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사 203명, 석사 688명, 학사 388명 등
총 1,279명의 고급 과학기술인력 배출
KAIST(총장 : 洪昌善)는 오는 2월 20일(금) 오전 11시(석박사)와 오후 3시 30분 (학사 / 내빈참석) 두 차례에 걸쳐 2003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하였다.
노무현 대통령 내외를 비롯하여 오명(吳明) 과학기술부 장관, 프랑스와 데스쿠엣(Francois Descoueyte) 주한 프랑스 대사, 알랑 스톡(Alain STORCK) 프랑스INSA(국립응용과학원) 총장, 대덕연구단지내 정부출연기관장 등의 내빈이 참석한 가운데 대강당에서 개최되는 이날 학위수여식에서는 박사 203명, 석사 688명, 학사 388명 등 1,279명의 고급 과학기술인력이 배출되었다. 이로써 KAIST는 지난 ’71년 설립이래 박사 5,583명, 석사 15,489명,학사 6,914명 등 총 2만7천986명의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배출하게 되었다.
또한「20대 박사의 산실」이기도 한 KAIST는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도 박사학위 수여자 203명 중의 40.4%인 82명이 20대 박사인 것으로 집계되었다.(KAIST 출신 박사 총 5,583명 중의 43.8%인 2,446명이 20대 박사임)
이번 졸업생 중 최연소 박사는 생명과학과를 졸업하는 임정훈(林靖勳, 만 26세, 1977년 4월 22일생)씨며, 학위논문제목은 “카포시 육종 허피스 바이러스의 잠복성 DNA복제에 관한 연구”(지도교수 : 생명과학과 崔俊豪 교수)이다. 林씨는 졸업후 KAIST 생명과학과에서 포스트닥으로 근무할 예정이다.
외국인 박사학위 수여자는 이디오피아 출신의 메브라투(물리학과, 38, 지도교수 : 愼重勳 / 논문제목 : “카본이 도핑된 수소화된 비정질 실리콘의 희토류원소 도핑에 관한 연구”)씨와 중국 출신의 주밍지(생명화학공학과, 33, 지도교수 : 鄭寅載 / 논문 제목 : “유화중합방법을 이용한 스티렌계 공중합체/실리케이트 나노복합체 제조 및 그 물성에 관한 연구”)씨 등 2명이다.
‘신의 손’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연구, 실험에서 뛰어난 실력을 발휘하였을 뿐만 아니라, 늘 성실한 자세로 학업에 매진하여 지도교수를 비롯한 선후배, 동료들로 부터 칭송을 한몸에 받아 왔던 생명화학공학과 한미정(韓美正, 29세, 여)씨는 최근 생명공학분야 포스트게놈시대에 매우 중요하게 떠오르는 단백체분야 연구로 박사학위(논문제목 : “재조합 대장균 균주 개발에서의 단백체 분석과 그 응용에 관한 연구” / 지도교수 : 생명화학공학과 李相燁 교수)를 받게 되는데, 韓씨의 연구는 대장균의 단백체를 이차원 전기영동장치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질량 분석기와 생물정보학 기법을 이용한 분석을 통해,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대사 및 생리상태를 총체적인 시스템 수준에서 이해하고 응용하는 것이다. 韓씨의 이러한 연구 성과는 단백체분야와 미생물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미국 미생물학회지(Journal of Bacteriology), 미국 응용 및 환경 미생물학회지(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프로테오믹스지(Proteomics) 등 해외저명 학술지에 게재되었으며, 실제 재조합 단백질을 비롯한 바이오제품의 생산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략, 정제 및 분리 공정에 대한 개발을 특허 출원하였다.
특히 단백체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기술인 향상된 이차원 전기영동 기술 개발에 대한 특허는 곧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 韓씨는 졸업 후 당분간 KAIST 이상엽교수 연구실에서 포스트닥으로 단백체연구를 이끌 예정이며, 대장균 뿐만 아니라 인체질환에 대한 단백체 연구로부터 각종 암 및 전염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을 발굴하여 질병진단 및 신약 개발을 목표로 연구에 매진할 예정이다.
