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2.0 특강 컨텐츠 공유를 위한 블로그 개설 http://webtwo.kaist.ac.kr
KAIST(총장 서남표) 정보미디어 경영대학원은 봄학기에 개설된 웹2.0 특강 프로그램을 위해 블로그에 컨텐츠를 공유하고 웹2.0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였다.
웹2.0 특강은 학술적이고 이론적인 접근과 함께 현업에서 현재 진행 중인 다양한 프로젝트와 시장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교육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아직 학문적으로 이론이 정립되지 않았으나 시장의 수요가 매우 큰 web 및 mobile 분야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진행하는 방식이다. 특히 최근 대두되고 있는 web2.0 관련 기술, 동향, 문화, 정책 및 시장에 대해 강의하고 토론할 수 있는 전문가들을 우선적으로 초청하였다.
이 블로그에는 특강의 동영상 및 설명글이 포함되어 있다. 강의 중 하이라이트 동영상 및 교수님과 조교의 코멘트가 함께 제공된다. 웹2.0에 관심 있는 학생들과 교수들에게 양질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각 강의마다 의문점이나 기타 의견들을 코멘트로 달면 교수, 담당 조교 및 다른 참여자들이 함께 의견을 나눌 수 있다.
담당 교수: 김성희 교수님, 차동완 교수님, 류중희 교수님, 한재선 교수님
담당 조교: 박진우, 정대진, 성경은특강
내용:
1. Trends & Internet: Market and Technology
① Web2.0 overview (KTH 조산구 상무님)
② Collective Intelligence (Mar.gar.in PRAK 대표님)
③ UCC (KBSi 김장호 팀장님)
④ Blog (T&C 노정석 대표님)
⑤ Copyright and CCL (CCK 윤종수 판사님)
⑥ Long-tail (이노무브 장효곤 대표님)
⑦ Search2.0 (검색엔진마스트 전병국 대표님)
2. Web2.0 and Beyond
① Web2.0 & Convergence (경희대학교 이경전 교수님)
② Web2.0 & Business (더블트랙 박수만 대표님)
③ Social Computing (Opinity AP 한상기 대표님)
④ Web2.0 & Media (건국대학교 황용석 교수님)
⑤ Attention Economy (태우’s log 김태우 님)
⑥ Mobile Web2.0 (ETRI 전종홍 선임연구원님)
우리 대학은 한국교원대학교와 과학기술 인재 양성 및 교육 생태계 혁신을 위하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대학은 ▲교육과정 공동개발 및 운영 ▲공동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학점 상호 인정 ▲한국과학영재학교(AI 바이오) 설립과 교육을 위한 협력 ▲미래과학 인재 양성을 위한 유·초·중등 교육 협력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우리 대학과 한국교원대는 국가 미래를 이끌어갈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 기반을 구축하게 되며, 나아가 초·중등 교육부터 고등교육에 이르는 교육 생태계 전반의 혁신을 도모할 계획이다. 협약식에 참석한 이광형 총장은 “KAIST의 과학기술 전문성과 한국교원대의 교육 전문성이 결합하여 우리 교육의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AI 바이오 분야 인재를 조기 양성하는 한국과학영재학교 설립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미래를
2025-04-30우리 대학은 케냐 콘자혁신도시에서 개최된 케냐과학기술원 캠퍼스 완공식(4월11일)에 이어, 28일 현장인수증명서를 발급하여 약 10년에 걸쳐 추진해 온 케냐과학기술원 건립 사업의 1단계가 사실상 완료*하였다. * KAIST가 케냐과학기술원 건립 컨설팅 주관기관으로 케냐 정부 발주처인 정보통신디지털경제부에 캠퍼스 준공을 확인하는 현장인수증명서(Taking-Over Certificate)를 발급함 케냐과학기술원(Kenya-AIST)은 KAIST가 축적한 과학기술 교육의 노하우를 현지의 필요에 맞춰 구현한 아프리카형 고등교육 모델이다. 과학기술 중심 고등교육기관 설립을 목표로 하는 우리 정부의 해외원조 사업으로, 2019년부터 한국수출입은행 대외경제협력기금(유상차관)을 통해 본격 추진됐다. 우리 대학은 2014~2015년 한국수출입은행이 발주한 타당성 조사 기관으로 선정되어 사업 전반의 기획을 담당했고, 이후 2019년 케냐 정부가 발주한 케냐과학기술원 건립을 위한 컨설팅 사업을
2025-04-28“케이던스 사의 통 큰 기부에 감사드리며, 대한민국 AI 인재 100만 명 양성이라는 원대한 목표 달성과 세상을 혁신할 반도체 연구 실현에 앞장서겠습니다”(이광형 총장) 우리 대학은 미국 소프트웨어 기업인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 코리아(Cadence Design Systems, 이하 케이던스)가 반도체 설계 특화 장비인 ‘케이던스 팔라디움 제트원(Cadence Palladium Z1)’*을 우리 대학에 기증한다고 밝혔다. *팔라디움 제트원: 반도체 설계 검증을 위한 초고성능 에뮬레이터 장비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검증 및 디버깅 작업을 1개의 랙 당 5.76억 게이트까지 대용량으로 구현 가능함. 동 장비를 통해 SoC(System On Chip) 개발 단계에서 설계 검증을 더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음. 케이던스는 1995년 반도체설계교육센터(IDEC) 설립 이후 우리 대학에 EDA(Electronic Design Automati
2024-12-17우리 대학이 ‘대학 연구보안교육 협의회 워크숍’을 10일(목) KAIST 대전 본원에서 개최한다. 올해로 3년 차를 맞은 이번 워크숍은 대학의 연구 보안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연구보안교육 혁신 성과를 공유하고 다양한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열리는 행사에는 KAIST 등 과기특성화대학, 이화여대 등 57개 대학과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이하 KIRD),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하 KISTEP) 관계자 등 100명이 참석한다. 우리 대학은 ‘찾아가는 연구실 보안컨설팅 사업(이하 보안컨설팅)’ 시행 성과와 ‘랩매니저(랩장) 연구보안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그리고 최근 개정된 ‘KAIST 연구보안 관리지침’ 사례를 통해 연구보안 규정의 정비·개선 방안을 발표한다. KIRD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연구보안교육 콘텐츠 성과를 소개하고,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고자 하는
2024-10-10우리 대학이 ‘2024 KAIST 과학영재교육 포럼(GESF: Gifted Education in Science Forum)’을 이달 27일 온·오프라인에서 동시에 개최한다. 과학영재교육연구원(원장 홍승범)에서는 ‘과학영재교육 재도약을 위한 발전 전략 모색’이라는 대주제 아래 연이은 포럼을 개최해 왔다. 과학영재교육의 성장을 위한 미래의 방향을 보다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논의하고 설정하려는 취지다. 올해 5월과 7월에 각각 ‘과학영재교육, 왜 해야 하나?’와 ‘과학영재교육 체계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1·2차 포럼을 진행해 영재교육 전문가 및 전국의 초·중·고 학생 및 교사, 학부모 등이 참여했다. 27일 열리는 이번 포럼에서는 “고교 과학영재교육은 어떻게 해야 하나?”를 주제로 과학영재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현안을
202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