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대학이 지난 17일 SK(주) C&C와 2018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이하 K-MOOC)를 위한 사업 협약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올해 말 K-MOOC에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묶음강좌를 개설한다. 체계적인 기본 이론 학습은 해당 분야의 독자적인 전문성을 확보한 우리 대학이 책임지고, 소프트웨어 개발 실습 등의 학습은 ICT 서비스를 제공하는 SK(주) C&C가 담당한다.
학계와 기업이 연합하여 소프트웨어 공학의 이론과 실무를 묶어내는 강좌를 공동 개발하는 방식이며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소프트웨어 분야의 역량 강화와 인재 양성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묶음강좌에는 KAIST 전산학부 배두환, 백종문, 강성원, 고인영, 김문주, 유신 교수와 SK(주) C&C 통합품질혁신팀 한정헌, 유해식, 이정민, 차일환 수석이 참여한다.
교육과정은 1)소프트웨어 공학: 왜, 무엇을, 어떻게? 2) 클라우드 서비스 아키텍처 3) 소프트웨어 테스팅 4) Microservice 설계 및 구현 5)오픈소스 활용 DevOps 환경 이해로 구성된다. 총 5개 강좌를 통해 소프트웨어 이론과 실제 프로젝트 현장의 전문성을 모두 담아낼 계획이다.
이태억 KAIST 교육원장은 “우리 대학의 전문 지식과 SK㈜C&C의 현장 실무 경험을 무상으로 공유하는데 의의가 있다”며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설계 및 개발 역량을 한 단계 높이고 국민 모두에게 소프트웨어 교육의 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하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오선관 SK㈜ C&C 역량개발본부장은 “양 기관이 협력하여 개발하는 묶음강좌는 클라우드 기반의 시스템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에 도움을 줄 것” 이라고 말했다. 또한, “국내 최고 연구중심대학인 KAIST와 함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산업 전반의 디지털 혁신 가속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협약은 지난 7월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주관하는 2018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묶음강좌 운영 사업에 우리 대학과 SK(주) C&C가 공동 개발하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강좌가 선정된 것을 배경으로 체결됐다.
우리 대학이 오는 16일(목) 서울 코엑스 2층 아셈볼룸에서 '제 3회 KAIST 스타트업 테크 플라자(Startup Tech Plaza)’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KDB산업은행과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벤처기업협회 등이 공동 주최하는 ‘넥스트라이즈 2022, 서울(NextRise 2022, Seoul)’ 박람회와 함께 진행한다. 올해로 세번째를 맞는 ‘KAIST 스타트업 테크플라자’는 국내·외 최첨단 기술·기업·인재 간 만남을 통해 KAIST 기술창업가를 육성하고 장려하고자 추진됐다. 그간 학교 내부 행사로 운영하였으나 올해는 글로벌 스타트업 박람회인 ‘넥스트라이즈 2022, 서울’ 과의 협력을 통해 행사 규모를 대폭 확대하여 개최한다. 더 많은 벤처 생태계 구성원과 최신 창업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개방을 통해 외부 협력의 폭을 넓히고자 함이다. 16일
2022-06-15우리 대학이 글로벌 기술 패권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한국의 첨단기술 경쟁력과 기술혁신 대응 전략을 논의하는 온라인 국제 포럼을 개최한다. '글로벌 기술 패권 시대 전략 대전환'을 주제로 열리는 제5회 'GSI-2021 국제포럼'은 KAIST 글로벌전략연구소(소장 손훈, GSI: Global Strategy Institute, 이하 GSI)가 주최하고, KAIST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와 KAIST 혁신전략정책연구소가 공동으로 주관한다. 이번 포럼은 기술 경쟁의 승패가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정세 속에서 글로벌 기술경쟁에 대한 기술정치학적 상황을 파악하는 것과 동시에 기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우리나라의 전략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이를 위해 국제적으로 저명한 국내·외 연사를 초청해 ʻ글로벌 안보 외교-과학기술중심의 새로운 글로벌 패러다임ʼ, ʻ새로운 기술지정학적 패러다임과 국가 전략의 대전환ʼ 등 두 가지 주제를 놓고 심도 있게 논의할 예
2021-10-22우리 대학 김재철AI대학원 서민준 교수 연구팀(오한석 석사과정)이 마이크로소프트가 주최한 AI 영상 인식 대회(VALUE Challenge 2021, 이하 밸류 챌린지) 영상 검색 트랙(Video Retrieval Track)에서 텐센트, 카카오, 컬럼비아 대학 등 우수한 팀들을 제치고 우승했다. 이 대회에는 영상 AI 분야 스타트업 트웰브랩스(대표 이재성) 이승준 CTO와 함께 참여했다. 이번 밸류 챌린지는 컴퓨터 비전 분야 권위의 학회인 ICCV(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의 행사 중 일환으로 진행된 대회로 영상에 대한 인공지능의 이해능력을 평가하는 세계 최초의 비교·평가 대회로, 올해 6월부터 9월까지 진행되었다. 밸류 챌린지에서는 3개의 트랙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이 중 영상 검색 트랙에서는 7만4천 개의 특정 분야에 치우치지 않은 다양한 동영상에 담긴 시각 및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주어진 문장에 해당되
2021-10-20우리 대학은 10월 29(목) 오전 10시부터 대전 본원 캠퍼스 KI빌딩 퓨전 홀에서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일상은 물론 산업 전반에 걸친 미증유의 불확실성 시대에 직면한 세계의 현실을 엄중히 진단하고 성찰하기 위해 <리스크 지수 2020: 코로나 위기와 ʻ멋진 신세계ʼ(The Risk Quotient 2020: COVID-19 Pandemic and A Brave New World)> 콘퍼런스를 개최한다. 리스크 지수 콘퍼런스는 싱가포르국립대 리스크공공이해연구소(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Lloydʼs Register Foundation Institute for the Public Understanding of Risk, 이하 IPUR)가 2018년부터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정책 결정자와 대중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매년 개최하고 있다. 올 콘퍼런스는 KAIST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센터장 김소영, KAIST Korea
2020-10-23우리 대학 AI대학원 김기응 교수 연구팀(홍성훈, 윤든솔 석사과정, 이병준 박사과정)이 인공지능 기반 전력망 운영관리 기술을 겨루는 국제경진대회인 'L2RPN 챌린지(Learning to Run a Power Network Challenge 2020 WCCI)'에서 최종 1위를 차지했다. 이 대회는 기계학습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각종 경진대회를 주관하는 비영리단체 ChaLearn, 유럽 최대 전력망을 운영관리하는 프랑스 전력공사의 자회사 RTE(Réseau de Transport d'Électricité)社 및 세계 최대 규모의 전력 회사 SGCC(State Grid of China)의 자회사인 GEIRI North America(Global Energy Interconnection Research Institute)에서 공동주최해, 세계 각국의 약 50팀이 약 40일간 (2020.05.20.~06.30) 온라인으로 참여해 성황리에 마감됐다.
2020-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