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연구

전자의 눈으로 본 분자의 놀라운 변신: 이온의 생성 순간과 탈바꿈의 비밀을 밝히다​
조회수 : 1645 등록일 : 2024-01-11 작성자 : 홍보실

(왼쪽부터) 화학과 이효철 교수, 김도영 박사과정, 화학과 졸업생 허준 박사

< (왼쪽부터) 화학과 이효철 교수, 김도영 박사과정, 화학과 졸업생 허준 박사 >

우리 대학 화학과 이효철 교수(IBS 첨단반응동역학 연구단) 연구팀은 기체 상태 이온의 탄생과 변화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연구는 메가전자볼트 초고속 전자 회절 기법을 활용해 분자 이온이 형성되는 순간부터 이온 내 원자들의 위치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데 최초로 성공한 것으로, 이온 화학 분야에서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했다.

이온은 실생활에서부터 우주 공간까지 도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소금이 나트륨 이온과 염화 이온으로 분해되어 물에 녹으면, 짠맛을 내고, 몸으로 흡수된 나트륨 이온과 염화 이온은 신경전달과 근육의 움직임을 조절하며, 태양에서는 기체상의 이온의 집합인 플라스마를 통해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지구에 빛과 에너지를 전달한다. 일상에서 가장 흔하게 접하는 이온의 예는 리튬 이온 배터리인데, 스마트폰, 노트북, 전기 자동차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 배터리는 리튬 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하면서 전기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이처럼, 이온은 우리 생활 곳곳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온의 변화 과정과 구조적 특성, 나아가 동역학을 이해하는 것은 과학과 기술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이온이 형성되는 순간과 이온의 분자 구조 및 형태 변환은 실험적 어려움으로 인해 충분히 탐구되지 못했다. 특히, 기체 상태에서 이온의 구조적 동역학을 포착하는 것은 더욱 도전적인 과제였다.

연구진은 이전에 분자결합이 끊어지는 순간(Science, 2005)과 화학결합을 통해 분자가 탄생하는 순간(Nature, 2015), 그리고 화학 반응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 과정의 분자 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관측한 바 있으며(Nature, 2020), 이번에 세계 최초로 기체상 이온의 생성 순간과 구조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1,3-다이브로모프로판(DBP)에서 유래한 양이온의 생성 및 구조적 변환을 면밀히 관찰했다. 실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 분자의 양이온이 생성된 후 구조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구조적 암흑 상태에 머무르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 상태는 약 3.6 피코초(1 피코초는 1조 분의 1) 동안 지속되었으며, 이후 양이온은 네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고리 구조를 가지며, 느슨하게 결합된 브롬 원자를 포함하는 특이한 중간체로 변환되었다. 최종적으로, 느슨하게 붙어 있던 이 브롬 원자는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고, 남은 부분은 세 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고리 구조를 가진 브로모늄 이온을 형성했다. 이온은 높은 반응성을 보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 존재하기 힘들고, 선택적인 생성이 힘들기 때문에 이온이 보이는 구조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것은 그 중요성만큼이나 힘든 일이었다. 이번 연구는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양이온의 생성부터 구조적 변환 과정 모두를 밝혀냄으로써 이온 화학종의 연구에 있어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한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그림 1. 다이브로모프로판 분자에 대한 메가전자볼트 초고속 전자 회절 실험의 구성도. 실험을 위해 다이브로모프로판 분자에 강렬한 펨토초 자외선 레이저 펄스를 조사하여 공진강화 다광자 이온화를 유도했다. 메가전자볼트 초고속 전자 회절의 피코초 및 옹스트롬 시공간 분해능은 이온화된 다이브로모프로판의 초고속 구조변화를 직접 시각화할 수 있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온화 전후의 다이브로모프로판 분자 구조는 초고속 전자 펄스가 만들어내는 시간에 따른 회절 패턴을 측정함으로써 관찰되었다. 이온화 이전에는 분자가 중성 상태로 유지되며, 대부분의 전자 펄스가 직선으로 이동한다. 이 중 일부 전자는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대칭적인 회절 무늬를 생성한다. 반면에 분자가 이온화된 후에는 전자빔이 생성된 이온에 의해 편향을 겪어 비대칭 회절 무늬가 생성된다. 이때 나타나는 산란 패턴은 생성된 이온의 구조 및 이온의 양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다.

< 그림 1. 다이브로모프로판 분자에 대한 메가전자볼트 초고속 전자 회절 실험의 구성도. 실험을 위해 다이브로모프로판 분자에 강렬한 펨토초 자외선 레이저 펄스를 조사하여 공진강화 다광자 이온화를 유도했다. 메가전자볼트 초고속 전자 회절의 피코초 및 옹스트롬 시공간 분해능은 이온화된 다이브로모프로판의 초고속 구조변화를 직접 시각화할 수 있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온화 전후의 다이브로모프로판 분자 구조는 초고속 전자 펄스가 만들어내는 시간에 따른 회절 패턴을 측정함으로써 관찰되었다. 이온화 이전에는 분자가 중성 상태로 유지되며, 대부분의 전자 펄스가 직선으로 이동한다. 이 중 일부 전자는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대칭적인 회절 무늬를 생성한다. 반면에 분자가 이온화된 후에는 전자빔이 생성된 이온에 의해 편향을 겪어 비대칭 회절 무늬가 생성된다. 이때 나타나는 산란 패턴은 생성된 이온의 구조 및 이온의 양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다. >

