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회 KAIST ISPI 혁신 및 기업가정신 부트캠프 참여진 >
우리 대학 혁신전략정책연구소(ISPI, Innovation Strategy and Policy Institute, 책임교수 김원준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가 올해 10월 29일부터 12월 10일까지 `제3회 KAIST 혁신 및 기업가정신 부트캠프(KAIST ISPI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Boot Camp)'를 진행 예정이다.
혁신전략정책연구소(ISPI)는 경영·경제 분야의 전 세계 연구자 및 박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혁신경영 및 전략(Innovation Strategy and Policy), 창업전략(Entrepreneurial strategy), AI 혁신 및 경영전략(AI Innovation and Management Strategy) 등을 주제로 제3회 KAIST ISPI 부트캠프를 진행한다.
이번 제3회 KAIST ISPI 부트캠프에는 Pennsylvania 대학교 Wharton School의 데이비드 슈(David Hsu) 교수, Columbia 대학교 프랭크 리첸버그(Frank Lichtenberg) 교수, 매사추세츠공대(MIT) 스캇 스턴(Scott Stern) 교수, Bocconi 경영대학의 알폰소 감바르델라(Alfonso Garmbardella) 교수, Harvard 경영대학원의 홍루(Hong Luo) 교수, 대만 국립칭화대학 포솬슈(Po-Hsuan Hsu) 교수, KAIST 김원준(Wonjoon Kim) 교수 등 혁신 및 기업가정신(Innovation 및 Entrepreneurship) 연구 분야를 이끄는 국제 석학 및 연구자들이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Wharton School의 데이비드 슈 교수는 기업가정신·벤처캐피탈·혁신관리분야 세계적인 석학으로,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등 이 분야 주요 저널들의 편집장으로 활동 중이며, 이번 부트캠프에서 창업기업 재무·조직 분야 주요 연구 주제 및 방법론을 강의할 예정이다. Columbia 대학교 프랭크 리첸버그 교수는 헬스케어 분야 기술혁신 전략 연구의 저명 학자로, 부트캠프에서 “The impact of biomedical innovation on longevity and health” 제목으로 이론, 데이터, 방법론 등 바이오분야 혁신 연구를 강의할 예정이다.
매사추세츠공대(MIT) 경영대학원 스캇 스턴 교수는 기업가 전략(Entrepreneurial strategy) 분야 석학으로, 이번 부트캠프 3회차에서 급변하는 제도, 미시경제, 전략적 환경에서의 창업가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를 주요 주제로 다룰 예정이다. 이 외에도 Harvard 경영대학원의 홍루 교수는 “Risk perception, tort liability, and innovation”의 주제를, 국립칭화대학 포환슈 교수는 “Intellectual Property and Firm Performance”를, 마지막으로 KAIST 김원준 교수는 “AI, Firm Performance, and Strategy”를 주제로 강의할 예정이다.
기술경영학부 김원준 교수(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는 "KAIST가 전세계 석학과 박사과정 학생들 간 연구 교류를 통하여 혁신과 기업가정신 분야의 경영, 경제, 정책 연구의 중요한 허브로 발전해 나가고 있으며, 제3회 KAIST 혁신 및 기업가정신 부트캠프는 그 중요한 발판이 되고 있다ˮ고 밝혔다. 향후 전 세계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 및 협력을 위한 국제적 허브로서 역할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어, 김 교수는 "혁신 및 기업가정신 분야의 세계 저명 연구자들 간의 연구 교류를 통하여, 급변하고 있는 세계적 혁신의 패러다임에 대응하여 우리 경제사회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등대' 역할을 하는데 기여하겠다ˮ고 강조했다.
