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B%B0%94%EC%9D%B4%EC%98%A4+%EB%B0%8F+%EB%87%8C%EA%B3%B5%ED%95%99%EA%B3%BC
최신순
조회순
조광현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
우리 대학 바이오 및 뇌공학과 조광현 석좌교수가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선정한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을 수상했다. 조 교수는 IT(정보기술)와 BT(생명기술)의 융합연구인 시스템생물학 기반의 신개념 암세포 사멸 제어기술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조 교수는 최근 3년간 네이처, 사이언스, 셀의 자매지 등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과학저널에 34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지금까지 140여 편의 논문을 국제저널에 게재했다. 이 외에도 시스템생물학 교재 저술, 국제학술 백과사전 편찬 등 여러 업적을 이뤘다. 조 교수가 개척한 시스템생물학은 생명체의 근본적 동작원리를 시스템 차원에서 규명하고 제어하는 새로운 생명연구 패러다임이다. 대표적 암 억제 단백질인 p53은 세포의 이상증식 억제 및 암세포 사멸 촉진 단백질로 알려져 많은 과학자들의 연구대상이었지만, 기대와 달리 효과가 미미했고 여러 부작용이 나타났다. 그 이유는 p53의 기능이 복잡하고 다양한 양성 및 음성 피드백(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에 의해 조절되므로, 기존 생물학적 접근법만으로는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조 교수는 시스템생물학적 접근으로 p53의 동역학적 변화와 기능을 밝혀냈다. 또한 IT 융합기술을 생체신호전달 네트워크에 적용해 스트레스반응, 심장근육세포의 생존·사멸 등의 신호전달 과정을 규명하고, 새 제어기술들을 개발했다. 조광현 교수는“‘이달의 과학기술자상’수상을 통해 다시 심기일전하는 계기가 됐다”며“융합연구를 통해 학문의 경계에서 다양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들이 창출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2015.02.05
조회수 10133
최철희 교수, ‘캔서 레터스’ 편집위원 선임
우리 학교 바이오 및 뇌공학과 최철희 교수가 세계적학술지인 ‘캔서 레터스(Cancer Letters)지’ 편집위원으로 이달 25일 선임됐다. 최 교수는 학술지에 실릴 논문의 심사와 함께 학술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자문을 하게 된다. 최근 2년 동안 암생물학과 바이오광학 분야에서 총 20여편의 SCI급 논문을 주저자로 발표하는 등 활발한 연구성과를 낸 업적을 인정받았다. KAIST 생체영상연구센터와 세포신호및생체영상연구실을 맡고 있는 최 교수는 암과 같은 질병발생과정을 세포생물학․계산생물학․바이오광학의 다학제적인 접근을 통해 연구하고 있다. 특히, 암세포의 세포사멸 저항성 기전 연구 분야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조직관류 측정을 위한 새로운 생체영상기법과 극초단파 레이저빔을 이용한 신경약물전달 신기술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바 있다.
2011.07.27
조회수 9345
정재승 칼럼 융합연구를 힘들게 하는 것들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동아일보 2011년 6월 24일(금)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융합연구를 힘들게 하는 것들 신문: 동아일보 저자: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일시: 2011년 6월 24일(금) 기사보기: 융합연구를 힘들게 하는 것들
2011.06.24
조회수 7598
최철희 교수, 대한암학회 우수논문 학술상 수상
우리 학교 바이오 및 뇌공학과 최철희 교수가 지난 16~1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37차 대한암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 학술상을 수상했다. 최철희 교수는 지난해 종양생물학과 바이오광학 분야에서 총10편의 SCI급 논문을 주저자로 발표하는 등 활발한 연구성과를 냈고 그 업적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특히, 세포생물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세포사멸 및 증식(cell death and differentiation)지’에 ‘케스파제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에 의한 사람 뇌종양세포의 세포사멸 저항성 유발’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발표해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에 노화나 세포의 죽음을 유발하는 세포 내 독성 물질로 알려진 활성산소종이 케스파제(caspase)라는 단백질효소를 억제해 세포의 죽음을 오히려 저해할 수 있음을 밝힌 것으로 종양세포의 치료에 대한 새로운 내성기전을 제시했다. 최근에는 조직관류 측정을 위한 새로운 생체영상기법을 개발해 임상적용 가능한 의료장비를 개발 중이다. 아울러 지난달에는 극초단파 레이저빔을 이용한 신경약물전달 신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바 있다. 최 교수는 KAIST 생체영상연구센터와 세포신호및생체영상 연구실을 운영하면서 질병 발생에 관여하는 세포신호전달과정을 세포생물학-계산정보생물학-바이오광학의 다학제적인 접근을 통해 연구하고 있다.
2011.06.23
조회수 9693
정재승 칼럼 대학교육 다시 들여다보기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한겨레신문 2011년 6월 15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대학교육 다시 들여다보기 신문: 한겨레신문 저자: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일시: 2011년 6월 15일(수) 기사보기: 대학교육 다시 들여다보기
2011.06.15
조회수 9400
정재승 칼럼 과학자는 하청업자다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동아일보 2011년 5월 26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과학자는 하청업자다 신문: 동아일보 저자: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일시: 2011년 5월 26일(목) 기사보기: 과학자는 하청업자다
2011.05.26
조회수 8568
정재승 칼럼 대학은 지금 공사 중!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동아일보 2011년 5월 24일(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대학은 지금 공사 중! 신문: 동아일보 저자: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일시: 2011년 5월 24일(화) 기사보기: 대학은 지금 공사 중!
2011.05.24
조회수 8105
정재승 칼럼 도시발달이 초래한 도살처분 잔혹사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동아일보 2011년 3월 15일(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도시발달이 초래한 도살처분 잔혹사 신문: 동아일보 저자: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일시: 2011년 3월 15일(화) 기사보기: 도시발달이 초래한 도살처분 잔혹사
2011.03.15
조회수 7797
정재승 칼럼 기업혁신을 이끌어내는 눈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동아일보 2011년 2월 15일(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기업혁신을 이끌어내는 눈 신문: 동아일보 저자: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일시: 2011년 2월 15일(화) 기사보기: 기업혁신을 이끌어내는 눈
2011.02.15
조회수 7147
정재승 칼럼 자살로 잃은 두 친구와 로봇 영재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동아일보 2011년 1월 18일(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자살로 잃은 두 친구와 로봇 영재 신문: 동아일보 저자: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일시: 2011년 1월 18일(화) 기사보기: 자살로 잃은 두 친구와 로봇 영재
2011.01.18
조회수 11045
정재승 칼럼 학자들의 천국, 학자들의 지옥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동아일보 2010년 11월 30일(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학자들의 천국, 학자들의 지옥 신문: 동아일보 저자: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일시: 2010년 11월 30일(화) 기사보기: 학자들의 천국, 학자들의 지옥
2010.11.30
조회수 8279
이광형칼럼 교사가 변해야 교육이 변한다
이광형 바이오 및 뇌 공학과 교수가 서울신문 2010년 11월 4(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교사가 변해야 교육이 변한다 신문: 서울신문 저자: 이광형 바이오 및 뇌 공학과 교수 일시: 2010년 11월 4일(목) 기사보기: 교사가 변해야 교육이 변한다
2010.11.04
조회수 8027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