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년 총 103건 출원해, 미국 4개 대학 다음으로 세계 5위 랭크 -
KAIST가 전 세계 대학 중 다섯 번째로 많은 해외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엔 산하 세계특허기구(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는 작년 한 해 동안 전 세계에 출원된 특허를 분석한 보고서를 최근(3월 5일) 발표했다.
세계특허기구가 운영하고 있는 국제출원 특허협력조약(Patent Cooperation Treaty, PCT)에 따르면 2011년에는 전년도에 비해 10.7% 증가한 총 181,900건의 특허가 출원됐다.
이 가운데 대학이 출원한 특허는 10,732건으로 5.9%를 차지하고 있는데,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이 277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미국 MIT, 텍사스주립대학, 존스홉킨스대학, 그리고 KAIST가 그 뒤를 이었다.
KAIST는 지난해 모두 103건의 국제 특허를 출원해 전 세계 대학 가운데 다섯 번째로 많은 특허를 출원했다. 보고서 명단에 포함된 국내 7개 대학(서울대, 고려대, 광주과기원 등) 중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 한편, 국가별로 보면 상위 50개 대학 가운데 30개가 미국에 있는 대학으로 집계됐다.
이밖에도 기업 및 대학을 포함해 특허를 가장 많이 낸 국가는 미국이며, 한국은 5위를 차지했다. 기업별로 보면, 세계적인 통신장비 및 시스템 기업인 중국의 ZTE Corporation이 2,826건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발표된 기업 99개 가운데 LG 전자, 삼성전자, LG 화학 등 3개의 한국 기업이 포함돼 있다. 산업별 특허 수를 보면 전기전자, 통신, 전산,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강세가 두드러졌다.(끝)
※ 특허협력조약제도(Patent Cooperation Treaty, PCT)는 해외특허 취득을 위해 각 국의 특허청에 모든 구비서류를 별도로 제출해야 했던 기존 절차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1979년에 발효된 국제특허출원제도로서 현재 115개국이 가입해 있다.
이 제도 하에서 특허 신청인은 해외출원을 원할 경우 한 개의 출원서를 거주 지역(국가) 특허청에 제출하면 전 세계 115개국에서 출원한 효과를 가질 수 있어 절차가 대폭 간소화되었다. 특허협력조약제도는 제네바에 있는 유엔세계특허기구(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가 운영하고 있다.
※ 2011년 특허 관련, 유엔세계특허기구의 3월5일자 보도자료
http://www.wipo.int/pressroom/en/articles/2012/article_0001.html
우리 대학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최원호 교수 연구팀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한 ‘2022 큐브위성 경연대회’에서 기초위성분야에 최종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특히 이번 대회에서 항공우주공학과 윤효상 교수 연구팀도 함께 선정되어 KAIST는 복수의 팀이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번 대회 선정팀은 큐브위성 개발비용(기초위성 3억원/고급위성 7.5억원)과 발사 기회(누리호 4차 발사, 2025년 예정)를 제공받게 되며 항우연으로부터 위성 설계 검토, 우주환경시험 등 큐브위성 제작에 필요한 각종 기술을 지원받게 된다. 최 교수 연구팀이 개발하는 위성의 이름은 K-HERO(KAIST Hall Effect Rocket Orbiter)로 초소형위성용 홀추력기의 궤도 검증을 목표로 한다. 홀추력기는 위성 전기추력기의 일종으로 궤도 조정, 군집비행 등의 위성 기동에 필수적인 기술이다. 최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여 년간 약 20여 종의 홀추력기(50-2,000
2022-12-20우리 대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022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2단계 사업에 선정됐다. 지난 2016년 1단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에 선정된 데 이어 연속으로 이뤄낸 성과다. 우리 대학은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2단계 사업 선정을 통해 올해부터 2027년까지 앞으로 6년간 약 110억(2022년 10억 원, 2023년부터 매년 20억 원)의 정부지원금을 받아 인공지능·소프트웨어 전문 인재를 양성한다. 특히, '포용적이고 글로벌한 인공지능‧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이라는 비전 아래 5대 운영 목표 및 6대 추진 전략, 33개 핵심 추진과제를 수립해 교육체계 및 제도를 혁신하고 소프트웨어 전공 교육과 융합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지난 1단계 사업의 성공으로 소프트웨어 전공 학부생이 큰 폭으로 증가해 대형 강의의 비중이 증가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며 전면 원격강의로 운영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유연하게 대비하기 위해 실
2022-05-04우리 대학이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는 ‘소부장 전략협력 기술개발’ 사업의 운영기관으로 지난 7월 6일 선정되었다. ‘소부장 전략협력 기술개발’ 사업은 소부장 분야의 기술·인프라·인력을 보유한 대학 및 연구기관을 운영기관으로 선정한 뒤, 해당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과의 협력을 지원해 혁신 기술개발을 촉진하겠다는 취지로 마련되었다. 우리 대학 기술가치창출원 산학협력센터(센터장 이건재)는 지난 5월부터 진행된 공모에 참여했으며, 과제 기획을 위한 전담 인력의 전문성과 후보 과제 발굴 역량을 높게 평가 받아 최종 선정됐다. 올해 처음 시도되는 이번 기술개발 사업은 ‘플랫폼 협력 기술개발’ 형태로 시범 운영된다. 운영기관이 시장에 필요한 기술을 직접 발굴해 기술제안요청서를 기획하고 중소기업과 공동 연구개발 등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또한, 플랫폼에 DB로 구축한 기술개발 경험 및 지식을 활
2021-07-08우리 대학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최성열 교수가 “제9회 원자력 안전 및 진흥의 날”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자로 선정됐다. 최 교수에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2019년 12월 27일 공동으로 주관한 시상식에서 표창장이 수여됐다. 2017년 9월 KAIST에 부임한 최교수는 사용후핵연료와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관리 등 원자력 진흥 분야 기여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최 교수는 원자력 산업계의 최대 난제인 사용후핵연료 분야에서 사용후핵연료를 재활용하여 고준위폐기물을 줄이는 동시에 핵물질의 핵무기 전용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폐기물 처리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가압경수로 운영 중 핵연료에 보론 잠복 현상(boron hideout)으로 발생하는 비정상 출력편차를 예측하고 방지하는 고정밀 다중물리코드를 개발해 매년 수백 억 이상의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산업 현장 문제를 해결하는 일에도 일조했다. 최교수는 부임 첫해인 2017년에
2020-01-08〈 이 주 용 연구교수 〉 우리 대학 IT융합연구소 이주용 연구교수의 ‘LTE-A 기반 단일 RF(Radio Frequency) 다중 스트림 지원 소형 기지국 기술’ 연구과제가 2017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전기및전자공학부의 조동호 교수, 홍성철 교수, 이용훈 교수 등이 함께 참여한 본 연구과제에서는 새로운 구조의 안테나 및 RF 구조를 제안하여 LTE-A 4×4 다중입출력을 지원하는 300 Mbps급 저전력, 저복잡도, 광대역 소형 기지국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헤테로다인 방식의 통신 시스템은 중간주파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주파수 변환기, 필터 등의 주변 회로들로 인해 단가 상승 및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 교수는 이번 연구과제에서 임피던스 로딩 기반 RF칩을 통해 기저 대역 신호를 RF단에서 직접 변조함으로써 저전력, 저복잡도를 만족하면서도 광대역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해 4세
2017-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