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QS 개교 50주년 미만인 세계대학 평가에서 세계 순위 5위
- KAIST, 조선일보_QS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도쿄대 제치고 아시아 7위
o 우리 대학이 영국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한 개교 50주년 미만 세계 주요 대학들을 대상으로 하는 종합평가에서 5위를 기록했다.
1위는 설립된 지 49년 된 홍콩중문대가, 2위와 4위는 개교 21주년을 맞은 홍콩과기대와 싱가포르 난양공대가 차지했다. 1984년 문을 연 홍콩 시티대는 9위에 올랐다.
국내대학 중에는 1971년 설립돼 올해 41주년을 맞은 우리대학이 세계 신생대학 중 5위, 1986년 문을 열어 개교 26주년을 맞은 포스텍이 7위를 차지했다.
유럽권 대학 가운데서는 영국의 워릭대(1964년 개교)와 요크대(1963년 개교)가 각각 3위와 6위, 네덜란드의 마스트리히트대(1976년 개교)가 8위에 올랐다. 미국에서는 UC어바인(1965년 개교)이 10위에 올랐다.
개교 50주년 미만의 세계 대학 순위는 QS가 올해 처음으로 발표했다. 1962년도 이후 설립된 대학들을 대상으로 2011년도 세계대학평가 결과에 따라 50위권의 순위를 발표했으며 학계평가(40%), 졸업생평판도(10%), 교수당학생수(20%), 교수 1인당 피인용수(20%), 외국인교원수(5%), 외국인학생수(5%) 등의 평가요소로 구성 돼 있다.
QS 평가총괄책임자 벤 소터(Sowter)는 설립 50주년 미만의 세계 대학 순위 발표에 대해 ""조선일보·QS 아시아대학평가"와 함께 이 랭킹을 발표하는 것은 많은 아시아 신생 대학들이 좋은 성적을 기록했기 때문이다"라며 "젊고 역동적인 아시아 대학의 우수성이 눈에 띄게 뚜렷해졌다"고 밝힌 것과 같이, KAIST도 우수한 아시아 대학 중 하나로 혁신 및 성과를 인정받았다.
또한, QS 세계대학평가는 평가 항목 중 학계평가(peer review)가 40%로 큰 비율을 차지하는 만큼 역사에 근거한 대학의 명성이 평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쳤던 반면, 이번 설립 50주년 미만의 세계 대학 순위는 역사가 비교적 짧은 대학들이 짧은 기간 동안 얼마나 좋은 성과를 이루었는지를 보여주었고, KAIST는 세계 5위의 기록을 달성하며 그 우수성을 다시한번 입증했다.
http://www.topuniversities.com/university-rankings/top-50-under-50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5/28/2012052801976.html
O 2012년 아시아대학 평가 종합 7위
우리 대학은 아시아 지역 15개국 461개 대학이 참가한 ‘2012년 아시아대학 평가’에서 종합 7위를 차지하였다. 전년도에는 11위를 차지하였으나, 졸업생 평판도와 학계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4계단 상승하였다.
