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A%B3%B5%ED%95%99%EA%B5%90%EC%9C%A1
최신순
조회순
과학기술 분야 온라인 공개강좌 STAR-MOOC 오픈
우리 대학을 포함한 4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포항공대, UST가 모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할 교육혁신 프로그램 구축에 힘을 합쳤다. KAIST, GIST(광주과학기술원),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UNIST(울산과학기술원), 포항공대, UST(과학기술연합대학원)는 8일 KAIST 대전 본원에서 과학기술 분야 온라인 무료 공개강좌인 ‘스타 무크(STAR-MOOC)’ 개통식 및 협약식을 진행했다. 2월 26일부터 대국민 교육 서비스를 시작한 ‘STAR(Science&Technology Advanced Research)-MOOC’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및 국가연구소대학원 교수들의 명 강의를 무료 수강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개강좌 공동 플랫폼이다. 작년 7월 STAR-MOOC 실무협의회 설치 후 개발한 과학기술 분야의 기초, 전공, 교양 등 총 15개 코스를 제공한다. 수강생들은 KAIST의 ‘암호이야기’, DGIST와 UNIST가 공동 개발한 ‘파이썬을 이용한 기초프로그래밍’, GIST의 ‘기후변화와 미래기술’, UST의 ‘자연모사기술’ 등 다양한 강좌를 수강할 수 있다. 개통 행사에는 신성철 총장을 포함한 DGIST 손상혁 총장, UST 문길주 총장, 포스텍 정완균 부총장, UNIST 이재성 부총장, GIST 박필환 대외부총장과 부처 및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무크 강좌 개발, 운영 등 공동 대국민 교육 서비스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또한 네이버가 설립한 비영리 교육 재단인 커넥트재단의 STAR-MOOC 플랫폼 기술 협약, 대표 강좌 소개, 플랫폼 소개 등의 시간도 가졌다. 참가 대학들은 STAR-MOOC를 통한 과학기술 지식 서비스를 확대해 4차 산업혁명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국민 역량 강화에 힘쓸 예정이다. 신성철 총장은 “STAR-MOOC는 국내 과학기술분야의 강좌와 이공계 학생들에게 필요한 기초, 전공, 교양 강좌 등을 한 곳에서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며 “공학교육을 선도해 나가는 대표 교육 플랫폼으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현재 STAR-MOOC는 수강신청을 진행 중이며 12일부터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관련 홈페이지(http://starmooc.kr)에서 회원가입 후 원하는 강의를 선택해 신청하면 된다.
2018.03.09
조회수 19423
이인 교수,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과학기술원장에 임명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 과학기술원장에 이인(67) 항공우주공학과 명예교수가 임명됐다. 아디스아바바 과학기술원(AAiT, Addis Ababa Institute of Technology)은 에티오피아 명문 국립대학인 아디스아바바대학교(Addis Ababa University)의 부설기관으로 공학교육과 연구를 담당하는 특수대학이다. 현재 5500여 명의 학부생과 4500여 명의 석‧박사 학생 등 총 1만여 명이 재학 중이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지난해 국가의 미래가 과학기술의 발전에 있음을 인식하고 AAiT를 KAIST와 같은 연구대학으로 키우기를 희망한다며 강성모 총장에게 원장 추천을 요청해 왔으며, 강 총장의 추천으로 이번 인사가 이루어졌다. 이 교수는 서울대학교 항공공학과를 졸업하고 美 스탠포드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국항공우주학회장,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장, 美 항공우주학회이사 등을 역임했다. 임기는 2016년 8월 1일부터 2018년 7월 31일까지 2년이며 최대 5년까지 연임가능하다. 끝.
