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남표 총장 두 번째 임기 취임식 열려
서남표 총장의 두 번째 임기 취임식이 14일 오후 3시 본교 대강당에서 거행됐다.
서 총장은 이날 오후 교직원, 학생, 주요 보직자 및 이상민 자유선진당 의원을 비롯한 주요 외부 인사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취임식을 가졌다.
지난 2006년 총장에 취임해 4년간 개혁을 선도했고 2014년까지 앞으로 4년간 또 한번 혁신에 나선다.
이날 서 총장은 취임사를 통해 "지난 4년 동안 KAIST는 사회적으로 민감하고 추진하기 어려운 여러 정책과 시스템을 도입했다"며 "이런 노력들은 KAIST가 한층 수준높은 미래 경쟁력을 갖추고 강해지는데 도움이 됐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또 새로운 개혁으로 젊은 석좌교수제 신설과 인사제도 개선 등 새로 시작되는 임기동안에도 개혁은 계속될 것임을 내비쳤다.
한편 이날 취임사에서 "80대 할머니로부터 현금 100억원 기부를 약정받았다"고 발표해 주위를 훈훈하게 했다. 그동안 우리학교에 수백억 원 상당의 부동산이나 주식 등을 기부한 사례는 있었으나 현금 100억원을 쾌척한 경우는 처음이다.
2010.07.15
조회수 13073
-
KAIST ‘의대 없는 중소 종합대학’ 국내1위, 아시아 3위
우리대학은 조선일보가 영국의 대학 평가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와 공동으로 실시한 ‘2010년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의대 없는 중소 종합대학’ 부분에서 국내1위, 아시아 3위를 차지했다.
이번 평가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한국 대학들의 논문이 급속히 늘어났다는 사실이다. 특히, 우리대학의 논문 수는 지난해 평가에서의 9791편에서 1만3817편으로 41.1%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지난 2007년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른바 ‘대학 개혁’의 결실이 이제 막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해부터 실시하고 있는 이 평가는 아시아권 대학들을 대상으로 한 유일한 국제 고등교육 기관평가로, 올해 평가에는 국내 80개 대학을 포함해 아시아 11국 448개 대학을 대상으로 했다.
평가기준으로는 ▲연구능력(60%) ▲교육수준(20%) ▲졸업생 평판도(10%) ▲국제화(10%) 등 4개 분야를 점수화해 순위를 매겼다.
우리학교는 학계 평가 19위, 교원당 논문 수 17위의 좋은 성적을 거뒀다. 1, 2위 대학들보다 국제화면에서 다소 뒤쳐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최근 들어 ‘생활의 국제화 정책’등에 힘을 쏟고 있기 때문에 향후 국제적인 인지도가 더 올라갈 것이다.
올해 평가부터는 의대가 있는지 여부와 대학의 학생규모를 반영해 의대를 포함한 종합대학, 의대 없는 대규모 종합대학, 의대 없는 중소 종합대학, 특성화 대학 등 4개 그룹으로 나눠 따로 순위를 매겼다.
한편, 의대를 포함한 전체 순위 평가에서는 홍콩대가 아시아 1위, 서울대 6위를 차지했고, 의대가 없는 카이스트와 포스텍이 각각 아시아 13·14위로 국내 2·3위였다.
조선일보는 우리학교가 지난해 정보통신대(ICU)와 통합한 후 ‘시너지 효과’가 아직 나타나지 않아 올해는 순위가 다소 내려갔다며, 하지만 학계 평가(연구능력부문)가 아시아 최고 수준이고 국제화 지표가 상승세라 향후 순위가 올라갈 것으로 예측했다.
