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사 405명, 석사 951명, 학사 620명 등 총 1,976명의 고급 과기인재 배출
- 최연소 박사 임병화씨, 학사과정 수석 졸업 조길영씨 등 화제의 졸업생 탄생
우리학교가 지난 27일(금) 오후 2시, 교내 노천극장에서 2009년도 학위수여식을 갖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박사 405명, 석사 951명, 학사 620명 등 총 1,976명이 학위를 받았다. 이로써 KAIST는 지난 ’71년 설립 이래 박사 7,472명, 석사 19,587명, 학사 9,618명 등 총 36,677명의 고급 과학기술인력을 배출하게 됐다. ‘20대 박사의 산실’이기도 한 KAIST는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도 박사학위 수여자 405명 중 38%인 155명이 20대 박사인 것으로 집계됐으며, KAIST 출신 박사 총 7,472명 중 43%인 3,201명이 20대 박사로 기록되고 있다. 학사, 석사, 박사 각 과정별 학위기 대표수여자는 학사에 수석졸업생인 물리학과 조길영(曺吉榮, 22)씨, 석사에 전기전자공학과 이슬기(22)씨, 박사에 최연소 박사인 수리과학과 임병화(林炳華, 만 26세 10월, 1982년 4월 11일생)씨가 각각 선정됐다.
또한 이날 행사장에서는 원로 한의학자인 유석(儒碩) 류근철(柳根哲, 83) 박사에 대한 명예이학박사 학위 수여와 학사과정 성적우수졸업생에 대한 시상도 함께 하게 된다. 올해 수석졸업의 영광은 4.3만점에 4.27점을 받은 물리학과 조길영(曺吉榮, 22)씨가 차지했으며, 대통령상을 수상하게 됐다. 이 밖에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은 생명과학과 강병수(姜秉受, 22)씨, 이사장상은 화학과 홍선기(洪先基, 22)씨, 총장상은 전기전자공학과 이주연(李宙娟, 22) 씨가 각각 선정 됐다.
■ 최연소 박사, 임병화씨
이번 졸업생 중 최연소 박사는 수리과학과를 졸업하는 임병화씨다. 林씨는 ‘투자 선택문제와 정보의 비대칭이 있을 때의 자산 가격결정에 관한 연구(Portfolio Selection and Asset Pricing under Asymmetric Information’(지도교수 최우진)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는다. 林씨는 졸업 후 KAIST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연구를 계속한다. “박사학위는 진정한 연구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전공이 금융수학이라 앞으로 더욱 연구에 매진해서 금융시장 더 나아가 경제 전반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 해외 유명 SCI 저널에 16편의 논문 발표, 김태용씨
생명화학공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하는 김태용(金兌勇, 33)씨는 지난 2005년 9월 박사과정에 진학, 3년여 동안 총 16편의 논문을 해외 유명 SCI 저널에 발표했다. 특히 ‘맨하이미아 균 대사의 게놈 수준 분석(Genome-scale analysis of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metabolism)’(지도교수 이상엽) 논문은 바이오테크놀로지 앤 바이오엔지니어링 표지논문으로 게재되기도 했다. 金씨의 박사학위 논문은 ‘세포 재설계를 위한 게놈 수준 대사회로의 개발과 응용(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enome-scale metabolic networks for the re-design of a cell’(지도교수 이상엽)이다. 金씨는 졸업 후 KAIST내 생물정보연구센터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연구를 계속한다. “학위과정이란 제가 얼마나 모르고 있는 가를 깨닫는 과정이었다고 생각한다. 특히, 생물분야의 연구에서는 대부분 해보지도 않고 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편견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게 해주셨던 지도교수님과 저희 연구실 동료들이 무척 고맙고 앞으로도 그 마음을 잊지 않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 외국대학 동시임용 최보배, 이두원씨 부부
경영공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하는 최보배(30, 여)씨와 올 가을 졸업예정인 남편 이두원(李斗源, 29)씨가 박사과정 재학 중이던 지난 해 가을 호주 뉴캐슬대학(The University of Newcastle, Newcastle Business School)의 조교수로 임용됐다. 뉴캐슬대학 강의는 오는 5월부터 시작하게 된다. 최씨는 ‘재무 분석가의 역할과 주식의 거래행태와 정보성에 관한 연구(Two Essays on the Role of Financial Analysts in Relation to the Trading Behavior and Stock Price Informativeness‘(지도교수 정구열)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李 씨는 올 8월 졸업 예정으로 최종 논문심사를 마친 상태다. 이들 부부는 KAIST 경영대학원의 석사과정 재학 중 만났으며, 박사과정을 거치면서 서로에게 각자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도와주는 좋은 동료가 되었다고 한다. 최보배씨는 ”앞으로 해외 대학의 강단에 서서 우리 부부 모두 KAIST인으로써 학교의 위상을 높이고 한국의 재무와 회계연구를 세계에 알리는데 이바지 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 의과학대학원 1호 박사 “여성 의과학자” 강신애씨