“우리 대학은 전산학 전문지식이 부족한 개발자의 역량 개발부터 전문 고급 인력양성까지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며, 대한민국 AI 인재 100만 명 양성을 위한 원대한 목표 달성을 위해 앞장서 왔습니다. 대통령 표창이라는 쾌거를 이룬 데에 힘써주신 모든 구성원께 감사드립니다.” (이광형 총장) 우리 대학이 2일(월)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2024년 소프트웨어 산업인의 날’ 기념식에서 소프트웨어 산업발전 유공 단체 부문에 선정되어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고 3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가 주관하는 ‘소프트웨어 산업인의 날’은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산업인의 위상을 고취하고 그 공로를 치하하고자 마련된 행사다. 매년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개발, 인력양성, 수출 증대 등에 공헌이 큰 유공자를 선발해 ‘소프트웨어 산업발전 유공 포상&rsquo
2024-12-02이광형 총장이 제7기 국가지식재산위원회(이하, 지재위)의 민간 위원장으로 위촉됐다. 지재위는 과학기술 분야의 특허, 문화·예술·콘텐츠 분야의 저작권을 포함해 다양한 지식재산을 창출·활용하기 위한 국가전략을 수립하고 정부 정책을 조율하는 대통령 소속 위원회이다. 정부 측 국무총리와 민간 측 이광형 총장이 공동으로 위원장 직무를 수행하며, 이 총장의 임기는 다음 달 1일부터 2년이다. 이 총장이 신임 위원장으로 위촉된 제7기 국가지식재산위원회는 간사를 맡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 13명의 정부위원과 19명의 민간위원으로 구성됐다. 이 총장은 KAIST 지식재산대학원 설립을 주도하고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분쟁해결선진화 특별위원장, 국회 대한민국 특허 허브 국가 추진위원회 공동대표, 국가지식재산위원, 특허법원 사법행정자문위원, 특허청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 기본계획 수립 추진단장 등의 직무를 수행하며 지식재산권의 중요성을 강조해왔
2024-07-29우리 대학이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부위원장 주형환, 이하 “위원회”)와 '저출생・고령화 공동대응'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1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저출생‧고령화라는 국가의 인구 위기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는 두 기관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추진됐다. 이를 위해,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첨단 기술 개발 및 관련 산업 육성과 저출생 위기 대응을 위한 다자녀 가정 대상 대입 전형 확산 노력을 중심으로 상호 협력한다. 현재 우리 대학은 초고령 사회를 포함한 미래 사회의 인류와 지구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인류 수명 증가에 대비한 ▴바이오, 인공지능, 로봇 등을 활용해 치매·대사·면역 등의 생체 기능 향상 기술 ▴근력·시력·청력 등 물리적 신체기능 향상 기술 ▴맞춤형 치료기술, ▴관련 의료기기 기술 등 고령인구의
2024-07-12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김홍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이태식), 한국정보방송통신대연합(회장 노준형)이 4월 22일 오후 14시에 국립과천과학관에서 개최한「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우리 대학 수리과학과 임보해 교수가 과학기술진흥 유공 대통령표창을 수상하였다. 「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은 제57회 과학의 날(4.21.)과 제69회 정보통신의 날(4.22.)을 맞아 과학기술·정보통신 진흥 및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유공자에 대한 정부포상을 통해 과학‧정보통신인의 자긍심‧명예심을 고양하고 대한민국 과학기술 및 디지털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 진흥 및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유공자를 포함하여 총 157명이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임보해 교수는 한국의 타원곡선 연구그룹 창설과 리더
2024-05-02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오준호 명예교수 겸 레인보우로보틱스 기술이사가 2022년 제18회 한국공학상(대통령상)을, 화학과 한순규 교수가 2022년도 제26회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한국공학상은 공학분야에서 세계 정상수준의 연구 성과를 이룩하고 국가경제 및 산업발전에 기여한 과학기술자에게 수여된다. 젊은과학자상은 만 40세 미만 중 연구개발업적이 우수한 자에게 수여된다. 시상식은 지난 12월 15일 열린 2022년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개막식에서 열렸다. 오 교수는 국내 최초로 인간형 로봇인 ‘휴보’(Hubo)를 개발한 우리나라 대표 로봇공학자로, 학술연구에서 국제적 인지도 확보, 상용화, 사업화, 기업공개(IPO)에 이르는 선순환 구조를 구현한 모범적 사례를 제시한 점을 인정받아 한국공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오 교수 연구팀은 2015년 DARPA Robotics Challenge에서 세계 최고의 로봇들과 경쟁하여 최종 우승한
2022-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