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생을 피땀으로 일군 300억 상당 부동산 KAIST 발전 기금으로 기부
- 최고의 과학기술인재 양성이 국가의 미래라는 신념으로 기부 결심
- 뇌졸중 털고 일어나 국민과 후학들에게 희망을 주고자 재산 기부
- 부안군 나누미 근농(根農)장학재단에도 10억원 기부, 기부의 삶 실천이 곧 예술
“KAIST가 내 꿈을 이뤄줄 것으로 믿는다. KAIST가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로 국민 모두가 잘 살 수 있는 나라를 만들어 달라!”
이는 김병호(金炳鎬, 68, 서전농원 대표) 회장이 평생 피땀 흘려 모은 300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KAIST 발전기금으로 기부하면서 남긴 말이다.
김 회장은 “17살에 76원을 들고 상경하여 서울에서 안 해본 일이 없다. 정말 지독하게 일하고 무섭게 절약했다. 무더운 여름날 단돈 1원을 아끼려고 남들이 다 먹는 사카린 음료수조차 사먹지 못했다.”고 자신의 어려운 시절을 회고했다.
이토록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김 회장의 형제에 대한 우애와 교육에 대한 신념은 남달랐다. 7남매의 장남으로 동생들의 학업을 뒷바라지하느라 정작 본인은 공부할 기회를 잃었지만 한 번도 자신의 처지를 비관한 적은 없었다. 김 회장은 아버님께서 돌아가시자 상을 치르고 남은 부의금을 친척들 자제의 장학금으로 내놓았다. 그 길만이 아버님의 마지막 가시는 길을 뜻있게 하는 일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또한, 자신처럼 교육의 혜택에 목말라 할 후학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 고향인 부안군 ‘나누미 근농(根農)장학재단’에 10억원의 장학금을 쾌척하기도 했다.
“버는 것은 기술이요, 쓰는 것은 예술이다.” 김 회장이 평소 가장 좋아하는 말이다. 이는 자신을 위해서는 단 돈 1원도 허투루 쓰지 않지만 후학들을 위해서는 거금을 쾌척하는 김 회장의 돈에 대한 철학이 가장 잘 집약된 말이다.
이번 기부 결정에는 부인 김삼열 여사와 가족들의 격려가 큰 역할을 했다. 김 회장이 처음 기부 의사를 비쳤을 때 가족들은 김 회장의 뜻을 흔쾌히 받아들인 것은 물론이고 오히려 이를 자랑스러워했다. 그도 그럴 것이 평소에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말씀해왔고, 아들 김세윤(까페 뎀셀브즈 대표)씨도 이 뜻에 따라 매달 일정금액을 유니세프 등에 후원금으로 기부하는 등 기부를 당연한 의무라고 생각하고 있다.
우리대학 관계자는 “김 회장님이 살아오신 삶을 듣고 많은 것을 배우게 됐다. 그렇게 힘들게 모으신 재산을 아무 연고도 없는 KAIST에, 오로지 국가의 미래를 위한 순수한 일념으로 기부해 주신 것에 깊이 감동받았다. 김 회장님은 우리 사회 전체가 본받아야 할 진정한 어른이시다. KAIST 모든 구성원이 회장님의 깊은 뜻을 마음에 새겨 최선을 다해 노력으로 보답하겠다. 김회장님의 숭고한 정신이 KAIST에 영원히 남아 후학들이 이를 본받아 큰 열매를 맺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 발전기금 약정식은 12일(수) 오후 4시 30분, KAIST 대강당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우측부터) 김철호 회장, 곽성현 이사장 부부, 신성철 총장 부부 및 (뒷줄) 주요 보직자들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세계적 혁신 대학을 꿈꾸는 신성철 총장의 비전과 리더십에 감동해 기부를 결심하게 됐습니다.” 한동안 뜸했던 KAIST에 대한 고액기부가 다시 이어져 큰 화제다. 우리 대학은 3일 오전 대전 본원 행정본관 제1 회의실에서 곽성현 한국링컨협회 이사장·김철호 아이팩(IIPAC) 회장 부부와 약 33만㎡(10만 평) 규모의 부동산을 학교 발전기금으로 기부하는 약정식을 가졌다. 곽성현 이사장은 故 곽명덕 前 대한변호사협회장과 故 한자영 前 대양산업개발 대표 사이에 장녀로 태어났다. 부친이 모친에게 남긴 성남시 분당 금싸라기 땅을 곽 이사장이 다시 모친으로부터 물려받아 KAIST에 기부한 것이다. 곽성현 이사장 부부가 기부한 토지는 시세를 고려할 때 최소 100억 원을 상회한다는 게 주변의 평가다. 곽성현 이사장
