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대학이 23일과 24일 이틀간 안면도 리솜오션캐슬에서 ‘2011 KAIST 직원 워크숍’을 개최했다.
서남표 총장과 이용훈 교학부총장 등 주요 보직교수들을 비롯해 350여명의 직원이 참가하는 이번 워크숍은 KAIST 비전과 핵심가치를 공유하고 행정서비스 발전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서남표 총장은 워크숍 첫날인 23일 직원들과 대화 시간에서 “구성원의 헌신이 카이스트의 혁신을 이끌어온 동력”이라며 “세계 과학기술 선도 대학이라는 비전 달성을 위해 끊임없이 변화를 이겨내는 자세로 행정서비스의 질을 높여나가자”고 말했다.
이어 “KAIST의 더 큰 도약을 앞둔 지금은 모든 구성원들이 동반자 정신과 상호 존중의 미덕을 발휘할 때”라고 강조하며 파트너십 강화를 통한 행정서비스 발전에 노력해 줄 것을 주문했다.
주요 보직교수와 모든 직원이 참여한 워크숍은 올 들어 이번이 처음으로 서 총장은 이날 학교정책의 기본방향을 직원들에게 직접 설명하고 즉석에서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워크숍에선 우수 업무사례 보고와 함께 ‘자살예방 및 위기 시 대처방안’ 등 행정서비스 강화와 관련한 주제발표 및 종합토론이 이어진다. 학교는 워크숍에서 논의된 여러 방안을 검토해 내년도 부서별 업무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우리 대학 6개 연구실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024년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을 획득했다.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는 대학이나 연구기관 내 연구실의 안전관리 수준을 평가해 자율적 안전관리 역량이 우수한 연구실을 발굴·인증함으로써 연구실 안전관리 문화 확산을 유도하는 제도이다. 이번에 인증을 획득한 연구실은 총 6개로 건설및환경공학과 ①환경분석연구실(강석태 교수), 신소재공학과 ②신소재영상화 및 융합연구실(홍승범 교수), 원자력및양자공학과 ③핵융합 및 플라즈마 동역학 연구실(성충기 교수), ④저온플라즈마공학연구실(박상후 교수), 화학과 ⑤유전자손상및수리기작연구실(전용웅 교수) ⑥친환경 광전기 화학 연구실(김태규 교수) 등이다. 해당 연구실들은 ▴연구실 안전 환경 시스템 분야(30점) ▴연구실 안전 환경 활동 수준 분야(50점), ▴연구실 안전관리 관계자 안전의식 분야(20점) 등 세 가
2025-03-28우리 대학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지닌 국제학회 ‘디자인콘(DesignCon) 2025’에서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정호 교수 연구실(KAIST TERA Lab) 신태인 박사(28세)가 ‘최우수 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신태인 박사는 3년 전 ‘DesignCon 2022’에서도 최우수 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된 바 있다. 당시 김정호 교수 연구실(KAIST TERA Lab)은 전체 논문 제출자 가운데 오직 8명에게만 주어지는 최우수 논문상의 영예를 신태인 박사를 포함해 김성국·최성욱·김혜연 씨 등 4명의 학생이 동시에 수상해 산·학·연 관계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디자인콘(DesignCon)’은 반도체 및 패키지 설계 분야에서 권위를 인정받는 국제학회다. 인텔, 엔비디아, 구글, 마이크론, 램버스, 텍사스
2025-02-28우리 대학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김인희 교수 연구실의 박현철 학생, 오태호 박사, 임재혁 학생이 제104회 미국교통위원회(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이하 TRB) 연례 학술행사에서 2025년도 최우수논문상(2025 Outstanding Paper Award)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TRB 자전거 교통 위원회(Committee on Bicycle Transportation)가 선정한 것으로, 10점 만점중 10점을 받아 수상하게 되었다. 올해로 104년의 역사를 가진 TRB는 미국 국립과학·공학·의학 아카데미(The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이하 NASEM)에 소속된 권위 있는 기관으로, 매년 6천 편 이상의 논문이 제출되는 교통 분야 최대·최고 수준의 학술행사를 개최하며, 소수의 뛰어난 논문만이 철저한 심사를 거쳐 수상자로 선정된다
2025-02-19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가장 권위 있는 반도체 패키징 기술 관련 국제학회 ‘EDAPS(Electrical Design of Advanced Packaging & Systems) 2024’에서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정호 교수 연구실 석사과정 김태수 학생이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뎁스(EDAPS)’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와 영향력을 지닌 반도체 패키징 기술 관련 학회로, 지난 2002년부터 국제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 Electronic Packaging Society가 매년 주최하고 있다. 주로 전기 공학 분야에서 활동하는 학계 연구자와 산업계 엔지니어가 참석하며, 칩(Chip) 설계, 시스템인 패키지·시스템 온 패키지(Sip/Sop), 전자파 간섭·전자 적합성(EMI/EMC),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EDA) 툴(
2024-12-26VR 헤드셋을 쓴 디자이너(산업디자인학과 이준협 박사)가 태블릿과 펜으로 아무 것도 없는 가상 공간 속에서 유려한 입체 형태와 복잡한 관절 구조를 가지는 4족 거미 로봇을 단 몇 분 만에 그려서 완성했다. 디자이너가 컨트롤러를 조작하자 움직이던 거미 로봇이 일어나 2족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자세를 수정하고 두 발을 짚고 걸음을 내딛기 시작했다. (2024 시그래프 아시아 리얼타임 라이브의 KAIST 로봇스케치 시연 장면) 우리 대학 12월 6일 도쿄 국제 포럼에서 열린 ‘시그래프 아시아 2024’의 하이라이트인 리얼타임 라이브(Real-Time Live!)에서 산업디자인학과 배석형 교수팀이 기계공학과 황보제민 교수팀과 협업하여 개발한 ‘로봇스케치(RobostSketch)’ 기술이 최우수 심사위원상(Jury’s Choice)을 수상했다고 9일 밝혔다. ‘시그래프 리얼타임 라이브’는 컴퓨터 그래픽스 및
2024-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