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학교 과학도서관 신문열람대에 새로운 구경거리가 생겼다. 최근 학술정보처 학술정보운영팀은 과학도서관 1층 로비 신문열람대에 T페이퍼(T-Paper) 1대를 설치하고 새로운 신문열람 서비스에 나섰다.
Full HD급 디스플레이로 1920x1080해상도를 자랑하는 신문크기 화면의 T페이퍼는 신문 열람은 물론 검색도 할 수 있어, 지난 날짜의 신문기사도 찾아볼 수 있다. 옵티컬 방식의 터치패널로 손가락을 살짝 갖다대도 신문을 앞뒤로 쉽게 넘겨볼 수 있도록 작동되며 선명한 이미지로 생생한 사진기사를 감상할 수 있다. 현재는 경향신문, 서울신문, 한국일보, 한겨레 등의 중앙일간지와 경제일간지 파이낸셜 뉴스, 영어일간지 THE Korea Herald, 스포츠신문인 스포츠서울과 스포츠칸, 대전지역 일간지인 대전일보와 충청투데이 등을 서비스 중이다.
학술정보운영팀의 양기홍 사서는 “종이신문보다 더욱 실감나는 기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밝히면서, "수십명이 열람해도 신문 훼손이나 분실걱정이 없고, 매일 아침 자동 업데이트가 되는 방식으로, 디지털도서관 조성의 시각적 효과가 크다"고 그 의미를 밝혔다.
- 트위터 네트워크의 성장은 오프라인 사회관계망에서 점차적으로 시작 - 전통적인 미디어의 영향력으로 네트워크가 폭발적으로 성장함을 관찰 트위터가 세계적으로 유명세를 타는 데는 전통적인 사회관계망의 역할뿐만 아니라 미디어의 주목이 커다란 기여를 했다는 사실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우리 학교 문화기술대학원 차미영 교수가 최근 MIT 마르타 곤잘레즈(Marta Gonzalez) 연구팀과 함께 오프라인에서 인간관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역, 사회, 경제적 요인과 더불어 미디어의 주목이 초기 트위터의 성장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음을 분석해냈다. 대다수 신기술처럼 트위터는 가장 먼저 젊고, 과학기술을 잘 이용하는 샌프란시스코와 보스톤의 사용자들에게 먼저 도입됐다. 그다음 단계에서는 인접도시로 점진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해 오프라인 사회관계망이 정보전파에 주된 역할을 했음이 연구결과 조사됐다. 예를 들어 처음 도입한 두 도시와 지역적으로 근거리에 있는 캘리포니아의 버클리와 매사
2012-01-04바이오 및 뇌공학과 이도헌 교수와 이은정 박사팀이 수행한 연구가 오는 6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리는 ‘분자생물학을 위한 지능형 시스템 국제학회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Systems for Molecular Biology)’의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2년 연속 선정되었다.이 논문은 지난해 공중과학도서관 계산생물학 저널(PLoS Computational Biology)에 발표된 “질병상태 분류를 위한 경로 활동도 추론"이다. 이번 연구성과는 암과 같이 여러 유전자의 이상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복합성 질환의 경우,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 및 생물학적 경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어진 분자 모듈의 활성도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질병 진단과 새로운 진단 마커를 발굴하는 데 응용될 수 있다. 바이오 및 뇌공학과 이도헌교수는 “하이라이트 세션은 일반 학술발표 세션과 달리, 지난 한 해 여러 학술지에
2009-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