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9B%90%EA%B4%91%EC%97%B0
최신순
조회순
문화기술대학원, 우주 소재 뮤지컬 ‘나로(NARO)’ 공연
- 11월 23일(토)-24(일) 국립과천과학관 어울림 홀 우리 대학 문화기술대학원(원장 이동만)은 11월 23일~24일 이틀 동안 국립과천과학관 어울림 홀에서 우주를 소재한 창작 뮤지컬 "나로(NARO)를 공연한다. 뮤지컬 "나로"는 KAIST 문화기술대학원이 운영하는 청소년문화기술체험센터에서 과학문화의 대중화를 목적으로 청소년들과 함께 제작한 융합 창작공연인데 2009년부터 매년 개최해오고 있다. 총 2막으로 구성된 뮤지컬 ‘나로’는 우주를 연구하는 천재 소년 ‘나로’ 일행이 전갈자리의 ‘해와 달이 된 오누이별’로 시간여행을 하면서 적색거성 안타레스의 대폭발을 통해 오누이별과 지구를 파괴하고 우주를 정복하려는 타이란 일당의 음모를 막아낸다는 내용이다. 우주, 미래, 희망을 주제로 하는 뮤지컬 ‘나로’는 무대장치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인터랙티브 영상과 레이저 아트, 직접 제작한 특수 장치 등을 사용해 무대의 첨단화를 시도했다. 또 한국의 고유한 설화인‘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서사구조를 차용해 천문학적으로 탄탄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청소년들에게 우주에 대한 꿈과 희망을 주는 한국 우주창조론을 재조명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아울러 원작부터 기획, 제작, 공연, 홍보까지 뮤지컬 제작과정을 하나의 교육모델로 제시하고 있으며,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이 잘 융합되고 조화를 이루고 있어 교육적으로도 추천할 만하다. 우주뮤지컬 ‘나로’는 세계 최초로 문화기술(CT: Culture Technology) 개념을 정립한 KAIST 원광연 교수가 제작하고 구본철 교수가 대본과 작곡을 맡았다. 한편, 이번 공연은 국립과천과학관이 개관 5주년을 기념해 특별히 기획한 ‘과학 공연 축제‘의 일환으로 열린다. 끝.
2013.11.21
조회수 10645
원광연 칼럼 맞춤형 IT기술과 삶의 질
원광연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세계일보 2011년 1월 27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리뷰] 맞춤형 IT기술과 삶의 질 신문: 세계일보 저자: 원광연 문화과학기술대학원 교수 일시: 2011년 1월 27일(목) 기사보기: [사이언스 리뷰] 맞춤형 IT기술과 삶의 질
2011.01.27
조회수 8741
[사이언스리뷰] 소셜 네트워크의 힘
원광연 문화과학기술대학원 교수가 세계일보 2010년 12월 23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리뷰] 소셜 네트워크의 힘 신문: 세계일보 저자: 원광연 문화과학기술대학원교수 일시: 2010년 12월 23일(목) 기사보기: [사이언스 리뷰] 소셜 네트워크의 힘
2010.12.23
조회수 7122
원광연칼럼 아바타 전성시대
원광연 문화과학기술대학원 교수가 세계일보 2010년 11월 18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리뷰] 아바타 전성시대 신문: 세계일보 저자: 원광연 문화과학기술대학원교수 일시: 2010년 11월 18일(목) 기사보기: [사이언스 리뷰] 아바타 전성시대
2010.11.18
조회수 8546
원광연 교수, '아웃스탠딩 리더십 어워드' 수상
우리학교는 문화기술대학원 원광연 교수가 지난 6일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국제디지털미디어아트학회 연례 컨퍼런스에서 ‘아웃스탠딩 리더십 어워드(Outstanding Leadership Award)’를 수상했다. 원광연 교수는 세계 최초로 문화기술(CT, Culture Technology)이라는 개념을 정립하는 한편 2005년 9월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설립을 주도하는 등 국제사회에 문화기술을 선도한 업적으로 공로를 인정받았다. 국제디지털미디어아트학회는 디지털미디어의 디자인과 예술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국제학회인데 지난 2002년 미국 학자들과 디자이너 및 아티스트 등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이 주도해 설립됐다. 한편, 원광연 교수는 이날(6일) 어워드 수락 연설에서 “CT라는 용어가 한국에서 처음 탄생했지만 학문적, 산업적 측면 모두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의 접목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사회적 현상 때문에 이젠 국제적으로 통용될 만큼 성장했다”고 강조했다.(끝)
2010.11.09
조회수 10400
원광연칼럼 ‘스마트폰 블루스’
원광연 문화과학기술대학원 교수가 세계일보 2010년 10월 14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리뷰] ‘스마트폰 블루스’ 신문: 세계일보 저자: 원광연 문화과학기술대학원교수 일시: 2010년 10월 14일(목) 기사보기: [사이언스 리뷰] "스마트폰 블루스"
2010.10.14
조회수 8694
원광연칼럼 기술과 문화의 융합
원광연 문화과학기술대학원장이 세계일보 2010년 8월 26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리뷰] 기술과 문화의 융합 신문: 세계일보 저자: 문화과학기술대학원장 원광연 일시: 2010년 8월 26일 (목) 기사보기: [사이언스 리뷰] 기술과 문화의 융합
