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연구

이수현 교수팀, 뇌 복부선조영역의 새로운 기억관련 기능 규명​
조회수 : 67252 등록일 : 2021-04-09 작성자 : 홍보실

(왼쪽부터) 바이오및뇌공학과 이수현 교수, 강준영 석박사통합과정

< (왼쪽부터) 바이오및뇌공학과 이수현 교수, 강준영 석박사통합과정 >

우리 대학 바이오및뇌공학과 이수현 교수 연구팀과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김형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복부선조영역(ventral striatum)에서 습관행동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장기기억이 자동적으로 인출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러한 복부선조영역의 기능을 그 영역과 회로별로 규명하는 것은 인간에게 직접 적용할 수 있는 뇌질환 치료방법 개발과 뇌영역 맞춤형 치료의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다. 

뇌의 복부선조영역은 새로운 가치학습에 중요하며, 중독행동과 조현병 관련 행동에도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이러한 행동에 기반이 될 수 있는 기억정보를 처리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불분명했다. 

이에 연구팀은 기능적 자기공명뇌영상과 전기생리학적 뇌세포 활성측정법을 모두 이용해 과거에 학습한 물체를 의식적으로 인지하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도 복부선조에서 과거에 배운 좋은 물체에 대한 장기기억정보가 활발하게 처리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자동적으로 인출된 좋은 물체에 대한 기억은 무의식적이며 자동적인 행동, 즉 습관행동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동물이 장기기억을 기반으로 최대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자동적 의사결정(automatic decision-making) 과정에 사용된다는 실험적 증거를 제시했다. 

바이오및뇌공학과 뇌인지공학프로그램 강준영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이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48() 게재됐다. 

그림 1. 물체 가치 장기학습 후 복부선조영역에서 좋은 물체와 나쁜 물체를 볼 때 자동적인 활성 반응이 차별화 되어 나타남. 이러한 복부선조영역의 활성은 습관적 행동과 연관되어 있음.

< 그림 1. 물체 가치 장기학습 후 복부선조영역에서 좋은 물체와 나쁜 물체를 볼 때 자동적인 활성 반응이 차별화 되어 나타남. 이러한 복부선조영역의 활성은 습관적 행동과 연관되어 있음. >

복부선조영역에서 기억의 자동적 인출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자동적 행동인 습관과 중독행동 제어의 이론적 기반을 다지고, 나아가 기억의 자동인출(automatic retrieval)과 연관된 현저성(salience) 이상으로 조현병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발판을 마련한 것에 이번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뇌질환극복사업 및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