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A%B3%B5%EA%B3%BC%EB%8C%80%ED%95%99%EC%9E%A5
최신순
조회순
2022년 창의도전연구실 16개 선정 및 현판식 개최
우리 대학 연구처가 ‘2022년 창의도전연구실’ 16개를 선정하고 5월 30일(월) 오후 현판식을 개최했다. ‘창의도전연구사업 C2(Creative & Challenging) 프로젝트’란 학술적·사회적 의미가 크고 미래 사회 이슈로 대두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를 선 발굴, 선 해결하는 연구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는 우리 대학 이광형 총장이 미래 50년을 위해 제시한 ‘QAIST 신문화 전략’ 중 하나로, 연구자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과감하게 문제에 도전하는 연구 문화를 조성하고자 기획됐다. 연구처는 지난 3월 공고를 시행하고 창의성과 도전성을 기준으로 총 16개 과제를 선정했다. 5월 30일(월) 5시에 열린 `창의도전연구실(Creative&Challenging)' 현판식은 제안 주제 중 최고점을 받은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성준 교수 연구실에서 대표로 진행했다. 현판식에는 이광형 총장, 이상엽 연구부총장, 조광현 연구처장, 이동만 공과대학장, 정기훈 바이오및뇌공학과장, 성단근 명예교수와 박성준 교수(연구책임자)가 참석했다. 박성준 교수는 “창의도전연구실에 선정 되어 매우 기쁘다. 앞으로 ‘리버스 뇌 오가노이드-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연구에 책임을 다하겠다. 본 연구 지원 사업을 통해 새로운 문제에 다양한 아이디어로 도전하며 개념검증을 시행할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2022년 말까지 진행하는 본 사업에 선정된 16개 과제에는 각 5천만 원 이내의 연구비를 지원한다. 연구처는 향후 평가를 통해 선정된 과제에 대해 창의적 기초융합연구 관련하여 보다 중장기적으로 지원하는 ‘도약연구(UP) 사업’으로 연계하여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연말 수행평가에서 문제해결과 검증을 탁월하게 제시한 우수 교원에게는 2023년 리서치데이에 ‘QAIST 창의도전 연구상’을 수여할 계획이다.
2022.06.09
조회수 5573
일반인을 위한 ‘See-KAIST 2011’ 개최
- 11월 2일부터 4일까지 교내 스포츠 콤플렉스에서 개최 - - KAIST·과학고·기업체 연구성과 전시 -- ‘생각하는 기계의 출연’ 등 미래 연구방향 한눈에 - 우리 학교는 오는 11월 2일부터 4일까지 사흘 동안 KAIST 스포츠 콤플렉스에서 개교 40주년 기념 ‘See-KAIST 2011’ 행사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지난 92년 첫 행사를 시작으로 ‘Open-KAIST’와 번갈아 격년제로 실시해 온 ‘See-KAIST’는 KAIST 연구성과, 과학고 탐구성과, 산업체 연구개발 제품을 전시하는 KAIST의 대표적 과학문화 대중화 행사다. 과학기술에 관심 있으면 누구나 KAIST 연구성과를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고 미래 과학기술의 흐름을 살피는 기회가 될 이번 전시회는 과학기술대학 중 KAIST만 개최한다. 이번 전시회에는 교내 12개학과 28개 랩과 5개 연구센터가 참여한다. ▲공과대학의 ‘인공대장을 내시경으로 관찰 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장치’ 등 14개 분야 ▲정보과학기술대학의 ‘생각하는 기계의 출현’ 등 6개 분야 ▲생명과학대학의 ‘뇌를 디자인하라’ 등 4개 분야 ▲자연과학대학의 ‘극저온에서 일어나는 상전이 현상·초고체 등 4개 분야 ▲ 연구센터의 ’인공위성 연구센터와 우주개발‘ 등 5개 분야의 연구성과물이 전시된다. 특히, 정보과학기술대학의 ‘생각하는 기계의 출연’ 연구팀은 인간처럼 사고하고 행동하는 기계인 ‘로봇 아바타’와 인간을 대신해 어린이들을 돌봐 줄 ‘인간형 로봇 유치원’을 가상공간에서 체험할 기회도 제공한다.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경이로운 마우스 모바일’ 등 2개 분야 ▲경기과학고의 ‘역학적 평형을 고려한 태풍발생 장치’ ▲대전과학고의 ‘대전지방의 산성비 연구’ ▲충북과학고의 ‘진경산수화를 이용한 풍화침식 작용에 대한 탐구’ 등의 연구 성과물도 전시한다. 사전예약은 필요 없으며 매일 오전 10시부터 17시까지 관람 할 수 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하는 박승빈 공과대학장은 “미래 청소년들이 KAIST의 우수 연구성과는 물론 미래 연구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의 세부 프로그램은 전시회 홈페이지(http://so-kaist.ac.kr)를 방문하면 상세히 알 수 있다.
2011.10.25
조회수 12529
윤정방 교수, 송산상 학술부문상 수상 외
- 윤정방 교수, 송산상 학술부문상 수상건설및환경공학과 윤정방(尹楨邦) 교수가 지난 9월 제6회 대한토목학회 송산상을 수상했다. 尹 교수는 스마트제어 등 구조분야의 연구와 학술활동에 기여한 공로로 학술부분에서 이 상의 수상자로 선정됐다.송산상은 대학토목학회 원로 회원인 송산 김형주 선생이 토목기술 발전과 토목인 양성을 위해 기부한 72억원을 기금으로 제정됐다. - 윤정방 교수, 캘리포니아 폴리텍 공과대학장자문위원회 위원으로 선정尹 교수는 또한 캘리포니아 폴리텍 주립대학 공과대학장자문위원회(Dean"s Advisory Council)의 위원으로 선정되었다. 윤 교수는 3년의 임기를 마칠 때까지 고문으로써의 역할을 하고 매년 봄, 가을 2회에 걸쳐 위원회에 참석하게 된다. 캘리포니아 폴리텍 공과대학장자문위원회는 공학산업분야의 다양한 공공 및 민간부분 지원에 대한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공과대학장자문위원회 설립 목적은 ▲ 외부 후원자의 자문 ▲ 대학의 목표를 발전, 이행할 수 있게 지원 ▲ 공학계의 수요에 대한 대학의 현재 점검 ▲ 공학대학의 역할을 위해 타대학 리더 지원 ▲ 위원회를 위한 공공 및 민간 지원을 모색함으로써 대학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캘리포니아 폴리텍 워렌 베이커 총장은 "윤교수는 대학교육과 공학계의 미래에 대한 수행 능력이 뛰어나다. 윤교수의 실력과 경험으로 봐서 우리 공대에 도움이 되고 가치있는 조언을 할만한 자격이 충분하다. 위원을 맡아줘서 감사하다"라고 말했다.
2007.10.19
조회수 15108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