2019-07-03〈 이지현 교수 〉 우리 대학 문화기술대학원 이지현 교수가 15일 뉴질랜드 웰링턴에서 열린 컴퓨터 기반 건축 디자인 분야 국제학회 ‘CAADRIA 2019(the 24th 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에서 사사다 상(Sasada Prize)을 받았다. 건축 디자인 관련 세계 최고 학회 중 하나인 CAADRIA가 2007년 츠요시 사사다(Tsuyoshi Sasada, 1941-2005) 교수를 기리기 위해 제정한 사사다 상(Sasada Award)은 컴퓨터 보조 설계 차세대 연구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CAADRIA의 미션 중 하나이다. 해당 분야 커뮤니티에 지속적인 공헌을 하고 탁월한 연구 성과를 낸 연구자에게 수여된다. 수상자인 이지현 교수는 최민규, 김미래 석사과정, 이태하 박사과정과 함께 연구한 &ls
2019-04-19- “KAIST의 미래가 대한민국의 미래입니다” - - 미국 LA 700만 달러 부동산, 국가발전 위한 인재양성에 써 달라 기부 - 세계 최정상급 대학 반열에 우뚝 선 KAIST에 최근 낭보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7일 KAIST에 이름을 밝히지 않은 독지가가 현금과 주식, 채권 등 약 55억원 규모의 동산을 발전기금으로 쾌척한데 이어 11일 영국의 세계적인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한 ‘2012년 세계대학 평가’에서는 63위에 이름을 올려 71년 개교이후 41년만에 역대 최고의 성적을 달성했다. 특히 학교 핵심역량인 과학기술·공학분야에서는 세계 24위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14일에는 70대 노부인이 평생을 아껴 모은 80억원대의 재산을 학교발전 기금으로 기탁했다. 올 9월 한달에만 고액 기부자 2명이 모두 약 135억원의 동산과 부동산을 KAIST에 기부한 것이다. 최
2012-09-14["행복한 기부, 아름다운 동행" 카이스트 발전재단] 이란 제목의 기사가 인터넷 매체 NewDaily 2009년 12월 4일자에 게재됐다. 기사는 KAIST 발전재단 김수현 상임이사에 대한 인터뷰 기사와 함께 그동안 거액을 기부한 류근철 박사(578억 상당의 부동산과 소장품), 김병호 회장(300억 상당 부동산), 박병호 뷰로베리타스 회장(1,000만달러) 등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김수현 상임이사는 인터뷰에서 "많든 적든 정성껏 기부금을 내는 분은 "행복한 기부, 아름다운 동행"을 실헌하는 분들"이라며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제목: "행복한 기부, 아름다운 동행" 카이스트 발전재단 - 카이스트발전기금 적극 유치하고 관리운영 목적으로 설립 - 김수현 상임이사 "과학기술 발전 바라는 수천 기부자에 막중 책임감" 게재일: 2009년 12월 4일 매체: 인터넷매체 "NewDaily" (www.newdaily.co.kr)
2009-12-04경기도 용인의 서전농원 김병호 대표가 300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KAIST에 기부한 이래로 주요 매체에서 각종 사설과 칼럼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김병호 회장은 지난 2009년 8월 12일 자신이 평생 모은 재산 300억원을 과학기술 발전에 써달라며 KAIST에 기부하면서 "버는 것은 기술, 쓰는 것은 예술"이라며 그의 인생철학을 밝혀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준 바 있다. 다음은 김병호 회장의 발전기금 기부를 의미있게 다룬 각종 사설과 칼럼들 동아일보 사설(2009/08/14) - [사설] "가난의 대물림" 끊어줄 기부와 장학금 동아일보 사설(2009/08/14) - [사설] 300억 재산 쾌척한 김대표 가족의 나눔정신 세계일보(2009/08/14) - [설왕설래] "버는 것은 기술, 쓰는 것은 예술" 문화일보(석간) 사설(2009/08/13) - [사설] "버는 건 기술, 쓰는 건 예술"
2009-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