2010.05.13
조회수 20197
-
이광형칼럼 교육개혁은 교육개방으로부터
이광형 교수(바이오 및 뇌공학과)가
세계일보 2010년 1월18일(월)자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제목: [이광형칼럼] 교육개혁은 교육개방으로부터
매체: 세계일보
저자: 이광형(바이오 및 뇌공학과) 미래산업 석좌교수
일시: 2010/1/18(월)
칼럼보기
http://www.segye.com/Articles/News/Opinion/Article.asp?aid=20100117002201&cid=
2010.01.18
조회수 9308
-
총장인터뷰 "이젠 노벨상 받을 준비됐다" .. 세계최고공대
우리학교 서남표 총장 인터뷰기사가 석간 경제일간지 "헤럴드 경제" 2009년 12월 3일자의 11면 전면을 차지했다. 면 제목으로 "서남표 카이스트총장 인터뷰"라고 적힌 11면에서는 [서남표식 리더십"으로 교육-과학계 개혁 새바람]이란 제목과 ["이젠 노벨상 받을 준비됐다"... 세계 최고 공대 지향]이란 부제로 기사가 실렸으며, 우측면에 서남표 총장의 프로필을 소개하는 기사가 [고희 총장의 끝없는 열정]이란 제목으로 소개됐다.
서남표총장 인터뷰 기사
제목: 서남표식 리더십"으로 교육-과학계 개혁 새바람
부제: "이젠 노벨상 받을 준비됐다"... 세계 최고 공대 지향
대담: 함영훈 헤럴드경제 사회부장
매체: 헤럴드경제(석간 경제일간지) 11면
일시: 2009년 12월 3일(목)
관련기사1(인터뷰 메인기사)
http://www.heraldbiz.com/SITE/data/html_dir/2009/12/03/200912030003.asp
관련기사2(프로필 소개기사)
http://www.heraldbiz.com/SITE/data/html_dir/2009/12/03/200912030004.asp
2009.12.04
조회수 14339
-
고위험.고수익 연구(High Risk High Return Project) 첫 워크샵 개최
- 2008년 선정된 총 44개 과제의 연구과정 및 성과 발표
- 다양한 분야에서 고위험, 고수익 연구를 수행해 온 교수 및 학생들의 노력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
KAIST(총장 서남표)가 지난 해 역점적으로 추진해온 고위험/고수익 연구(High Risk High Return Project, 이하 HRHRP)의 첫 워크샵을 오는 14일 교내 창의학습관에서 개최한다.
HRHRP는 서남표 총장의 KAIST 2단계 주요 개혁방안 중 하나로, 실패할 위험이 있으나 성공할 경우 획기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아이디어를 공모하여 이를 적극 지원하는 연구사업이다.
기존의 정량적인 평가를 지양하고 아이디어의 독창성과 잠재된 영향력을 가장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삼으며, 전임/비전임 교수, 연구원, 학생 등 연구책임자의 신분제한을 없애고, 방대한 분량의 과제제안서 및 보고서를 대폭 간소화하여 연구자의 행정적 부담을 줄이는 등 획기적인 운영방식을 통하여 KAIST의 연구문화를 혁신할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달 착륙 탐사 선행연구, 얼음 연료전지와 얼음 자석을 위한 얼음공학, 무정차 고속열차 개발, 떠다니는 항구(Mobile Harbor), 원유유출사고 시 방재를 위한 연구 등 학문․경제․사회적으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연구과제들이 수행되고 있다.
2008년에 선정된 총 44개 연구과제(교수 40명, 학생 4명)의 아이디어, 연구과정 및 성과가 3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이번 워크샵에서 발표된다. 이외에도 모든 과제의 연구내용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포스터 44점과 달 착륙선 모델(연구책임자 : 항공우주공학전공 권세진교수), 원유유출방재를 위한 협업로봇(연구책임자 : 산업디자인학과 김지훈학생, 박사과정)등 연구결과 얻어진 시제품도 함께 전시될 예정이다.
<행사일정>○ 일 시 : 2009.1.14(수) 09:00~18:00○ 장 소 : 대전 KAIST 창의학습관 터만홀, 101호, 102호
○ 주 최 : KAIST 연구처
○ 일 정 : 첨부된 일정표 참조
2009.01.08
조회수 20020
-
이창양칼럼 패 감춘 공기업 개혁
우리학교 이창양 교수(서울캠퍼스 경영대학)가 경제일간지 <한국경제> 2008년 7월 25일자에
"패 감춘 공기업 개혁"이란 제목의 기고문을 기재했다.
