해와 판단력을 높이고자 구성됐다. 구체적인 내용은 과학·공학 전공 석·박사 과정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반증주의(Falsification)에 기반한 과학적 방식과, 린(Lean)·애자일(Agile) 등 공학적 접근 원리에 기반한 기업가정신 교과목을 설계하고 운영한 것이다. 노수홍 교수는 “전 세계 180개국에서 함께 기념하는 GEW KOREA 2021에서 수상하게 되어 매우 뜻깊다.” 라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기업가정신의 정의를 완성하는 두 가지 조건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자원의 제약(Resource constraint)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해소하는 창업가적 지략(Resourcefulness)과 과학기술인의 겸손(Unassumingness)이 우리 대학 창업 생태계 도약과 융성의 바탕이 될 수 있길 기원한다” 라고 말했다.
2021.11.15
조회수 4135
기술경영학부 사회과학 AI 및 빅데이터 연구단(AI-SSRG), 제1회 KAIST AI 사회과학 연구 부트캠프 개최
우리 대학 기술경영학부 사회과학 AI 및 빅데이터 연구단(AI-SSRG, AI & Big Data Social Science Research Group, 책임교수 김원준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이 올해 11월 5일부터 12월 3일까지 `제1회 KAIST AI 사회과학 연구 부트캠프(KAIST AI Social Science Research Boot Camp)'를 진행 예정이다. 사회과학 AI 및 빅데이터 연구단(AI-SSRG)은 경영·경제 AI/빅데이터 분야의 전 세계 연구자 및 석·박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경영정보시스템(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마케팅(Marketing), 회계 및 금융(Accounting & Finance), 혁신 및 전략(Innovation & Strategy), 경제(Economics) 등을 주제로 제1회 KAIST AI-SSRG 부트캠프를 진행한다. 이번 제1회 KAIST AI-SSRG 부트캠프에는 Bristol 대학교의 한석진(Sukjin Han) 교수, KAIST의 김형철(Kevin Kim), 김지희(Jihee Kim) 교수, Boston 대학교의 이도균(Dokyun Lee) 교수, Yale 대학교의 이선경(Sun Kyoung Lee) 박사, 뉴욕대학교(NYU)의 샤오 류(Xiao Liu) 교수, Northwestern 대학교의 윤혜진(Hyejin Youn) 교수 등 사회과학 AI/빅데이터(Social Science on AI/Big Data) 연구 분야를 이끄는 국제 석학 및 연구자들이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Bristol 대학교의 한석진 교수는 경제학 방법론과 인공지능 기법을 융합적으로 연구하여 새로운 분야를 열고 있는 경제학자이고, 이번 부트캠프 1회차에서 AI 기술을 적용한 특허 및 혁신 분야 연구 주제 및 방법론을 강의할 예정이다. 뉴욕대학교 샤오 류 교수는 하이테크 마케팅, 금융서비스 혁신 분야 마케팅 연구를 선도하는 학자로, 부트캠프 2회차에서 “Dynamic Coupon Targeting Using Batch Deep Reinforcement Learning: An Application to Livestream Shopping” 제목으로 마케팅 분야 AI 연구를 강의할 예정이다. KAIST의 김형철 교수는 자본시장 관련 선도적인 연구를 이끌어가는 회계분야 연구자로, 이번 부트캠프 3회차에서 정보 수집과 정보 통합 간의 상호 작용에 관한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Northwestern 대학교 윤혜진 교수는 복잡계 물리학 기반 경영 및 경제의 연구를 융복합적으로 연구하는 선도적 연구자로, 부트캠프 4회차에서 혁신 및 전략 세션에서 빅데이터를 이용한 사회과학 연구를 주요 주제로 다룰 예정이다. 부트캠프 마지막 회차인 경제학 세션에서는 Bristol 대학교 한석진 교수, Yale 대학교 이선경 박사, KAIST의 김지의 교수가 각각 도시의 성장 요인, 글자 모양 및 제품 차별화, 인공위성 이미지와 경제활동 등 다양한 주제로 강의할 예정이다. 기술경영학부 김원준 교수(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는 "KAIST가 전세계 석학과 석·박사과정 학생들 간 연구 교류를 통하여 AI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의 중요한 국제적 허브로 발전해 나가고자 하며, 제1회 KAIST AI 사회과학 연구 부트캠프는 그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ˮ라고 밝혔다. 이어, 김 교수는 "사회과학 AI 및 빅데이터 연구 분야의 세계 저명 연구자들 간의 연구 교류를 통하여, 급변하고 있는 세계적 혁신의 패러다임에 대응하여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겠다ˮ고 강조했다. 이번 부트캠프는 11월 5일부터 한국시간 매주 금요일 오전 9시에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전 세계로부터 신청을 받아서 선발된 인원을 중심으로 진행이 될 예정이다.
