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학교가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실용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창의적 소프트웨어 전문가를 양성하는 맞춤 과정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우리 대학 전산학부 박사 졸업생 안가빈 박사와 박사과정 윤주연 학생(지도교수 유신)이 각각 1, 2저자로 참여한 논문이 10월 8일부터 11일까지 미국 애리조나 플래그스태프에서 열린 2024 IEEE 국제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및 진화 학술대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Maintenance and Evolution, ICSME 2024)에서 최우수 산업체 논문상을 수상했다. ICSME에서 최우수 산업체 논문상은 학술적 기여도와 산업적 응용 가능성, 연구의 혁신성 및 실용적 가치 등을 기준으로 엄격한 심사 과정을 통해 선정된다. 이 논문은 대규모 소프트웨어의 테스트 과정에서 문제로 남아 있는 불안정한 테스트(flaky test) 검출에 대한 독창적인 기법을 제시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는 세계 최대 기업용 소프트웨어 공급사인 독일 SAP와의 협업을 통해 진행되었다. 불안정한 테스트(flaky test)는 코드의 결함 여부와 상관없이
2024-10-28우리 대학이 ‘산업체로부터 받는 연구비 세계대학순위’에서 세계 3위에 올랐다. 영국의 고등교육평가기관인 ‘THE’는 지난 3일(현지시간) 교수 한 명이 민간부문에서 받은 연구비를 조사한 결과인 ‘산업체 연구비 세계대학순위 20개 대학’을 자사 홈페이지에 발표했다. ‘산업체 연구비 세계대학순위’는 THE의 2015/2016년 세계대학평가 순위를 활용했으며, 순위는‘산업체 및 민간부문으로부터 받은 연구비’를 기준으로 선정됐다. 자료는 THE의 2015/2016년 세계대학평가 가운데 5개 이상의 대학을 가진 나라의 것만 활용했으며, 각 나라별 상위 5개 대학의 연구비만 검토했다. 독일의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LMU Munich)은 2013년 교수 당 39만 달러에 해당되는 연구비를 민간부문에서 지원 받아 전체 1위를 차지했다. 미국의 듀큐 대학은 교수 당 29만 달러로
2016-03-08- ▲교육여건 ▲연구실적 ▲산업체수입 등 3개 지표에서 1위 -우리 대학이 ‘개교 50년 內 세계대학평가’에서 2년 연속 세계 3위에 올랐다. 영국의 대학평가기관인 타임즈 고등교육(THE • Times Higher Education)은 4월 30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의 ‘2014년 설립 50년 이내 세계대학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평가에서 KAIST는 ▲교육여건 ▲연구실적 ▲산업체 수입 등 3개 지표에서는 1위를 차지했으나 논문 피인용도 점수가 낮아 종합순위에서 3위를 차지했다. THE는 △교육여건(30%) △연구실적(30%) △논문당 피인용수(30%) △ 국제화수준(7.5%) △산업체수입(2.5%) 등 5개 분야 13개 지표에 대해 상대평가를 실시해 점수를 산출한다. 1964년 이후 설립된 대학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평가에서는 100위권에 영국 소재 대학이 14개 대학, 호주 14개 대학, 미국 8개 대학이 이름을 올리는 등 영•미권 대학들이 강세를 보였으며, 한국
2014-05-02우리학교는 LIG넥스원(대표이사 구본상, 이효구)과 KAIST 국방무인화기술특화연구센터(UTRC, Unmanned Technology Research Center)에서 서남표 총장 및 LIG넥스원 이효구 사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 국방무인화분야 상호 연구협력을 약속하는 체결식을 5일 가졌다. KAIST UTRC는 2007년 방위사업청으로부터 국방무인화 기술 특화연구센터를 유치하여 서울대, 포항공대 등 14개 대학이 참여하는 가운데 5개 연구실에서 미래전장에서의 무인체계 운용에 대한 총 26개 과제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고, LIG넥스원은 국내 방산매출 1위 업체로 2010년 국방무인화 사업인 지상로봇 원격통제용 네트워크 기술, 사단 정찰용 UAV 사업을 수주 하는 등 무인화 사업의 선두 주자로 크게 활약하고 있다. 이번 MOU 체결을 통해 KAIST UTRC는 지상, 해상/수중, 공중 전 무인체계에 대한 기술을 LIG넥스원에 공유하고, LIG넥스원에서는 자문된
2010-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