제목 [시론] 패 감춘 공기업 개혁
저자 이창양 경영대학(서울캠퍼스) 교수
신문 한국경제
일시 2008/07/25( 금)
기고문보기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8072435231
2008.07.25
조회수 10842
-
KAIST, 연구계약 및 특허정책 개혁
- 연구 결과물에 대한 합리적인 지식재산권 기준 적용 - 국내 대학, 기업간 연구 풍토 개선하는 계기 마련- 선행 연구 합리적 보상, 후속 연구 활동 걸림돌 제거우리 학교는 올 3월부터 기업과 연구계약 시 선진대학 수준의 새로운 지식재산권 기준을 적용키로 했다.
국내 대학과 기업의 연구 계약은 주로 기업이 요구하는 조건으로 체결되어 왔다. 국내 기업은 연구비를 연구 대가로 인식, 결과물에 대한 기업 소유권과 연구관련 선행기술에 대한 무상 활용을 주장하고 있다. 기업이 연구결과에 대한 특허권을 소유하게 되면 선행 연구에 대한 권리도 침해되고 후속연구 결과도 기업에 종속되어 대학의 연구 활동이 위축된다. 이런 계약 형태는 대학의 기술이 기업에 종속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우리 학교는 연구비를 연구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한 비용 개념으로 인식하고 지식재산권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마련, 기업과 연구계약에 적용키로 했다. 이번에 시행되는 세부 기준은 ▲연구결과에 대한 지식재산권은 KAIST가 단독 소유, 기업에는 라이센싱 옵션권 부여 ▲라이센싱 옵션권으로 전용 또는 통상실시권을 선택시 특허의 출원, 등록, 유지 비용은 기업이 부담 ▲공동소유 특허에 대해서는 기업, KAIST가 상호 승인없이 제3자에게 실시권 부여 가능 ▲전용실시권은 유상으로 독점적 권한을 가지며 제3자에게 실시권 부여 가능 ▲통상실시권은 무상으로 비독점적 권한을 가지며 제3자에게 실시권 부여 불가능 ▲연구수행 이전에 KAIST가 개발하고 보유한 선행 특허를 기업이 사용할 경우 별도 기술실시계약 체결 ▲시작품은 기업이 소유하되, 기자재와 연구시설은 KAIST가 소유한다 등이다. 이번에 실시하는 새로운 기준은 연구 결과물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합리적으로 개선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연구 환경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박선원(朴善遠) 산학협력단장은 “연구 결과물에 대한 사용권은 당연히 기업에 있으나 그 결과물 사용에 대한 대가 지급은 필수다. 또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선행연구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우수한 연구결과를 도출한 연구자에게 최소한의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며 “지난해 10월 세계적 IT 기업인 M사가 작성해온 연구계약서를 보면 공동연구에서 연구비는 기업이 부담하고 연구 결과 발생한 지식재산권은 KAIST가 소유하는 조건이었다. 또한 특허권을 확보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기업이 부담하고 기업은 실시권만 가지며, 독점적 실시권의 사용시에는 로얄티에 대한 별도 계약을 체결한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었다. 현재 국내 기업들과의 연구 계약 조건과는 큰 차이가 있다”라고 말했다.
우리 학교는 1973년부터 기업과 연구 계약을 시작했고, 1974년 처음 특허출원을 했다. 지난해 기업과 연구계약은 292건, 계약 1건당 평균 연구비는 7천만원으로 해가 거듭될수록 계약 건당 연구비도 늘어나는 추세다.
반면, 연구결과로 발생되는 지식재산권에 대해서는 기업이 일방적으로 권리를 취하고 있다. 이런 연구계약 풍토에 대해 수년전부터 이의를 제기해 왔으나, 연구결과물인 특허권은 극히 일부만 학교 단독권리 또는 공동권리로 되고 대부분은 기업 권리로 계약되고 있다.
2008.02.13
조회수 16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