2021.11.05
조회수 3170
김원준, 박범순, 변재형 교수, 2021년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선출
우리나라 과학기술계 최고 석학기관인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지난 26일 열린 '2020년도 제1회 정기총회'에서 2021년도 신임 정회원 30명을 선출했다. 이에 우리 대학 기술경영학부 김원준 교수,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박범순 교수가 정책학부에, 수리과학과 변재형 교수가 이학부에 선출됐다. 이번에 정회원이 된 이들은 우리 대학 3인의 교수를 포함하여 ▲정책학부 고상백 연세대 교수 등 4명 ▲이학부 김인강 고등과학원 교수 등 8명 ▲공학부 조완근 경북대 교수 등 10명 ▲농수산학부 이승환 서울대 교수 등 3명 ▲의약학부 김완욱 가톨릭대 교수 등 5명으로 각 분야 최고의 과학기술 연구자들이 선정됐다. 한림원 정회원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20년 이상 활동하며 선도적 연구 성과를 내고 해당 분야의 발전에 공헌한 과학기술인들을 3단계에 걸친 엄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한다. 책임저자(corresponding author, 교신저자)로서 발표한 대표논문 10편에 대해 연구업적의 뛰어남과 독창성, 학문적 영향력과 기여도 등을 중점 평가한다. 선출된 신임 정회원의 임기는 2021년 1월부터이다. 한민구 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은 "한림원 정회원은 우리나라 과학연구의 탁월성을 보여주는 역할모델이므로 각 학문의 특성을 반영해 학문과 산업 발전에 대한 공헌도, 인재양성 기여도 등을 정성적으로 종합평가해 엄정하게 선출하고 있다"며 "각 분야 탁월한 전문가들을 새롭게 영입한 만큼 회원들의 적극적 참여를 바탕으로 한림원이 과학기술 발전에 더욱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0.11.30
조회수 29957
김원준 교수,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부회장 선임
우리 대학 기술경영학부 김원준 교수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신임 부회장으로 선임됐다. 1966년 설립된 과총은 600개가 넘는 과학기술 전문 학술단체, 12개 각시도지역과총협의회(지역과총), 해외 16개국 한인과학기술자로 구성된 세계한민족과학기술자공동협의회(한민족과협), 남북민간과학기술교류추진협의회(남북과협), 과학기술나눔공동체 등을 이끌고 있는 한국 과학기술의 총본산이다. 김원준 교수는 올해 5월부터 임기 3년의 부회장을 맡아, 회장단의 활동에 참여한다. 서울대 공대 학장 및 부총장을 역임한 이우일 전 서울대 교수가 회장으로, 국양 대구경북과기원장, 이용훈 울산과학기술대학 총장, 이미혜 화학연구원장, 황성우 삼성전자종합기술원장 등이 부회장으로 취임했다. 김원준 교수는 특히 ‘미래세대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우리 사회 과학기술혁신분야의 미래를 보다 발전적으로 변화시켜 나갈 여성과 젊은 리더그룹을 구성하여 과학기술혁신 분야의 새로운 변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김원준 교수는 지난 2017년 부터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의 과학기술혁신정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았으며, 2013년부터 중국, 일본, 싱가폴 등 아시아 주요 국가의 선도대학들과 설립한 ‘아시아 혁신 및 기업가정신 학회(AIEA)’ 및 미국 전미경제연구소(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와의 공동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2020.05.28
조회수 14516
내생적 혁신, 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우리 대학 기술경영전문대학원(원장 이덕희)에서 발간한 도서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발표한 ‘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사회과학분야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됐다. 지난해 12월 발간한 <내생적 혁신: 혁신은 우리 곁에 있는가>는 각각의 전문 분야에서 찾아낸 내생적 혁신의 길을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덕희 교수 등 총 9인의 전·현직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진이 필진으로 참여한 이 책은 우리 사회 내부에서 시작되는 혁신을 통해 산업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절실한 인식에서 출발했다. 기업 등의 현장을 중심으로 실무자의 관점에서 본 혁신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 내생적 혁신체제로의 전환, △ 한국 산업구조 진단과 아키텍처 관점의 혁신 전략, △ 생활 속의 서비스 혁신, △ 가치를 창출하는 위대한 창업 사회, △ 지적재산권 전략과 기업 경쟁력, △ 디지털 시대의 기업 생존 전략, △스타트업의 탄생과 성장, 그리고 액셀러레이터, △ 4차 산업혁명 시대, 한국의 기회와 전략, △동아시아 혁신체제와 한국적 모델 등을 소주제로 다루고 있다. 