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자로서의 학문적 성과, 행정가로서의 뛰어난 리더십 인정
- 오는 5월18일, 앨 고어 前 미국 부통령 등과 같이 수여
서남표(徐南杓, 72) 총장이 美 카네기 멜론 대학(CMU, Carnegie Mellon University)에서 과학기술분야 명예박사 학위를 받는다.학위수여는 오는 18일, 미국 피츠버그 소재 대학 교내의 게슬링 스터디움에서 열리는 이 대학의 제111회 졸업식에서 있게 된다.
카네기멜론대학은 최근 배포한 관련 보도자료에서 서남표 총장이 KAIST를 세계적인 대학으로 키우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뛰어난 교육행정가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 공장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부품 생산 공정의 발명가로 50개가 넘는 특허권을 보유할 정도로 학문적 성과를 이룬 과학자라고 명예박사 수여 배경을 밝혔다.
이번 카네기멜론대의 명예박사 학위 수여자는 徐 총장 외에 2007년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앨 고어(Al Gore) 前 미국 부통령, 미국 록히드 마틴사의 前 CEO 노만 어거스틴(Norman R. Augustine), 인터넷 서점 아마존 닷컴의 설립자 제프 베조스(Jeff Bezos), 스탠포드대 명예교수인 패트릭 주페(Patrick Colonel Suppes), 사회성 짙은 작품으로 유명한 흑인 판화가 겸 조각가 엘리자베스 캐틀릿(Elizabeth Catlett) 등 6명이다.
* 학생 수보다 컴퓨터 숫자가 더 많다고 알려진 카네기멜론대학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州) 피츠버그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이다. 1900년 카네기가 기증한 100만 달러와 피츠버그시(市)가 내놓은 토지를 기금으로 설립, 1905년 카네기공업대학으로 개교했다. 1967년 멜론연구소와 합병하여 카네기멜론대학으로 개칭했다. 재학생 1만명에 전임교수 숫자는 1,921명이다. 15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고, 영국 더타임스가 선정한 세계대학 종합순위에서 20위, 공과대학 부문에서 7위에 랭크돼 있다.
우리 대학은 항공우주공학과에서 ‘제21회 KAIST 조정훈 학술상’ 수상자로 국방과학연구소 이연관 박사(‘13 항공우주공학과 석·박사 졸업)를 선정했다고 13일 밝혔다. 그 외에도 우리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이동우 박사과정, 고려대 기계공학과 박선우 석사과정, 공주사대부고 김강민 학생 3명을 장학생으로 선발하였고 이들에게 13일 오전 본원에서 장학금을 전달했다. 국방과학연구소 이연관 박사는 국방 분야에서 유도탄과 관련된 연구와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국방 기술의 발전에 기여해 왔다. 국방 기술의 공개 제약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도 허가된 범위의 총 23여 편의 SCI급 논문 등재, 26건의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하였고, 방위사업청 잠수함 발사유도탄 개발 유공상(`23), 다수의 국방과학상, 방위사업청장 표창(`18), KAIST 연구 우수상 수상(`12) 등 잠재된 우수한 연구 역량을 입증했다. 특히, 이 박사는 고체연료 발사
2025-05-13우리 대학은 14일 열리는 2025년도 학위수여식에서 부영그룹 이중근 회장에게 명예경영학 박사 학위를 수여한다. 명예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는 이중근 회장은 국내 주거복지와 교육·문화 발전을 선도하는 대표적인 종합건설회사인 부영그룹을 이끌어온 기업가이다. 우리 대학은 “이중근 회장은 국내 과학기술 발전과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헌신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장학금과 교육시설 지원을 비롯해 국내외 교육․문화․보훈․해외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한 공로를 인정받아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한다”라고 밝혔다. 이 회장은 KAIST 학생들이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학업과 연구에 매진할 수 있도록 2024년 KAIST에 노후 기숙사 4개 동을 전면 리모델링하는데 200억 원 상당을 기부했다. 학생들의 요청이 가장 많았던 4개 동은 순차적으로 연구 환경개선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나눔관은 리모델링 공사가 완료되어 기부자의
2025-02-14우리 대학은 14일 오후 2시 대전 본원 류근철스포츠컴플렉스에서 2025년도 학위수여식을 개최한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박사 785명, 석사 1,643명, 학사 716명 등 총 3,144명이 학위를 받는다. 이로써 KAIST는 지난 1971년 설립 이래 박사 17,313명을 포함해 석사 41,566명, 학사 22,277명 등 총 81,156명의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배출하게 된다. 이찬규(전산학부)씨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으며, 이사장상은 필리핀 유학생인 랜스 그라가신(Lance Khizner Dabu Gragasin, 생명화학공학과)씨가 수상한다. 총장상은 양서영(생명과학과)씨, 동문회장상과 발전재단 이사장상은 배가현(산업디자인학과)씨, 김부연(기계공학과)씨가 각각 받는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우수 졸업자에게 상을 수여하고 축사를 할 예정이다. 졸업생 대표 연설은 배움은 경쟁이 아닌 협력이라는 나눔의 가치를 실천해온 김민재(신소재공학과)씨와
2025-02-13이광형 총장이 북미 프랑스어권 최고 대학으로 손꼽히는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교(Université de Montréal)의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총장은 컴퓨터 과학, 생물학, 나노기술 등을 종합한 다학제적 접근법을 개척한 공로를 인정받아 몬트리올대학교 명예박사 학위 수여자로 선정됐다. 이번 명예박사 학위 수여는 몬트리올대학교의 부속 대학이자 캐나다 최대의 공학 교육 및 연구기관 중 하나인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Polytechnique Montreal)의 추천을 통해 추진됐다. 모드 코헨(Maud Cohen)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 총장은 "이 총장의 총체적이고 다학제적이며 미래지향적인 비전은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이 추구하는 것과 동일한 가치를 구현하고 있으며, 그간의 활동으로 미래 세대를 위해 헌신한 것에 대한 보답으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한다"라고 설명했다. 이 총장의 명예박사 학위 수여는 현지 시각으로 15일 열린 폴리테크니크트리올의 학위
2024-06-16‘제20회 KAIST 조정훈 학술상’ 수상자로 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박동훈 교수가 선정됐다. 우리 대학은 박동훈 교수 외에 우리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뱅쌍 마리오 피에르 우골리니(Vincent Mario Pierre Ugolini) 박사과정,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노도원 석사과정,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엄문영 학생 3명을 장학생으로 선발하고 이들에게 13일 오전 KAIST 본관 4층 제2회의실에서 장학금을 전달했다. 박동훈 교수는 극초음속 비행체가 대기 중을 비행할 때 발생하는 경계층 현상에 대한 실험 및 이론적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 연구는 현재 세계적인 관심사인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에 응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박 교수는 이 분야에서 극초음속 유동의 안정성을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자력으로 개발하여 국내 관련 기술 기반 확보에 기여했다. 박 교수는 관련 분야에서 최근 5년간 다수의 논문을 해외 유수 학술지에 게재했다.
2024-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