< 전체 포스터 >
우리 대학이 경영대학 글로벌공공조달연구센터 주도로 약 900억 원 규모의 미국 조달시장에 16개 국내 기술 혁신 기업을 진출시켰다. 해외공공조달은 국제기구, 국가기관 등에서 발주하는 공사·용역·물품 등이 거래되는 시장이며, 여러 국가와 기관들이 공개적이고 전문화된 절차를 통해 조달을 진행하는 방식이 국제입찰이다. 글로벌공공조달연구센터는 지난해 미국 현지 조달 기업인 웨스트캅(Westcarb Enterprises, Inc.)과 협력해 미국 매사추세츠 주정부에 실험실 물품 및 장비를 공급하는 국제입찰을 공동 기획했다. 의료용품, 진단장비, 실험실 장비 및 비품, 안전장비 등의 납품이 가능한 국내 기술 혁신 기업을 모집하고 제안서 작성을 총괄했다. 웨스트캅은 지난달 최종 주계약자로 선정됐다. 공급사로 참여한 16개 국내 기술 혁신 기업들은 매사추세츠 주정부 및 카운티 및 전역의 공공기관과 대학 등에 자사 제품을 납품할 수 있는 공급조달업체 자격을
2023-02-09가수 겸 배우 이승기 씨가 우리 대학에 3억 원의 발전기금을 기부했다. 이승기 씨는 “인재를 육성하는 귀한 곳에 기부할 수 있어서 영광이다"라는 소감과 함께 "우리나라가 교육 분야에서도 세계적으로 부강한 나라가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KAIST에 기부하게 되었다"라고 전했다. 우리 대학 관계자는 "지난해 말 이승기 씨가 직접 이광형 총장에게 연락해 기부 의사를 밝혀왔다"라고 설명하며, "기부자의 뜻에 따라 기부금 전액을 뉴욕캠퍼스 설립기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우리 대학은 지난 21년 KAIST 뉴욕캠퍼스 설립 계획을 밝힌 이후 지난해 뉴욕대·뉴욕시와 협력협정을 체결했다. 현재, KAIST와 뉴욕대 양교에 협업 공간 조성을 추진 중이며, 로보틱스·인공지능 뇌과학·기후변화 등 7개 분야에 걸쳐 60여 명의 교수진이 협력하는 공동 연구를 기획 중이다. 또한, 교환학생·부전공·복수전공&midd
2023-02-06우리 대학은 2023년 1월 5일부터 1월 8일까지 4일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신기술 박람회인 ‘국제전자제품박람회(이하 CES 2023)’에서 KAIST관을 운영해 전시 기간 중 단독 부스 운영으로 유관 창업기업들의 우수한 기술을 소개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우리 대학은 지난 2019년, 5개 창업기업과 함께 CES 2019 에서 처음으로 독자 부스를 운영하였던 것을 시작으로, CES 2020에서는 12개 사, CES 2022에서는 10개 사와 함께 CES에 참여한 바 있다. 네 번째 참가하는 이번 CES 2023에서 12개의 교원창업기업, 학생창업기업, 동문창업기업, 기술이전기업의 우수기술을 소개할 예정이다. 우리 대학은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한국무역협회(KITA)와의 협업을 통해 각 기업들에게 글로벌마케팅을 지원하고, 동 전시회를 통해 창업기업들의 글로벌 가치 창출과 더불어 KAIST 우수기술 및 참가기
2023-01-03우리 대학 혁신전략정책연구소(소장 김원준)가 '글로벌 다극체제와 한국의 경제 안보 전략'을 주제로 지난 22일 '2022 서울국제포럼-KAIST 혁신전략정책연구소 공동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최근 긴박하게 전개되고 있는 복합 위기 사태와 글로벌 다극체제를 향해가는 대격변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전략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를 위해, 학계·산업계·정부 관계자들이 연사로 참여해 관련 분야 간의 융합적 접근을 바탕으로 의견을 공유했다. 김명자 서울국제포럼 회장은 축사를 통해 "오늘날의 세계는 기술혁신, 기후위기, 보건위기, 미·중의 기술패권 경쟁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앞날을 예측하기 어려운 초불확실성 시대"라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이어, "외교, 경제, 과학기술, 산업 등 핵심 분야가 안보 차원으로 격상되고 있어 이들 분야를 융합적으로 접근해 새로운 질서를 구축해야 한다"라고 역설했다. 이홍구 전 국무총리는 "4
2022-12-29한국의 첨단기술산업 생태계를 이끌어 갈 ‘한국형 딥테크 창업 기업’은 어디일까? 우리 대학은 ‘2022 대한민국 혁신창업상’의 6개 수상 기업을 최종 확정했다. 대한민국 혁신창업상은 혁신창업 성공사례를 발굴하여 딥테크 창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자 KAIST와 서울대, 중앙홀딩스가 협력하여 제정됐다. 6개 선정 기업에 대한 수상식은 2022년 12월 20일(화)에 개최된 ‘혁신창업국가 대한민국’ 국제심포지엄에서 거행됐다. 대한민국 혁신창업상은 ‘혁신창업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한국은 세계 최상위권의 R&D 투자국임에도 최신 기술에 기반한 딥테크 기업 생태계 형성이 다소 미흡한 편이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가 딥테크 기반의 혁신창업 성공 방법을 공유하고 제도 개선을 모색하고자 추진한 사회 운동이 혁신창업 프로젝트다. KAIST, 서울대, 중앙일보가 혁신창업 활성화를
2022-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