대한민국학술원은 기초 학문 분야 연구 및 저술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매년 4개 분야에 걸쳐 우수학술도서를 선정하고 있다. 작년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국내 374개 출판사가 발행한 3459권의 학술도서를 대상으로 심사를 진행했으며 그 결과 인문학 65종, 사회과학 95종, 한국학 40종, 자연과학 86종이 선정됐다.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은 교육 내용 및 현장 실무를 바탕으로 첨단 지식 확산을 위한 지식 공유 및 사회공헌에 이바지하고자 꾸준히 노력해 오고 있다. 그 일환으로 2017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스마트 테크놀로지의 미래> 발간을 시작으로 <스타트업 교과서>, <스타트업 인사이드>, <내생적 혁신>까지 각종‘학술부문 우수도서’로 꾸준히 선정되고 있다. 또한, 오는 8월에는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졸업생을 중심으로 구성한 기술경영연구회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발간한다. 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반도체·조선·전력·통신 등 전통적인 주력 산업과 새롭게 부상하는 블록체인·스마트 홈 분야 산업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제시하고 중소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례와 함께 이에 적합한 R&D 정책의 방향에 대해서 다룰 예정이다.
2019.07.23
조회수 5610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저술 도서 2018 세종도서 선정
우리 대학 기술경영전문대학원에서 발간한 도서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지난해 12월에 발표한 ‘2018년 세종도서 학술 부문’에 선정됐다. 지난해 2월 출판된『카이스트가 바라본 스타트업 Ⅰ- 스타트업 교과서』(이하 ‘스타트업 교과서’), 『카이스트가 바라본 스타트업 Ⅱ- 스타트업 인사이드』(이하 ‘스타트업 인사이드’)등 총 2종이다. ‘스타트업 교과서’는 스타트업 창업에 관해 대학원에서 다루는 이론적 지식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썼고 ‘스타트업 인사이드’는 실제 창업 사례로부터 도출한 스타트업 성공 트렌드를 다루고 있다. 변리사, 정부출연연구소, 대기업, 기술지주회사 등 다양한 직종에서 스타트업 관련 실무 경력을 보유한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졸업생 및 재학생 11명과 이덕희 대학원장이 필진으로 참여했다. 세종도서(구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 의뢰해 1996년부터 매년 학술과 교양 부문 우수도서를 선정해 보급하는 사업이다. 학술부문 세종도서는 우수 학술 분야 출판 활동 고취 및 국가 지식 사회 기반 조성에 부합하는 도서가 심사 대상이 되며 선정된 도서는 공공도서관 등에 보급된다. 도서 선정은 3단계 합의제로 온라인 사전검토 후 총 세 차례 심사 회의를 거쳐 진행된다. 관련 학자, 출판평론 등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심사 결과와 공공도서관 등 수요자 추천도서를 각각 7대 3의 비율로 합해 결정한다. 2018년에는 총 10개 분야(총류, 철학·윤리학·심리학, 종교, 사회과학, 순수과학, 기술과학, 예술, 언어, 문학, 역사·지리·관광)에서 출품된 4천 793권의 후보 중 최종 320권이 선정돼 약 15: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은 저술 활동을 통해 KAIST 교육 및 현장 실무를 바탕으로 한 첨단 지식을 대중에게 확산하고 사회에 기여하고자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출판한『스마트 테크놀로지의 미래』가 발간돼 2017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것을 시작으로 2018년 『스타트업 교과서』,『스타트업 인사이드』까지 각종‘학술 부분 우수도서’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또한, 2018년 12월에는 KAIST 소속 교수들을 중심으로 『내생적 혁신:혁신은 우리 곁에 있는가』를 발간했다. 우리 내부로부터의 혁신을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가 절실하다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한 이 책은 기업 등의 실무 현장을 중심으로 한 플레이어 관점에서 본 혁신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해 독자들에게 다가가고 있다.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이덕희 원장은 “재학생 및 졸업생, 교수진 등으로 꾸준히 필진을 구성하고 도서를 집필해 지식 공유를 통한 사회 공헌에 힘쓸 예정”이라고 말했다.
