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curity@KAIST 기술 설명회 이미지 >
우리 대학 융합보안대학원(책임교수 신인식)은 11월 23일 Security@KAIST 기술설명회를 개최한다.
지난 2017년 시작된 Security@KAIST 기술설명회는 교내 사이버보안 관련 우수 기술을 외부 연구진과 기업에 이전하는 가교로 자리매김 해왔다. 이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여 기술 가치 창출로 연결하는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일조해왔다.
이번 기술설명회는 교내 연구자들의 결과물을 중심으로 꾸려왔던 예년의 방식에서 진일보해 Security@KAIST 컨소시엄 회원사의 기술 소개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기획됐다. 우수 연구 기술을 한 방향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닌 양방향으로 확장해 연결하려는 취지다.
이에, 문서 보안·네트워크 보안·보안 교육·다크웹 등 각 기업이 산업 현장에서 체감한 4개의 현실적인 주제와 퍼징·광고 보안·하드웨어 보안·정적 분석·블록체인 보안 등 KAIST 연구자들이 주목한 5종의 미래 기술이 다뤄질 예정이다.
<Security@KAIST 기술설명회ʼ 발표 기술 리스트>
구분 |
주제 |
발표자 |
---|---|---|
컨소시엄 |
비대면 업무환경을 노리는 문서 기반의 표적형 악성코드 위협과 대응방안 |
이상준 지란지교시큐리티 이사 |
ePrismX - 컨테이너 기반 통합 보안 장비 플랫폼 |
양철웅 수산이이엔티 이사 |
|
드림핵, 사이버보안 교육의 새로운 이정표 |
유성재 티오리 이사 |
|
다크웹 등 히든 채널의 기업 위협 사례 및 대응 솔루션 |
서상덕 에스투더블유랩 대표 |
|
KAIST 융합보안대학원 |
퍼징, 어디까지 왔는가? |
차상길 교수 |
Finding fraudulent Android apps and responsible modules committing ad fraud |
손수엘 교수 |
|
개인개발자(업체)의 신뢰 실행 환경 기술 활용을 위한 프라이빗존 |
강병훈 교수 |
|
개발자와 상호작용하는 쌍방향 정적 분석 시스템 |
허기홍 교수 |
|
블록체인 네트워크 공격 탐지를 위한 모니터링 기술 |
강민석 교수 |
KAIST는 작년 3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진행한 `지역전략산업 융합보안 핵심 인재 양성 사업ʼ 공모에 선정돼 같은 해 8월 융합보안 프로그램을 개설했다. 현재 12명의 석사과정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 스마트시티에 특화된 융합보안 관련 역량을 쌓아가고 있다.
23일에 열리는 ʻSecurity@KAIST 기술설명회ʼ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국내 ICT 및 보안 관련 기업·연구원 및 대학(원)생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KAIST 정보보호대학원 홈페이지(https://gsis.kaist.ac.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