아시아대학 평가는 세계대학 평가 기준과 달리 학계평가(30%), 논문수 및 인용도(30%), 교수당 학생수(20%), 국제화 지표(외국인 교수, 외국인 학생, 교환학생 비율)(10%)로 구성되어 있는데, 2012년에는 각 부분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우리 대학 제조AI빅데이터센터가 중소 제조기업의 애로사항을 창의적인 인공지능(AI) 아이디어로 해결하는 '제3회 K-인공지능 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 시상식을 지난달 28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개최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 이하 중기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단장 안광현, 이하 추진단)과 공동 주최한 이번 경진대회는 우수한 제조 인공지능 분석 인재를 발굴 및 육성하기 위해 올해 세 번째로 개최됐다.제조데이터 인공지능 분석에 관심 있는 19세 이상의 국민을 대상으로 지난 9월 말부터 참가자를 모집한 결과 3인 이내로 자유롭게 구성된 184개 팀, 389명이 신청을 완료했다. 각 팀은 10월 23일 KAMP*의 열처리 품질보증 제조AI데이터셋**을 활용해 뿌리기업 현장 개선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알고리즘으로 구현하는 과제를 부여받아 본격적인 대회 일정에 돌입했다. ☞ KAMP: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Korea AI Manufacturin
2023-12-04우리 대학이 8일부터 이틀간 국회의원회관에서 ‘2023 혁신창업국가 대한민국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딥테크 창업기업들은 첨단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또한, 고도의 기술력과 창의력으로 대한민국의 경제 생태계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기술개발, 인력 확보, 규제, 시장 진입 및 경쟁, 자금 부족 등이 혁신창업기업이 겪는 제약은 여전히 산적해 있다. 이번 행사는 국제심포지엄과 함께 혁신창업기업을 선정해 시상하고 창업기업 체험 부스, 기업 소개, 창업 경진대회 등을 마련해 국내·외 혁신 창업의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첫날 열리는 국제심포지엄에서는 기업주도형 벤처 캐피털인 어플라이드 벤처스(Applied Ventures)의 아난드 카만나바르(Anand Kamannavar) 글로벌 투
2023-11-08우리 대학이 석·박사생을 중심으로 일반 국민의 기술창업을 돕는 'KAIST 스타트업 팀 빌더(KAIST Startup Team Builder)'를 신설해 23일 오후 부여 롯데리조트에서 1기 창단식을 개최했다. 창업원(원장 배현민)은 2018년부터 '오픈벤처랩(KAIST Open Venture Lab)'을 운영해 작년 말까지 32개의 기술기반 일반인 창업 기업을 배출했다. 이들 창업 기업은 18억 원의 투자유치와 신규고용 81명의 성과를 내는 등 기술창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날 창단하는 스타트업 팀 빌더는 KAIST 석·박사생을 중심으로 구성된 창업 지원단이다. 오픈벤처랩에 참여하는 예비창업자와 한 팀을 이뤄 사업 아이디어와 기술 검증, 사업모델 고도화 등의 창업 활동을 함께하게 된다. 공과대학, 경영대학, 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공 지식을 가진 20명의 스타트업 팀 빌더들은 창업원이 진행한 공모를 거쳐 지난달 선발됐다.
2023-06-23우리 대학 기술가치창출원이 창업과 기술사업화 확대를 위한 벤처캐피탈(이하 VC) 대표들과의 미팅을 25일 대전 본원에서 진행했다. '창업지원 벤처 투자자 정기미팅(Department Capital Meeting, 이하 DCM)'은 우리 대학 교수진과 VC 대표 간 정기적인 만남의 기회를 제공해 상호 네트워크 구축을 도모하는 행사다. 창업과 기술사업화에 관심 있는 교수들의 도전 정신을 장려하고 역량을 강화하는 취지로 마련되었다. 이번 DCM에는 카카오벤처스㈜, 포스코기술투자㈜의 중대형 투자 회사와 카이스트청년창업투자지주㈜, 미래과학기술지주㈜의 창업 초기 투자사 등이 참여했다. 이와 함께 컴퍼니케이파트너스㈜, 선보엔젤파트너스㈜, 카이스트홀딩스㈜가 새로운 VC 자문대표단으로 합류해 기술가치창출원으로부터 위촉장을 받았다. 우리 대학에서는 김진우(생명과학과), 박진규(산업및시스템공학과), 장재범(신소재공학과), 권영선(기술경영학부), 김성민(전기및전자공학부), 전주영(문술미래
2023-05-30비디오 보간은 비디오 사이의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여 프레임률을 높이고 비디오 내 부드러운 모션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진이 RGB 카메라만을 사용하여 비디오 보간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프레임 사이의 움직임 정보의 부재로 인하여 복잡한 상황에서 비디오 보간 성능의 한계를 지닌다. 특히, 현실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비선형적인 움직임에 대해서는 비디오 보간 성능이 크게 하락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윤국진 교수팀은 인간의 시신경을 모방한 이벤트 카메라와 RGB 카메라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카메라 시스템을 구축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이벤트 카메라 기반 초고속 비디오 보간 기술을 개발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비디오 보간 방법 대비 35% 이상의 세계 최고 성능을 달성하였고, 복잡하고 극심한 움직임 속에서도 높은 성능으로 30FPS 비디오를 10000FPS 이상의 초고속 비디오로 합성할 수 있다. 이벤트 카메라는 인간
2023-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