의과학대학원 박사과정을 졸업하는 강신애(姜信愛, 33)씨는 KAIST 의과학대학원 1호 박사이자, 우리나라에서는 드문 여성 의과학자가 됐다. 姜씨는 지난 3년여 동안 기초학문에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 해외 유수 저널 ‘블러드(Blood)’에 제1저자로서 톨-라이크(Toll-like) 수용체와 림프관 생성에 관한 우수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姜씨의 졸업논문은 ‘림프관 신생에서 톨 라이크 리셉트(Toll-Like Receptor) 4의 역할(The Role of Toll-Like Receptor 4 in Lymphangiogenesis)’(지도교수 고규영)이다. MD/Ph.D(의과학자)과정은 의대, 치의대, 한의대를 졸업했거나, 혹은 병원에서 수련의까지 마친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들을 입학대상으로 한다. 姜씨는 “지금까지 했던 연구 결과와 방법 등 노하우를 응용하여 이전부터 꿈꿔 왔고, 궁극적으로 관심을 가졌던 당뇨병 연구에 매진할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姜씨는 졸업 후 서울대병원에서 당뇨병 환자의 진료와 신 치료법 개발, 당뇨병의 발생 기전 연구 등 임상과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다.
■ 2년(4학기)만에 학사학위 취득, 수리과학과 오성진 씨
이번에 수리과학과를 졸업하는 오성진(吳聖珍, 20)씨는 개교 이래 처음으로 2년(4학기)만에 학사학위를 취득했다. 2006년 9월 KAIST에 입학, 2년 동안 총 133학점을 취득했고, 4.3만점에 4.24점의 평점을 받았다. 吳 씨는 지난해 8월 학사학위 취득요건을 충족하고 졸업하였으나, 후기 학위수여식 행사 폐지로 졸업장은 이번에 받게 됐다. 吳 씨는 현재 美 프린스턴 대학의 수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유학을 나와 보니 모교가 너무나도 그립다. 친구들과 즐겁게 떠들며 교정을 거닐던 기억, 이해가 잘 되지 않는 책과 씨름하던 기억 등 소소한 것들이 너무나 소중한 기억으로 남아있다. 학위 취득이 기쁘면서도 한편으로는 이런 기억을 뒤로 하고 KAIST를 나오려니 섭섭하다. 앞으로 즐겁게 연구하는 좋은 수학자가 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 2008 ‘대한민국 인재상(대통령상)’ 수상자 산업디자인학과 김성진 씨
산업디자인학과를 졸업하는 김성진(金聖眞, 25) 씨는 초등학교 때부터 사고 후유증으로 장애를 앓고 있는 아버지를 도와야 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때 청소년 유해․게임 사이트 차단 소프트웨어를 개발, 무료로 보급하는 봉사활동을 해 오고 있다. 또한 金 씨는 재학기간 중 언어․청각 장애인용 보완대체 의사소통기기와 지체장애인용 근전도 드라이빙 시스템 등 정보통신 관련 프로그램 및 관련기기 29건을 독자 개발하는 등 활발한 연구개발 활동을 펼쳤다. 2008년 1월에는 그동안의 경험을 토대로 벤처회사(주식회사 휴모션)를 설립하였고, 지난 1월에는 학교발전기금 1천만 원을 기부하기도 했다. 金씨는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기기를 개발하던 중 여러 업체에 디자인을 의뢰했으나, 장애인 분야는 돈이 되지 않는다고 거절을 당한 충격적 경험 때문에 어린시절부터부터 꿈꿔온 전산학도의 꿈을 접고 산업디자이너로 진로를 수정했다. 디자인의 ‘디’자도 모르던 전산학도가 산업디자인 과정을 이수하기는 쉽지 않았으나, 결국 학위를 취득하게 돼 더욱 기쁘다. 앞으로 어려운 이웃과 소외계층을 위해 제가 가진 작은 재능을 나누는 삶을 살고 싶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KAIST(총장 이광형)가 18일(금) 오후 2시 대전 본원 대강당에서 2022년도 학위수여식을 개최한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박사 663명, 석사 1천383명, 학사 695명 등 총 2천741명이 학위를 받는다. 이로써 KAIST는 지난 1971년 설립 이래 박사 1만5천81명을 포함해 석사 3만6천896명, 학사 2만152명 등 총 7만2천129명의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배출하게 된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3년 연속으로 온라인 중심의 학위수여식을 개최한다. 수상자와 연설자를 포함한 학생 대표 86명과 보직자 20명 등 최소한의 인원만 입장해 방역 수칙을 준수하며 행사를 진행했다. 학사과정 수석 졸업의 영광은 이지영(24세·물리학과) 씨가 차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는다. 이사장상은 방유진(23세·기술경영학부) 씨, 총장상은 이정환(25세·수리과학과) 씨, 동문회장상과 발전재단 이사장상은 각각 김예원(24세