2016.06.08
조회수 10131
강성모 총장,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 개최
① 실사구시형 공학교육 강화 … KAIST 교육 • 연구혁신 위원회 본격 가동 ② 공학도의 기업가정신 Boom up - Startup KAIST Movement와 SNU-KAIST 공학도를 위한 경영학 프로그램’운영 ③ 창업 영토의 글로벌화 … End Run 사업 본격화④ KAIST 명품강의 인터넷 무료 공개 … 대 국민 지식기부 플랫폼 'KOOC' 구축 강성모 총장은 25일 교내 영빈관에서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실사구시’형 공학교육을 위한 ‘공학교육 혁신안’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강성모 총장은 간담회 모두발언을 통해 “지난해는 KAIST가 구성원 간 상호 신뢰를 회복하고 구성원 모두가 '하나 된 KAIST'를 위해 노력했던 시기였다”며 “교원간담회 28회를 포함해 총 60여 차례에 걸쳐 구성원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고 회고했다. 이어 구성원의 단결과 화합을 위해 “핵심가치 제정․경영진단을 통한 조직개편․중장기발전계획 수립․브랜드 재정립을 위한 UI개발”을 추진하고, 기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K-Valley․Startup KAIST․End Run 사업 등을 계획했다” 고 말했다. 강 총장은 “2014년은 KAIST에게 ‘새로운 도전’의 해가 될 것이며 ‘새로운 KAIST’를 상상해도 좋다”면서 2014년 주요사업의 추진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2014년 주요사업 설명내용] 최근 10여 년 동안 국내 공과대학은 SCI 논문 중심으로 평가지표를 강화하여 연구분야를 세계적 수준으로 올려 논 반면, 창업과 기술사업화 등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평가지표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해 왔다. 이에 따라 공대 교수들은 응용기술을 통한 기술사업화 또는 실질적 경제효과를 가져올 실용적 연구보다는 SCI 논문 등 이론 위주의 연구에 집중하여 연구 성과의 기술사업화가 부진하고 산업계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전문 인력을 배출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KAIST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제기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고 △‘실사구시’형 공학 교육 강화 △공학도의 기업가정신 붐 업(Boom-up) △‘창업영토의 글로벌화‘ 등 공학교육 혁신의 기본방향을 제시했다. KAIST는 먼저 ‘실사구시’형 공학교육 논의를 위해 산업계․연구소․동문․내부인사 등 각계 인사가 참여하는 ‘KAIST 교육․연구혁신 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회는 교과과정 혁신모델과 새로운 교수 평가모형을 주로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산업계 등 권위 있는 외부 전문가들이 위원회에 참여해 KAIST 교육과정을 객관적으로 점검해 보고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공학도를 양성하는데 어떠한 교과과정이 필요한지를 검토할 계획이다. 현행 교수 평가지표와 관련, SCI 논문중심의 일괄적 평가지표가 미래사회에 맞는지를 점검하고 공과대학의 교수 평가모형이 무엇인지를 다양한 관점에서 점검할 예정이다. 또 창업의 실제 수요자인 공학도를 위한 기업가정신 활성화 프로그램도 도입된다. 구성원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사업화까지 지원하는 ‘Startup KAIST’와 공학도들의 기업가정신 강화를 위한 ‘‘SNU-KAIST 공학도를 위한 경영학 프로그램’도 본격 운영된다. 이와 함께 창업 초기부터 글로벌 기업을 목표로 도전할 수 있도록 돕는 ‘End Run’ 사업도 추진돼 학생들이 창업 영토를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 까지 넓힐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KAIST는 이번 공학교육 혁신안을 통해 교수들의 연구 성과가 창업과 기술사업화로 이어지고 학생들의 새로운 창업문화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성모 총장은 “KAIST가 지난 40여 년간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큰 역할을 했지만 국제화된 사회가 요구하는 공학도를 배출하려면 현재 공학교육의 틀을 새롭게 바꿔야 한다” 면서 “공학도는 논문연구 뿐 만 아니라 기술사업화․창업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라고 말했다. 한편, KAIST는 사회에 대한 지식기부와 교육의 기회균등을 위해 KAIST 명품강의를 인터넷에서 무료로 공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KAIST는 한국형 MOOC인 'KOOC(KAST Open Online Course)'플랫폼 구축과 과학기술 및 창업 교과목을 개발해 2015년부터 시범서비스를 시작하고 단계적으로 과목을 확대할 계획이다. 끝.
2014.02.26
조회수 16786
조영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우수공학인 1위로 선정
우리 대학 조영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55・사진)가 지난 22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2 공학교육 페스티벌’에서 학계 우수공학인 1위로 선정됐다. ‘2012 공학교육 페스티벌’은 공학 분야의 우수한 연구 성과를 전시하고 공학교육의 미래를 구상하고자 교과부가 주관한 행사로 올해 처음 개최됐다. 산업계 • 학계 • 사회 저명인사 등 3개 분야에서 추천된 인사들 중 예비로 선발된 35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투표에서 조영호 교수는 학계 우수공학인 1위의 영예를 안았다. 조영호 교수는 ▲공학교육과 연구개발 ▲산학협력 교류확산 ▲ 과학기술 대중화 등 전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융•복합 분야에서 공학교육을 특성화 하고 미국, 스위스 대학과 공연연구로 국제화를 선도해 공학도들이 만나고 싶은 학계 우수공학인 1위로 선정됐다. 끝.
2012.11.27
조회수 9985
서남표 총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장 취임
<동정> 서남표 KAIST 총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장 취임 서남표(徐南杓) KAIST(한국과학기술원) 총장이 최근 한국공학교육 인증원(ABEEK) 제3대 원장에 취임했다. 임기는 전임원장의 잔여기간인 내년 6월12일까지다. 사단법인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은 대학의 공학 및 관련 교육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기준과 지침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인증과 자문을 시행함으로써 공학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실력을 갖춘 공학기술 인력을 배출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지난 1999년 8월에 설립되었다
2007.10.02
조회수 15074
정재승칼럼 의사에게 공학교육을
정재승(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한국일보 2007년 8월20일자에 "의사에게 공학교육을"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사이언스에세이] 의사에게 공학교육을 저자 -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매체 - 한국일보 일자 - 2007.8.20(월) 칼럼보기 http://news.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php?url=opinion/200708/h2007081918122988710.htm&ver=v002
2007.08.20
조회수 9055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