2019.01.08
조회수 4723
김원준 교수, 이혁성 박사, Brad W. Hosler 최우수 논문상 및 최우수 논문 지도상 수상
〈 이혁성 박사 〉 우리대학 기술경영학부 김원준 교수 연구팀 이혁성 박사(2017년 졸업)가 8월 19일부터 23일 까지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국제기술경영학회(PICMET Conference, the Portland International Center for Management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Conference)에서 Brad W. Hosler Outstanding Student Paper Award를 상금과 함께 수상하고, 김원준 교수는 이에 대한 최우수 논문 지도상을 수상했다. 국제기술경영학회 (PICMET Conference)는 기술경영분야 세계 최대 규모 학술대회 중 하나로 올 해는 약 300여명 이상이 참석했다. 올해에는 특히 여러 round의 치열한 평가를 거쳐 1 편의 Best Student Paper가 선정되었다. Brad W. Hosler Outstanding Student Paper Award는 플러그 앤드 플레이 바이오스(Plug&Play BIOS)와 USB(Universal Serial Bus) 개발을 주도한 인텔의 핵심 엔지니어인 Brad W. Hosler를 기리기 위해 제정됐다. 국제기술경영학회는 매년 1편의 논문을 선정해 상금과 함께 이 상을 수여하고, 공저자이자 지도교수에게도 최우수 논문 지도상을 수여한다. 수상논문의 제목은 ‘기술융합 제품시장에서 기업의 혁신전략(Firm’s Product Innovation Strategy and Product Sales in Convergent Product Markets)’으로 이혁성 박사는 이 논문을 통해 기술융합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하이테크 시장에서 기업의 제품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업의 혁신 전략혁신 전략의 새로운 방향, 즉 타산 업과 타 시장의 이종기술이 융합되는 융합제품 시장에서는 기업이 지니고 있지 않은 이종의 다양한 기술개발을 시도하고, 경험하는 것이 융합제품 시장에서 중요한 성공요인임을 제시했다. 〈 김원준 교수, 최우수 논문 지도상 수상 〉 이혁성 박사는 “이번 기술경영분야 최대 학술대회에서 최우수 학생 논문상을 수상하게 돼 큰 영광”이라며 “김원준 교수님의 훌륭한 지도와 연구를 도와준 동료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김원준 교수도 “기술혁신이 가져오는 우리 사회의 변화를 항상 앞서 연구한 성과로 의미가 크다”고 말하고 “앞으로도 앞서가는 연구로 사회에 기여하고 싶다고”덧붙였다.
2018.08.29
조회수 7462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출간 도서, 우수학술도서 선정
우리 대학 기술경영전문대학원에서 출간한 ‘스마트 테크놀로지의 미래’가 2017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됐다. 스마트 테크놀로지의 미래는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권영선 원장을 필두로 재학생 및 졸업생 18명이 모여 연구회를 통해 1여 년 간 집필한 서적이다. 이 책은 자연과학분야 우수학술도서 73권중 한권에 포함돼 400여 개 대학도서관에 보급될 예정이다. 스마트 테크놀로지의 미래는 학생들이 재학기간 배운 기술 기반 혁신에 대한 지식과 직장생활을 통해 쌓은 실무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정보통신 기술 기반 혁신의 원천과 대표적 사례 및 양상, 분야별 이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와 정책제언을 담은 책이다. 대한민국학술원은 기초학문분야의 연구 및 저술활동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매년 인문학, 사회과학, 한국학, 자연과학 등 4개 분야에서 우수 학술도서를 선정해 전국의 대학 및 연구소 등 주요기관에 보급하고 있다. 올해는 인문학 분야 79종, 사회과학분야 95종, 한국학 40종, 자연과학 73종 등 총 287종이 선정됐다. 권영선 원장은 “제4차 산업혁명의 시작인 현재 시점에서 각 산업 분야에서 진행되는 혁명적 변화를 목격하고 몸으로 느끼고 불확실성 속에서 참여해 만들어 가고 있는 우리 인재들이 저술한 책이다”고 말했다. 또한 “다양한 구조적 변화현상을 소개하면서도 그 원천을 잘 설명하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 높은 불확실성을 안고 살아가는 독자들에게 이 책은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지혜의 창문 역할을 할 것이다” 고 말했다.
