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 승 원 교수 〉
전기 및 전자공학부 신승원 교수 연구팀이 주도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보안 프로젝트인 델타(DELTA)가 지난 10월 10일 부터 16일 사이에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유럽 최대 네트워크 컨퍼런스 (SDN 월드 콩그레스)SDN World Congress 2016 에서 베스트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솔루션 쇼케이스로 선정됐다.
이 프로젝트는 신승원 교수 연구팀의 이승수 박사과정, 윤창훈 박사과정이 주도하고 있으며 영국의 퀸즈 대학과 협력해 진행하고 있다. 국내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전문 벤처기업인 아토리서치에서 실제 테스트와 검증을 담당하고 있다.
델타 프로젝트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의 주요 구성요소인 컨트롤 플레인 및 데이터 플레인 그리고 이 두개 구성요소를 잇는 컨트롤 채널에 각각 에이전트들을 설치하고 이를 관제하는 에이전트 매니저를 통해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을 자동으로 찾아내는 도구이다.
주요 타깃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에서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오픈플로 프로토콜과 해당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컨트롤러라고 불리우는 네트워크 운영체제, 그리고 오픈플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스위치 장비들에 대한 공격이다.
위와 같이 에이전트 매니저를 통해 각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자동으로 검증 테스트를 해주는 델타 도구를 통해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을 활용한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들 및 상용 제품들의 취약점을 자동으로 찾아낼 수 있어, 특히 보안이 요구되는 곳에서 많은 수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델타 프로젝트는 현재 세계 최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표준 단체인 오픈 네트워킹 파운데이션의 보안 프로젝트로 등록되어 있다. 이번 SDN World Congress 2016에 베스트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솔루션 쇼케이스로 선정되면서 델타 프로젝트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입증했다. 최근 오픈 네트워킹 파운데이션도 델타의 베스트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솔루션 쇼케이스 선정을 대대적으로 발표했다.
신승원 교수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관련 기술이 최근 매우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 아직 국내 주도로 진행되는 프로젝트가 거의 없다시피 하고 있다. 이에 본 수상은 국내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보안 기술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것으로, 한국이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보안 기술을 리드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고 말했다.
□ 그림 설명
그림1. 델타 프로젝트의 주요 구성요소인 에이전트 매니저와 에이전트들
- 하나의 분자 수준에서 두 단백질 상호작용 실시간 관찰 성공 -- 면역침강 기법의 측정한계와 시간분해능 십만 배 향상 - 우리 학교 물리학과 윤태영 교수 연구팀이 하나의 분자 수준에서 실시간으로 두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관찰하는 기술을 개발한 연구 결과가 ‘네이처 프로토콜스 (Nature Protocols)’ 10월 호에 초청 논문으로 게재됐다. 윤 교수 연구팀은 먼저 하나의 분자까지 관찰할 수 있는 형광현미경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분자생물학에서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면역침강기법’을 개발한 현미경과 접목함으로써 ‘실시간 단분자 면역침강기법’을 개발해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순간적으로 상호작용이 반복되는 두 단백질의 반응을 수십 밀리 초 단위에서 정밀하게 관측하는데 성공하였다. 기존의 면역침강기법은 두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검출하기 위해 최소 1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2013-11-25- 고부가가치 산업원료 생산 균주를 간편하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원천기술 확보 - 우리 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와 유승민 연구교수 연구팀은 나일론 등 산업에 필요한 원료를 만드는 미생물 균주를 친환경 방법으로 쉽고 빠르게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합성 조절 RNA’ 설계 원천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 프로토콜스(Nature Protocols) 9월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되어 8월 9일 게재(온라인판)됐다. ’합성 조절 RNA 설계 기술’은 기존에 산업 균주를 개량하거나,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미개척 산업 균주 개발‧개량에 광범위하게 적용이 가능하여 비천연 고분자를 포함한 다양한 화학물질, 원료, 의약품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발, 생산할 수 있는 핵심원천기술이다. 기존의 균주개발은 유전자 결실(knockout) 이라는 유전공학 기법을 이용하여 미생물 염색체 내의
2013-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