2022-02-18우리 대학이 19일(금) 오후 2시에 2021년도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박사 668명, 석사 1천331명, 학사 713명 등 총 2천712명이 학위를 받는다. 이로써 KAIST는 지난 1971년 설립 이래 박사 1만4천418명을 포함해 석사 3만5천531명, 학사 1만9천457명 등 총 6만9천388명의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배출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작년과 마찬가지로 온라인 중심의 학위수여식을 개최해 수상자와 대표 연설자를 포함한 학생 83명과 보직자 17명 등 최소한의 인원이 행사에 참석했다. 이들은 방역 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한 상태로 대전 본원 대강당·창의학습관 터만홀·학술문화관 정근모콘퍼런스홀·서울(홍릉) 캠퍼스 최종현 홀 등 4개 장소로 나눠 입실했다. 올해 학사과정 수석 졸업의 영광은 박현영(24세·전기및전자공학부) 씨가 차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았다. 이사장상은 조예린(23세&mid
2021-02-19우리 대학이 28일(금) 오후 2시부터 2020년도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지난 2월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의 폭발적인 확산으로 잠정 연기한 지 6개월 만이다. 올 학위수여식에서는 박사 721명, 석사 1천399명, 학사 726명 등 총 2천846명이 학위를 받는다. 이로써 KAIST는 지난 1971년 설립 이래 박사 1만3천750명을 포함해 석사 3만4천182명, 학사 1만8천744명 등 총 6만6천676명의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배출하게 된다. KAIST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그간 미뤄 온 학위수여식을 1971년 개교 이래 최초로 온택트 방식으로 치르기로 결정했다. 대신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참석자 수를 졸업생 대표 67명을 포함해 주요 보직교수와 진행 요원 등 110여 명 규모로 참석 인원을 최소화했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사항을 철저하게 준수해 학위수여식 행사장을 대전 본원 대강당과 창의학습관 터만홀, 학술문화관 정근모 콘퍼
2020-08-28〈사진설명: 15일 대전 본원 류근철 스포츠컴플렉스에서 ‘2019년도 KAIST 학위수여식'이 열려 박사 654명, 석사 1천255명, 학사 796명 총 2천705명이 학위를 받았다.〉 우리 대학은 는 15일(금) 오후 2시 대전 본원 류근철 스포츠컴플렉스에서 ‘2019년도 KAIST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에서는 박사 654명, 석사 1천255명, 학사 796명 총 2천705명이 학위를 받는다. 이로써 KAIST는 지난 1971년 설립 이래 박사 1만3천29명을 포함해 석사 3만2천783명, 학사 1만8천18명 등 총 6만3천830명의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배출하게 된다. 임대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을 비롯해 이상민·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경진 민주평화당 의원, 이장무 KAIST 이사장, 이수영 발전재단 이사장 등 교내외 인사와 학부모 등 5천여 명이 참석해 졸업생들을 축하했다. 학사과정
2019-02-15우리대학은 지난 2월 23일(금) 대전 본원 류근철 스포츠컴플렉스에서 열린 ‘2018년 KAIST 학위수여식’에서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회장 겸 삼성종합기술원 회장에게 ‘명예경영학박사’학위를 수여했다. 권 회장은 동문으로서는 사상 처음으로 모교로부터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받은 인물로 기록을 남기는 영예를 차지했다. 권 회장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우리대학에서 전기전자공학 석사학위를, 美 스탠퍼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1985년 美 삼성반도체연구소 연구원을 시작으로 삼성에 입사해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부회장과 2012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을 거쳐 올 2월 현재 삼성전자 대표이사 회장 겸 삼성종합기술원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권 회장은 삼성에서 33년간 재임하면서 삼성전자의 반도체 신화를 최전선에서 이끌고 있다. 삼성의 반도체 사업이 종합반도체 세계 1위를 달성하고 삼성전자가
2018-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