2017.06.08
조회수 8130
글로벌 IT 기술대학원 프로그램(ITTP), 'IT 지한파' 52개국 119명 양성
“한국의 전자 조달 구매시스템인 ‘나라장터’가 도입돼 코스타리카의 국가 투명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지난해 9월 KAIST의‘글로벌 IT 기술대학원 프로그램(ITTP)’석사과정에 입학한 일레아나 팔라코(30 ․ Ileana Palaco, 코스타리카 디지털정부 기술사무국 공무원)씨는 “한국의 전자정부 솔루션은 중남미 전자정부 시스템 구축의 롤 모델”이라며“한국의 IT 기술과 정책을 중남미 국가들에 적극 소개하겠다.”라고 말했다. ITTP 과정은 신흥국 IT 공무원 ․ 기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석․박사 학위과정으로, 전 세계 주요국가와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국내 IT관련 기업의 해외수출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지난 20여 년간 IT산업은 대한민국 성장의 핵심 동력이었으나 국제사회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해당국가의 정보를 제공해 줄 인적 네트워크 구축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꾸준히 제기됐다. KAIST는 성장 잠재력이 큰 신흥국 IT 시장을 주목하고 그 나라 엘리트 공무원을 초청해 한국의 IT기술과 정책을 소개하는 ITTP 과정을 마련했다. KAIST 기술경영학과가 2006년부터 운영 중인 ITTP 과정(책임교수 노재정)은 현재까지 52개국 119명의 ‘지한파’졸업생을 배출했다. ITTP 교육과정은 신흥국 IT 공무원을‘우리편’으로 만들어 국내 IT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데 중점을 뒀다. 신입생 선발부터 국내 산업체가 희망하는 국가와 우리나라가 협력해야 할 중점 국가군을 최우선 고려한다. 지난 10년 동안 아프리카 지역 57명, 동남아 지역 45명, 중남미 지역 16명, 동유럽 지역 16명, 중동 지역 7명 등 총 141명이 입학했다. 수업은 IT 기술과 정책 등을 소개하는 이론수업과 산학협력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으로 구성됐다. 특히 프로젝트 수업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한국정보화진흥원 ․ KT 등 국내 IT 전문기관 근무자들이 ▲ 학생과의 워크숍 ▲ 전문가 초청 세미나 ▲ 교육생 출신국가 대사관 세미나 등에 강사로 참여해 현장의 경험을 전수하고 있다. ITTP 교육과정에 대한 해외정부와 국제기구의 반응은 뜨거웠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ITTP 교육과정의 수월성을 인정해 학생 선발정보를 190여 회원국에 알리는 공식문서를 발송해 도움을 주고 있다. 또 아프리카 개발은행(AFDB)은 2010년 ITTP 교육 프로그램을‘차세대 아프리카 리더 프로그램’으로 선정하고 아프리카 지역 IT 공무원 19명을 파견했으며 2013년부터 위탁교육생을 추가로 파견하고 있다. 졸업생들도 국내 전자정부 솔루션을 수출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2012년 한 해 동안 한국이 수출한 전자정부 솔루션은 25건[행안부 2012년 12월 발표] 인데, 그 중 6건에 ITTP 학생들이 연구원으로 참여해 한국의 IT 기술과 정책의 대변인 역할을 하고 있다. ITTP 과정을 졸업한 신흥국 엘리트 공무원들이‘IT 지한파'로 성장해 대한민국의 전자정부 솔루션 수출을 견인하는 등 국내 IT 기업이 해외로 진출하는데 첨병 역할을 하고 있다고 KAIST는 밝혔다. 최근에는 신흥국 정부 관계자들이 IT 기술과 정책에 대한 장 ․ 단기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달라는 요청에 따라 KAIST는 프로그램을 확대해 운영할 계획이다. ITTP 과정을 총괄하는 노재정 기술경영학과 교수는 “세계 각국의 IT 공무원을‘우리편’으로 만드는 일은 국제사회에서 IT코리아의 위상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라며 “지한파 IT 공무원들은 대한민국 IT산업의 지속적인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ITTP 과정 재학생 일동은 2일 오전 10시 문지캠퍼스에서 강성모 총장, 주한 나이지리아 대사 등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KAIST 발전기금 전달식 및 기념식수’행사를 갖는다.
2015.04.03
조회수 10149
KAIST 이귀로 교수, IEEE 석학회원 선정
우리 학교 전기및전자공학과 이귀로 교수가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석학회원으로 선정됐다. 이 교수는 반도체 기술 경영 및 기가코리아 범부처 R&D 연구사업 기획 등 연구개발 리더십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교수는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6년 KAIST에 부임해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5년에는 LG 전자기술원 원장, 2010년에는 KAIST부설 나노종합기술원원장을 역임했다. IEEE는 전기·전자·컴퓨터·통신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 학회로 160여개국 40여만명을 회원으로 두고 있다. 석학회원은 10년 이상 활동한 회원 중 연구개발로 사회발전에 탁월한 기여를 한 상위 0.1% 연구자에게만 부여된다.
2013.12.23
조회수 10446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