연구진은 기존보다 더 빠르고 작은 움직임을 볼 수 있도록 향상된 메가전자볼트 초고속 전자 회절 실험 기법과 새롭게 고안한 신호 처리 기술 및 구조변화 모델링 분석기법을 통해 기체상 분자의 이온화 과정과 그에 따른 구조변화를 실시간으로 포착했다. 한 가지 종류의 이온을 실험에서 관측 가능할 정도의 양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한데, 연구팀은 이를 위해, 공명 증강 다광자 이온화 기법을 적용하여 중성 분자에서 전자를 하나 제거하여 양이온을 생성하였다. 이 이온화 과정은 분자를 섬세하게 이온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화합물이 무작위로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하는 특정 이온을 대량으로 생성하게 한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분자 이온의 구조적 변화를 정밀하게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라 기대하였는데, 이번 연구에서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 생성된 기체 이온은 바로 구조변화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형태를 유지하다가 급격한 변화를 보이며, 나아가 화학적으로 가장 안전한 고리 형태의 분자가 형성됨을 규명했다.

그림 2. 2차원 회절 이미지 및 등방성 및 비대칭 성분 분해 결과. 이온화 직후의 시간 변화에 따른 2차원 차이 회절 이미지와 이로부터 분리해낸 등방성 및 비대칭 신호 성분을 나타낸 그림. 생성된 이온에 의한 전자빔의 편향으로 인해 방위각에서 산란 이미지에 비대칭성이 나타난다. 각 비대칭 이미지는 등방성 성분과 비대칭 성분으로 분해되었다. 이때 나타나는 각각의 등방성 신호와 비대칭 신호의 크기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구조변화가 4 피코초 가량의 지연을 보이며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그림 2. 2차원 회절 이미지 및 등방성 및 비대칭 성분 분해 결과. 이온화 직후의 시간 변화에 따른 2차원 차이 회절 이미지와 이로부터 분리해낸 등방성 및 비대칭 신호 성분을 나타낸 그림. 생성된 이온에 의한 전자빔의 편향으로 인해 방위각에서 산란 이미지에 비대칭성이 나타난다. 각 비대칭 이미지는 등방성 성분과 비대칭 성분으로 분해되었다. 이때 나타나는 각각의 등방성 신호와 비대칭 신호의 크기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구조변화가 4 피코초 가량의 지연을 보이며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 연구는 분자 이온의 구조적 동역학을 실시간으로 관찰한 최초의 사례이다. 연구팀은 메가전자볼트 초고속 전자 회절을 활용하여, 기체 상태에서 이온의 미세한 구조변화를 세밀하게 포착할 수 있었다. 이 실험 기법은 고해상도 공간 및 시간 분해능을 제공함으로써, 이온이 생성되는 순간부터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는 전 과정을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공명 증강 다광자 이온화 기법을 통해, 분자의 이온화 과정을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원하는 특정 이온을 대량으로 생성하고, 그 구조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이온의 세밀한 구조적 특성과 동역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연구는 기체 상태의 이온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화학 반응의 메커니즘, 물질의 특성 변화, 그리고 우주 화학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한다. 이는 이온 화학 분야뿐만 아니라, 관련 과학기술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3. 공진강화 다광자 이온화 과정에 따른 다이브로모프로판의 전반적인 구조 동역학. 실험을 통해 연구진은 처음에는 약 3.6 피코초 동안 아무런 구조적 변화가 관측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15 피코초의 시간 상수를 가진 반응중간체인 아이소-다이브로모프로판 양이온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아이소-다이브로모프로판 양이온 내의 느슨하게 결합된 브롬 원자가 탈출하여 77 피코초의 시간 상수로 브로모늄 모노브로모프로판 양이온이 생성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고립된 이온이 안정화되는 과정을 직접적으로 관찰하였으며, 이때 나타난 최종 생성물이 유기반응 중간체로도 많이 알려진 브로모니움 형태를 가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그림 3. 공진강화 다광자 이온화 과정에 따른 다이브로모프로판의 전반적인 구조 동역학. 실험을 통해 연구진은 처음에는 약 3.6 피코초 동안 아무런 구조적 변화가 관측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15 피코초의 시간 상수를 가진 반응중간체인 아이소-다이브로모프로판 양이온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아이소-다이브로모프로판 양이온 내의 느슨하게 결합된 브롬 원자가 탈출하여 77 피코초의 시간 상수로 브로모늄 모노브로모프로판 양이온이 생성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고립된 이온이 안정화되는 과정을 직접적으로 관찰하였으며, 이때 나타난 최종 생성물이 유기반응 중간체로도 많이 알려진 브로모니움 형태를 가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1 저자인 허준 박사는 "이번 발견은 이온 화학의 근본적인 이해를 한 단계 끌어올리며, 미래의 다양한 화학 반응 설계와 우주 화학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1 저자인 김도영 학생은 기초과학 분야의 발전에 있어 초석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좋은 연구를 하게 되어 기쁘고, 좋은 과학자가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열심히 연구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효철 교수는 과학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했지만, 아직도 우리가 모르는 것 물질세계의 경이로운 비밀이 많다. 이번 연구는 흔하지만 아직은 몰랐던 이온의 신비로운 현상을 하나 더 밝혀낸 것에 불과하다"라고 언급했다. 그리고 기초과학에 아낌없는 투자가 있었기에 작지만 의미 있는 이정표적 연구 성과를 낼 수 있었다. 앞으로도 R&D 예산이 효과적으로 지원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이온의 구조적 특성과 반응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제공하며, 향후 관련 분야의 연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Nature)지에 게재되었으며, 11101시에 온라인으로 공개되었다. 연구 논문의 제목은 "Capturing the generation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s of molecular ions"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