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학교 유회준 교수(전기및전자공학과)가
"시스템반도체"에 대한 칼럼을 IT일간지 디지털 타임스 2009년 10월 22일자에 기재했다.
제목 [디지털포럼] 반도체 산업의 핵심 "시스템반도체"
저자 유회준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
신문 디지털 타임스
일시 2009/10/22(목)
기고문보기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9102202012251614002
우리 대학이 국내 반도체 팹리스(설계 전문회사)의 만성적인 인력 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외부 교육장을 개소하고 실무 인력 양성에 나선다. KAIST 반도체설계교육센터(소장 박인철, 이하 IDEC)는 4일 'KAIST IDEC 동탄 교육장 개소식 및 시스템반도체설계 실무인력양성과정 제1기 입교식'을 개최했다. KAIST IDEC 동탄 교육장은 지난해 11월 체결한 화성시와 KAIST 간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설치됐다. 롯데백화점 동탄점이 화성시에 기부한 KAIST-화성 사이언스 허브에 입주하며,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시스템반도체 설계 교육센터를 운영하고 관련 교육과정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교육장 개소식과 함께 시스템반도체설계 실무인력양성과정 제1기 입교식이 개최됐다. 시스템반도체설계 실무인력양성과정은 산업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실무 인력을 양성하는 중·장기 교육 프로그램이다. 이를 위해, 지난 6월 말부터 수강생을 모집했다. 당초 40명을 선발할 예
2022-08-04김상규 화학과 교수가 전자신문 2013년 1월 10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미래 창조 과학 이라고? 신문: 전자신문 저자: 김상규 화학과 교수 일시: 2013년 1월 10일(목) 기사보기: 미래 창조 과학 이라고?
2013-02-01- 15일까지 재학생 대상 신청 받은 후 22일 대전 본원에서 열어 -- “고민 많은 후배들에게 현장 노하우와 인생의 경험 전달할 것”- 우리 대학 동문들이 미래를 고민하는 후배들을 위해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총동문회(회장 임형규)는 22일 오후 2시부터 8시까지 대전 본원 창의학습관에서 ‘제 1회 KAIST 멘토링 콘서트’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학부총학생회와 대학원총학생회가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선배에게 가장 도움을 받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재학생들이‘선배들이 참여하는 멘토링 시스템’을 마련해 달라는 요청에 의해 마련됐다. 총동문회는 학부 및 대학원 총학생회의 요청을 받고 주요사업으로 추진해오던 멘토링 사업 ‘선목카페’를 확대, 발전시켜 선・후배 간에 끈끈한 정과 유대감을 느낄 수 있는 이번 ‘KAIST
2012-09-12배두환 전산학과 교수가 전자신문 2010년 8월 26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제2, 제3의 스마트폰 충격에 대비하자 신문: 전자신문 저자: 배두환 전산학과 교수 일시: 2010년 8월 26일 (목) 기사보기: 제2, 제3의 스마트폰 충격에 대비하자
2010-08-26한상기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전자신문 2010년 7월 8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ET칼럼] 디지털 인문사회 연구의 필요성 신문: 전자신문 저자: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한상기 일시: 2010년 7월 8일(목) 기사보기: [ET칼럼] 디지털 인문사회 연구의 필요성
2010-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