2010.08.26
조회수 7714
CT대학원, 2015년 세계 톱5 도약
우리학교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 CT)대학원이 디지털타임스 8월 5일자에 "KAIST CT대학원 2015년 세계 톱5 도약"이라는 제목으로 크게 소개됐다. 이 기사는 몇 년 전부터 첨단기술개발의 트렌드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기술과 기술 간의 융합"이 아닌 "기술과 문화"라는 다소 어울릴 것 같지 않는 분야간 융합을 시도하는 새로운 연구영역이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 CT)"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 대학원출신 석사들이 100% 취업하였으며 삼성전자·KT 등서 문화컨텐츠를 선도해 나아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원광연 CT 대학원장의 인터뷰 기사도 같은 날짜에 함께 실렸다. 기사보기: KAIST CT대학원 2015년 `세계 톱 5` 도약 원광연 KAIST CT대학원장 "IT-문화 융합형 글로벌 인재 양성"
2010.08.05
조회수 13083
원광연칼럼 ‘기술연령’ 젊어지는 비결
원광연 문화과학기술대학원장이 세계일보 2010년 7월 22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리뷰] ‘기술연령’ 젊어지는 비결 신문: 세계일보 저자: 문화과학기술대학원장 원광연 일시: 2010년 7월 22 (목) 기사보기: [사이언스 리뷰] ‘기술연령’ 젊어지는 비결
2010.07.22
조회수 9690
원광연칼럼 지수함수의 법칙
원광연 문화기술대학원장이 세계일보 2010년 6월 17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리뷰] 지수함수의 법칙 신문: 세계일보, 사이언스 리뷰 저자: 문화과학기술대학원장 원광연 일시: 2010년 6월 17 (목) 기사보기: [사이언스 리뷰] 지수함수의 법칙
2010.06.17
조회수 9437
문화기술대학원-오디세이픽처스, 할리우드 영화시장 진출 위해 산학협력
우리대학은 문화기술대학원(원장 원광연)이 국내 영화기획․제작사인 (주)오디세이픽처스와 컴퓨터그래픽(CG) 등 영화제작 관련기술 지원을 포함, 디지털 스토리텔링 분야의 공동연구와 공동사업 발굴 등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상호협력 및 교류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오디세이픽처스(공동대표: Aurora Lee, 김광덕)는 영화홍보 대행사로 출발, 2005년부터 영화 기획․제작에 본격적으로 뛰어 든 신생 영화사다. 그러나 글로벌 미디어시장 진출과 세계적인 영화제작자들과 공동제작을 위해서는 할리우드용 스토리텔링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 스토리텔링 R&D센터를 설립, 운영하는 등 이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현재 20편 이상의 할리우드용 콘텐츠를 보유중이다. 오디세이픽처스는 현재 할리우드의 메이저급 영화사와 신(神)이 인간을 창조한 이후 신과 인간 사이에서 벌어지는 악연과 이를 둘러싼 음모를 주요 스토리로 하는 S.F. 액션 2부작 ‘No. 8"의 공동제작을 추진 중인데 이를 위해 지난 2008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중국 절강금구 영화공사로부터 300만 달러를 유치했다. 이날 양해각서 체결로 문화기술대학원은 비주얼 미디어 랩(Visual Media Lab)에서 자체 개발한 컴퓨터그래픽(CG)기술과 CG영상을 창조하기 위한 각종 특수효과기술,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술지원 등을 통해 오디세이픽처스의 할리우드 및 세계시장 진출을 적극 도울 계획이다. 문화기술대학원에는 할리우드의 세계적 독립프로덕션 ‘리듬앤드휴스’에서 영화의 특수효과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풍부한 경험을 자랑하는 노준용 교수(38세)를 비롯, CG, 가상현실, 디지털 영상기술 등 영화와 디지털미디어 분야의 연구원들이 상당 수 포진해 있다. 노준용 교수의 경우 ‘가필드’, ‘나니아 연대기‘, ’슈퍼맨 리턴즈‘ 등 여러 편에 달하는 할리우드 대작의 영상특수효과 개발에 참여했다. 작년 8월에는 노 교수팀이 자체 CG기술을 활용해 만든 애니메이션 ’고양이 길들이기‘가 세계 최고의 컴퓨터그래픽스학회인 SIGGRAPH가 주관한 "SIGGRAPH 2009 컴퓨터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서 우수작으로 뽑혀 올 5월부터 9월까지 영국, 호주, 뉴질랜드, 코소보 등에서 열리는 5개의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 초청작으로 상영될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
2010.05.17
조회수 15542
원광연칼럼, 융·복합이 뜨는 이유
우리대학 원광연 문화기술대학원장이 세계일보 2010년 4월 30일(금)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리뷰] 융·복합이 뜨는 이유 신문: 세계일보, 사이언스 리뷰 저자: 카이스트 문화과학기술대학원장 원광연 일시: 2010 / 4 / 30 (금) 기사보기: [사이언스 리뷰] 융·복합이 뜨는 이유
2010.04.30
조회수 9297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2